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정부, 10년간 빅테크에 27만명 사용자정보 요청"
SBS Biz 송태희
입력2025.06.10 09:37
수정2025.06.10 09:40

[정부의 사용자 정보 제공 요청 분석 보고서 (서프샤크 보고서 캡처=연합뉴스)]
한국 정부가 지난해 중반까지 약 10년간 글로벌 빅테크 기업에 27만명이 넘는 사용자 정보를 요청했고 이는 전 세계에서 7번째로 많은 수치인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네덜란드에 본사를 둔 사이버 보안 회사 서프샤크는 10일 2013년부터 2024년 중반까지 한국 정부가 약 27만3천명에 대한 정보를 구글, 메타 등 빅테크에 요청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전 세계에서 7번째로 많은 정부 요청 규모입니다.
미국이 400만개가 넘는 계정 데이터를 요청하며 압도적인 1위를 기록했고 중국은 약 9만7천명의 사용자 데이터 요청으로 전 세계 16위를 차지했습니다.
대만이 약 11만3천개의 계정 데이터를 요청해 13위였고 일본은 4만4천개를 요청한 24위였습니다.
빅테크 별로 한국 정부의 사용자 정보 요청에 대응한 현황을 보면 구글은 총 4만건이 넘는 사용자 데이터 요청을 받고 80%에 해당하는 약 3만2천건을 제공했습니다.
메타는 약 1만3천200건을 요청받아 1만건에 응답하며 75%의 준수율을 보였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약 2천100건을 요청받아 1천300여 건(62%)을 제공했고 애플은 610건의 요청 중 387건(64%)에 응했습니다.
한편, 한국 정부는 약 1천500개 계정에 대해 긴급 사용자 정보 제공을 요청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긴급 사용자 정보 제공이란 폭력 피해 상황 등 생명이나 신체에 대한 심각한 위험이 닥친 경우 긴급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정부 기관이 요청해 제공하는 것을 말합니다.
서프샤크 관계자는 "긴급한 상황에서 빠른 대응이 필요한 건 이해하지만 문제는 이런 요청들이 법원 명령이나 소환장 같은 공식적인 법적 절차를 건너뛴다는 점" 이라며 "개인의 권리를 보호하고 잠재적인 남용을 방지하기 위해선 신중한 규제와 감독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돈 얼마나 많길래'…250억원 현금으로 아파트 '척척'
- 2.'이러니 해외 가지'…강원 펜션 1박에 140만원 바가지
- 3.연 48만원 더 받는다는데…몰라서 못 타먹는 '가족연금'
- 4.국민연금 많이 받는다 좋아했는데…건보료 날벼락?
- 5.'신의 커피'라더니 '1㎏에 4천200만원'…무슨 커피지?
- 6.현금 12억 없으면 '그림의 떡'…"현금부자만 신났다"
- 7.'일 안하면 생활이 안되는데'…일하는 어르신 1000만명 시대
- 8.쥐꼬리 국민연금 한숨...'이거' 일찍 가입하면 1500만원 더 번다?
- 9."이럴 거면 예약 안 했죠"...제주 렌터카 뒷통수
- 10.月 745만원 벌고도 기초연금 따박따박…'꼬박 꼬박 국민연금 낸 우린 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