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SBS Biz

공공주택 건설 지연 막는다…정부, 현장 레미콘 공급기준 완화

SBS Biz 최지수
입력2025.06.10 11:04
수정2025.06.10 11:06

//img.biz.sbs.co.kr/upload/2025/06/10/IB71749521192695-850.jpg 이미지
[13일 서울 시내의 한 레미콘 공장에서 레미콘 차량이 이동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국책사업 지연을 막기 위해 건설현장에서 시멘트, 모래, 자갈 등을 조합해 레미콘을 직접 생산하는 임시 설비인 '현장 배치 플랜트' 설치 조건이 완화됩니다. 



국토교통부는 공공주택, 고속 국도, 신공항 건설 등 국책사업에 한해 현장 배치 플랜트에서 레미콘 전량 생산을 허용하는 내용 등을 담은 '건설공사 품질관리 업무 지침' 개정안을 이달 12일부터 시행한다고 오늘(10일) 밝혔습니다.

현장 배치 플랜트로 건설 현장에서 레미콘을 바로 생산하면 운송 시간을 줄이고, 품질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 건설자재 대란으로 공사가 지연되는 현상도 방지할 수 있어 주택 공급에도 속도를 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설치 조건이 까다로워 레미콘을 적기에 공급받기 어려운 공사 현장에서도 배치플랜트를 설치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특히, 접근성이 낮은 터널, 산지 도로공사, 대량의 레미콘 공급이 필요한 국책사업 등에는 인근 레미콘 공장의 공급만으로는 수요를 맞추기 어려워 현장 배치 플랜트 설치조건을 완화해야 한다는 요구가 제기돼왔습니다.
 
이에 정부는 종전에는 시공사만 설치할 수 있었던 현장 배치 플랜트를 공공공사의 발주자인 한국토지주택공사(LH), 한국도로공사 등도 설치할 수 있도록 허용하기로 했습니다.

대규모 국책사업은 예외적으로 현장 배치 플랜트에서 레미콘 전량을 생산할 수 있으며 설치자가 발주 또는 시공하는 현장으로 반출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반출을 허용하는 사업의 경우 현장 배치 플랜트 설치 전부터 해체 때까지 국토부 주관으로 발주청, 시공자, 레미콘 제조업계 등이 참여하는 협의체를 운영해야 합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최지수다른기사
대우건설, 개포우성7차에 '하이엔드 설계' 제안
현대건설, 부산 벡스코 제3전시장 입찰 포기…여론 악화 고려한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