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조 추경 이어 빅컷?…늪에 빠진 韓 경제
SBS Biz 신성우
입력2025.04.24 17:46
수정2025.04.24 18:28

[앵커]
미국발 관세전쟁 전운이 고조되는 가운데 이렇게 1분기부터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하면서 저성장 고착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이 내용은 신성우 기자와 좀 더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이미 국내외 기관들이 우리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줄줄이 낮춰 잡고 있죠.
올해 0%대 성장 전망도 나오고 있네요?
[기자]
글로벌 투자은행 JP모건이 올해 우리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0.5%까지 내렸습니다.
이달 초 0.9%에서 0.7%로 내리더니 또 낮췄습니다.
수출이 지속적으로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인데요, 특히 상호관세가 현실화되거나 미중 간의 관세 전쟁이 장기화될 경우 우리 수출 감소세가 더 가팔라질 수 있습니다.
최근 국제통화기금, IMF도 우리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대비 절반으로 낮추기도 했습니다.
[앵커]
수출 타격을 피하기 어렵다면 내수라도 살아나야 하는데, 부진이 계속되고 있죠?
[기자]
1분기 민간소비가 3개 분기 만에 뒷걸음질 쳤습니다.
이렇게 내수 부양 필요성이 커지면서 다음 달에는 기준금리를 낮출 것이라는 관측이 나옵니다.
지난달 환율 등 불확실성을 이유로 기준금리가 유지되긴 했지만,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거듭 "기준금리 인하 사이클에 있다"라고 밝혀왔는데요.
여기에 1분기 역성장하면서 '인하론'에 더욱 힘이 실리고 있습니다.
한 번에 금리를 0.5%포인트 낮추는 이른바 '빅컷' 필요성도 거론되고 있습니다.
[앵커]
현재 정부가 마련한 추경안이 국회에 넘어가 있죠?
[기자]
맞습니다.
12조 원 규모인데요.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은 오전 시정연설을 통해 조속한 추경안 통과를 당부하기도 했습니다.
통화정책뿐만 아니라 재정정책이 동반되어야 얼어붙은 경기를 회복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한국은행은 12조 원의 추경으로 우리 경제성장률을 0.1%포인트 끌어올릴 수 있다고 분석한 바 있는데요.
더불어민주당 등은 12조 원으로는 역부족이라며 증액 필요성을 주장하고 있습니다.
추경이 늦어질수록 내수 회복 효과가 반감될 수 있는 만큼 시기도 중요할 텐데요.
늪에 빠진 우리 경제가 추경으로 조금이나마 숨통을 트일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립니다.
[앵커]
신성우 기자, 잘 들었습니다.
미국발 관세전쟁 전운이 고조되는 가운데 이렇게 1분기부터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하면서 저성장 고착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이 내용은 신성우 기자와 좀 더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이미 국내외 기관들이 우리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줄줄이 낮춰 잡고 있죠.
올해 0%대 성장 전망도 나오고 있네요?
[기자]
글로벌 투자은행 JP모건이 올해 우리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0.5%까지 내렸습니다.
이달 초 0.9%에서 0.7%로 내리더니 또 낮췄습니다.
수출이 지속적으로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인데요, 특히 상호관세가 현실화되거나 미중 간의 관세 전쟁이 장기화될 경우 우리 수출 감소세가 더 가팔라질 수 있습니다.
최근 국제통화기금, IMF도 우리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대비 절반으로 낮추기도 했습니다.
[앵커]
수출 타격을 피하기 어렵다면 내수라도 살아나야 하는데, 부진이 계속되고 있죠?
[기자]
1분기 민간소비가 3개 분기 만에 뒷걸음질 쳤습니다.
이렇게 내수 부양 필요성이 커지면서 다음 달에는 기준금리를 낮출 것이라는 관측이 나옵니다.
지난달 환율 등 불확실성을 이유로 기준금리가 유지되긴 했지만,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거듭 "기준금리 인하 사이클에 있다"라고 밝혀왔는데요.
여기에 1분기 역성장하면서 '인하론'에 더욱 힘이 실리고 있습니다.
한 번에 금리를 0.5%포인트 낮추는 이른바 '빅컷' 필요성도 거론되고 있습니다.
[앵커]
현재 정부가 마련한 추경안이 국회에 넘어가 있죠?
[기자]
맞습니다.
12조 원 규모인데요.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은 오전 시정연설을 통해 조속한 추경안 통과를 당부하기도 했습니다.
통화정책뿐만 아니라 재정정책이 동반되어야 얼어붙은 경기를 회복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한국은행은 12조 원의 추경으로 우리 경제성장률을 0.1%포인트 끌어올릴 수 있다고 분석한 바 있는데요.
더불어민주당 등은 12조 원으로는 역부족이라며 증액 필요성을 주장하고 있습니다.
추경이 늦어질수록 내수 회복 효과가 반감될 수 있는 만큼 시기도 중요할 텐데요.
늪에 빠진 우리 경제가 추경으로 조금이나마 숨통을 트일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립니다.
[앵커]
신성우 기자, 잘 들었습니다.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교체와 똑같습니다"…SKT 유심재설정, 이것부터 챙기세요
- 2.[단독] 이재명 '상생기금 시즌3' 구상…정부·은행 조 단위 [대선2025]
- 3.이참에 끊을까?…저녁에 소맥 한잔도 부담되네
- 4.'손해봐도 일찍 받겠다'…100만원 국민연금 70만원만 탈래요
- 5."이자 낼 돈이 없어요"…아파트 덜컥 사놓더니
- 6.내 금융 소득 이렇게 많다고?…우투, 국세청 무슨 일?
- 7.위기의 백종원 파격…5월에 여기 가면 '반값'
- 8.백종원 "모두 내 불찰"…'반값' 행사에 소비자 반응은?
- 9."부모급여 월150만원은 돼야…13세 될 때까진 지원해줘야"
- 10.'쿠크다스보다 더 얇다'…초슬림 갤럭시 신기하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