'약국계 다이소' 이렇게 싸다고?…없는 약 없다
SBS Biz 최윤하
입력2025.06.17 17:45
수정2025.06.17 18:48

[앵커]
'약국계의 다이소'가 등장했습니다.
각종 일반의약품부터 건강기능식품, 반려동물 약까지 없는 게 없는 데다 가격경쟁력까지 갖추면서 일선 약국들을 긴장시키고 있습니다.
최윤하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기자]
소비자들이 카트 한가득 물건들을 담습니다.
대형마트를 방불케 하지만, 2천500여 개 의약품과 건강기능식품으로 가득 찬 약국입니다.
타이레놀 2천500원, 아로나민 2만 8천 원, 인사돌 2만 9천 원 등 시중 판매가보다 대부분 저렴합니다.
[박문희 / 경기 수원시 : 대가족인 분들은 연령층이 다양하잖아요, 아이부터 반려동물까지. (가격이) 많이 저렴해요. 다른 분들도 구경하시면서 '아, 여기서 살 걸'이라고 많이 얘기하시더라고요.]
[차율겸 / 경기 성남시 : 약국은 딱 그 약국 안에만 있는 브랜드를 많이 추구를 하는데 본인한테 맞는 영양제나 약을 찾아다니기에는 딱 이런 곳이 (좋은 것 같아요.)]
지난 2월 다이소가 건기식을 팔기 시작한 가운데 그보다 훨씬 다양한 의약품과 함께 약사 20여 명이 매장 곳곳에서 복약지도를 해준다는 점에서 차별화됩니다.
[정두선 / 메가팩토리 대표 약사 : 넓은 공간에서 한 군데 모든 제품을 보고 싶어 하는 분들이 많으신데 마트에 가거나 또 인터넷을 보더라도 또 어딜 가더라도 건강에 관련된 물품들이 한 곳에 있는 경우가 아예 없더라고요. 진통제 하나만 보더라도 어 내가 못 보던 거 생각보다 너무 많구나 저희가 설명을 드리면 너무 좋아하세요.]
미국과 일본 등에선 이미 자리 잡은 대형마트형 약국이 국내에 등장한 것을 두고 소비자는 물론 제약업계도 반기는 분위기입니다.
[정윤택 / 제약산업전략연구원장 : 미국에 월마트라든가 여기에 보면 OTC(오버 더 카운터, 일반의약품)라고 해서 약사가 지켜보는 상황에서 소비자가 선택해서 딱 고르는 형태잖아요. 선택의 다양성 가격에 대한 합리적인 판단 이런 부분들이 충분히 가능할 수 있다(고 봅니다.)]
다만 다이소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약사들을 중심으로 약국 상권의 피해와 의약품 오남용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SBS Biz 최윤하입니다.
'약국계의 다이소'가 등장했습니다.
각종 일반의약품부터 건강기능식품, 반려동물 약까지 없는 게 없는 데다 가격경쟁력까지 갖추면서 일선 약국들을 긴장시키고 있습니다.
최윤하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기자]
소비자들이 카트 한가득 물건들을 담습니다.
대형마트를 방불케 하지만, 2천500여 개 의약품과 건강기능식품으로 가득 찬 약국입니다.
타이레놀 2천500원, 아로나민 2만 8천 원, 인사돌 2만 9천 원 등 시중 판매가보다 대부분 저렴합니다.
[박문희 / 경기 수원시 : 대가족인 분들은 연령층이 다양하잖아요, 아이부터 반려동물까지. (가격이) 많이 저렴해요. 다른 분들도 구경하시면서 '아, 여기서 살 걸'이라고 많이 얘기하시더라고요.]
[차율겸 / 경기 성남시 : 약국은 딱 그 약국 안에만 있는 브랜드를 많이 추구를 하는데 본인한테 맞는 영양제나 약을 찾아다니기에는 딱 이런 곳이 (좋은 것 같아요.)]
지난 2월 다이소가 건기식을 팔기 시작한 가운데 그보다 훨씬 다양한 의약품과 함께 약사 20여 명이 매장 곳곳에서 복약지도를 해준다는 점에서 차별화됩니다.
[정두선 / 메가팩토리 대표 약사 : 넓은 공간에서 한 군데 모든 제품을 보고 싶어 하는 분들이 많으신데 마트에 가거나 또 인터넷을 보더라도 또 어딜 가더라도 건강에 관련된 물품들이 한 곳에 있는 경우가 아예 없더라고요. 진통제 하나만 보더라도 어 내가 못 보던 거 생각보다 너무 많구나 저희가 설명을 드리면 너무 좋아하세요.]
미국과 일본 등에선 이미 자리 잡은 대형마트형 약국이 국내에 등장한 것을 두고 소비자는 물론 제약업계도 반기는 분위기입니다.
[정윤택 / 제약산업전략연구원장 : 미국에 월마트라든가 여기에 보면 OTC(오버 더 카운터, 일반의약품)라고 해서 약사가 지켜보는 상황에서 소비자가 선택해서 딱 고르는 형태잖아요. 선택의 다양성 가격에 대한 합리적인 판단 이런 부분들이 충분히 가능할 수 있다(고 봅니다.)]
다만 다이소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약사들을 중심으로 약국 상권의 피해와 의약품 오남용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SBS Biz 최윤하입니다.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내달까지 소비쿠폰 다 쓰면, 최대 5만원이 덤?
- 2.[단독] 오늘부터 아이폰으로 버스·지하철 탄다
- 3.장인, 장모, 형제, 자매까지 건보료 무임승차…수술대 오른다?
- 4.매일 1만보 걸어야 효과 있다더니…이 정도만 걸어도 충분
- 5.은퇴 후 일한 게 죄?…"얼마나 번다고 국민연금 깎냐"
- 6.단통법 폐지에 공짜폰?…자칫 통장 탈탈 털립니다
- 7.올해 여름휴가, 해외보다 국내로 더 많이 간다…1위는 '강원도'
- 8.롯데리아 옆에 맥도날드, 그 옆에 버거킹…서울역점 '맞짱'
- 9.중국인 아파트 쇼핑 가만두냐…한국인 대출 막히자 줍줍
- 10.수입맥주 5캔에 만원 부활?…퇴근길 낙이 찾아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