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SBS Biz

[송재경의 인사이트] 지난 한 달 간 주요 자산군의 수익률 상황은?

SBS Biz
입력2025.06.11 07:49
수정2025.06.11 09:34

■ 머니쇼 '송재경의 인사이트' - 송재경 디멘젼투자자문 투자부문 대표


[전일장 증시 리뷰와 분석]




◇ 먼저 뉴욕증시 마감 상황부터 짚어보고 본격적인 이야기 시작해 볼까요? 


- "美中 협상 결과 기대"…뉴욕증시 마감 상황은? 
- 뉴욕증시 3대 지수 일제히 상승…나스닥 0.6%↑
-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5,242.50…2.06%↑


- 미 국채수익률, 10년물 4.47% 2년물 4.02%
- 美中 무역협상 이틀째 진행 중…"결과는 아직"
- 美상무 "中과 무역협상, 매우 잘 진행되고 있어"
- 美中, 큰 틀에서 합의 후 세부 사항 조율 과정
- 美, 中에 반도체 기술 관련 제재 완화 카드 제시
- 테슬라 5.7%↑…"로보택시 12일부터 시험 운행"
- 트럼프 "3월 구입 테슬라 전기차 팔지 않을 것"
- 美 NEC 위원장 "수출 통제 완화에 H20 미포함"

◇ 그간 국내증시가 계속 강세를 보이며 '허니문 랠리'가 시작됐다는 평도 많은데요. 유가나 금 가격도 변화가 보였다고 하죠. 지난 한 달간 주요 자산군의 수익률 흐름은 어땠나요? 

- 지난 한 달간 주요 자산군의 수익률 상황은? 
- 지난 한 달, 유가·주식↑ 미국채 가격·달러↓
- '리스크 온과 달러 약세'라는 독특한 흐름
- 국내 주식, 주요국 중 달러 기준 압도적 1위
- 국내 주식, 최근 외국인 투자자 순매수 지속
- 외국인, 한국 채권도 29일째 순매수 이어가
- 국채 발행↑ 우려에도 원화 강세·금리인하 기대
- 세계국채지수(WGBI) 편입 등 앞둔 선취매 성격

◇ 현재 미국과 중국이 영국 런던에서 2차 무역협상 중입니다. 양국이 서로에게 수출을 통제해 왔던 희토류와 반도체가 협상 테이블 위에 올랐다고 해요?

- 美中 2차 무역협상…9~13일 英 런던서 진행 중
- 美 측, 재무장관·상무장관 및 USTR 대표 참석
- 中, 허리펑 국무원 부총리 등 3인·상무장관 참석
- 주요 의제, 희토류·AI칩 등 상대국 항한 수출 통제 
- 美中 2차 협상, 반도체·희토류 수출 통제 핵심
- 美 아킬레스건, '희토류 부족'이라는 점 재확인
- 中, 희토류 공급망 4단계 점유율 90%…'독점'
- 희토류, EU·美·韓 모두 대중 의존도 70% 이상
- 美 희토류 재고, 한두 달 이내 모두 소진될 우려
- 희토류 부족에 포드 SUV, 일주일 생산 중단
- 미국 관세 정책에 중국의 수출도 성장률 둔화
- 中의 대미 수출, 두 달 연속 20~30%대 역성장
- 中, 美 외 지역으로 밀어내기식 덤핑 수출 의혹
- 中 생산자물가지수, 4월 - 2.7%→5월 - 3.3%
- 트럼프 관세 정책에 중국 피해도 커지는 상황

◇ 최근 발표된 미국의 5월 고용지표들을 두고 긍정적인 해석이 나오고 있죠. 트럼프 대통령도 ADP 민간고용 지표를 보고 금리를 인하해도 될 정도로 경기가 좋은 상황이라고 했잖아요? 

- 美 5월 고용지표 긍정적 해석…시기상조?
- 파월 "관세 지속 시 인플레 심화·성장세 둔화"
- 트럼프 "너무 늦은 파월, 반드시 금리 내려야"
- ADP "5월 美 민간기업 고용 3만 7,000명 증가"
- 5월 ADP 민간고용, 2023년 2월 이후 최저치
- 美 노동부 "4월 구인 739만 건 구인율 4.4%"
- 올해 발표 고용지표 수정 2번…"30~50% 하향"
- 현 상황이라면 3개월 내 6만 명대로 고용 감소
- 5월 비농업 부문 신규 고용, 전월비 13.9만 명↑
- 뉴욕 연은 "관세 100% 소비자 전가 기업 45%"
- 다수 美 기업, 1개월 내 관세 타격 소비자 전가
- 6~7월, 트럼프 관세 정책 영향 크게 보일 우려
- 美 지역 연은 PMI 조사 결과 지불가격 급등세
- S&P글로벌 PMI 조사에서도 지불가격 오름세
- '지불가격 급등세' 2개월 시차 두고 CPI에 반영

◇ 지난해 뉴욕증시는 '강세장'을 보여주며 투자자들의 기대감은 물론 눈높이도 키웠는데요. 올해는 흐름이 주춤한 듯하죠. 하반기에는 기대감을 낮춰야 한다던데요?

- 올 하반기, 뉴욕증시에 대한 기대감 낮춰야? 
- 최근 뉴욕증시, 장기 강세장 3년 차 징크스 보여
- 1949년 이래 美 강세장 3년 차 당시 변동성↑
- 과거 美 증시 강세장 3년 차, 상승세도 지지부진
- 뉴욕증시, V자 반등에도 과거 추세 복귀 수준
- 글로벌 주식 펀드들, 미국 비중 급격히 낮춰
- 글로벌 주식 펀드들, 유럽·中·日 비중 축소 완화
- 美 증시 수급 변화, 징크스와 함께 하반기에 영향

◇ 최근 유럽의 물가도 ECB의 목표치에 근접하면서 금리인하 사이클이 막바지에 다다랐다는데요. 그중 눈에 띄는 게 바로 독일의 변화라고 해요? 

- 최근 유럽 국가 중 독일의 변화에 주목해야?
- 유럽 국가 최대 기대주 독일, 재정 부양책 실시 
- 獨, 재정 부양책 실시 및 노동시간 확대 노력도
- 독일, OECD 국가 중 가장 적게 일하는 나라
- 독일 노동시간, OECD 평균보다 23% 낮은 상황
- 한국 노동시간, OECD 평균보다 7.5% 높은 상황
- 독일, 공휴일 축소로 노동시간 확대에 노력
- 노동시간, 유럽은 늘리고 한국은 줄여 평균으로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