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 프리뷰] 트럼프, 중국·파월에 화해 손짓?…코스피 큰 폭 상승
SBS Biz 김완진
입력2025.04.24 06:51
수정2025.04.24 07:31

■ 모닝벨 '마켓 프리뷰' - 박상현 iM증권 전문위원
Q.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계속 대화를 촉구하고, 파월 연준의장 해임 가능성도 없다고 말하면서 투자심리가 살아났는데, 어제(23일) 국내 증시도 크게 올랐죠. 먼저 어제 시장 흐름, 어떻게 보셨나요?
- 트럼프 한발 물러서자 코스피 '반색'…2,520대 복귀
- 코스피, 미·중 무역 갈등 완화 기대감 1.6% 상승
- 코스피, 상호관세 발표 직전 이후 첫 2,520선 마감
- 기관 6천861억 순매수 지수 상승 주도…개인 순매도
- 외인 1천970억 매도…현선물 합계 3천억 매수 우위
- 달러·원 환율 1,420.6원…주간거래 종가 기준 보합
- 달러·원, 야간 거래에서 상승 폭 축소…1.90원 상승
- 트럼프 "중국과의 협상 순조로워"…잇단 긍정 발언
- 백악관 일제히 시장 우호적 발언 나서…불안심리 완화
- 전문가 "금융시장 불안 더 커지기 전에 수습 나서"
- 연준 정책 스탠스 촉각…미·중 정상 회담도 미지수
- 시총 상위 종목 중 삼성전자 등 반도체주 분위기 주도
- 반도체·이차전지·자동차 동반 강세…코스닥 1.4%↑
- 위험자산 투심 개선에 방어주 약세…한전 0.59%↓
- 테슬라 반등 힘입은 이차전지주…LG엔솔 5.12%↑
- 삼성SDI 7.39%↑…현대차 등 자동차주 동반 상승
Q. 최근 이차전지가 주가가 부진했는데요. 어제는 오랜만에 분위기가 좋았습니다. 테슬라의 주가 상승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이는데, 특히 LG에너지솔루션은 5% 넘게 급등했습니다. 이 흐름, 계속 이어질까요?
- '머스크 복귀 예고' 테슬라 이어 韓 이차전지 강세
- 테슬라 반등 힘입은 이차전지주…LG엔솔 5.12%↑
- K배터리 실적 시즌 개막…1분기 일단 '숨고르기'
- LG엔솔·삼성SDI·SK온 1분기 실적 잇달아 발표
- LG엔솔 1분기 흑자 전환…삼성SDI·SK온 적자 예상
- 글로벌 전기차 성장세 둔화…주요 고객사 재고조정
- 2분기 전기차 '캐즘' 저점 판단…하반기 반등세 기대
- K-배터리 3사 1분기 합산 매출액 10조6980억 전망
- 매출 전년대비 17.3%↓ 예측…영업손실 대폭 축소
- LG엔솔 1Q 잠정매출 6조2650억…1년새 2.2%↑
- 흑자 전환한 LG엔솔 영업이익 전년대비 138.2%↑
- 삼성SDI 실적 악화 예상…주요 고객 수요 감소 여파
Q. 내부 변수로는 대선이 있습니다. 관련 테마주 변동성이 극에 달하고 있는데, 투자주의보도 내려졌어요. 경계해야겠죠?
- 정치테마주 변동성 시장 평균 6배…투자유의안내 발동
- 올 들어 정치테마주 변동성 극심…"투자자 피해 주의"
- 지난해 12월 이후 정치테마주 주가 변동률 121.81%
- 이달 '투자경고·위험' 종목 중 80% 정치테마주 차지
- 헌재 탄핵 인용 결정 이후 정치테마주 주가 급등락
- 시장경보제도 투자주의→투자경고→투자위험 3단계
- 거래소의 투자경고 종목 지정 시 신용융자 매수 불가
- 투자경고 정치테마주 다수 실적 시장 평균 대비 부진
- 거래소 "출신학교·지역 등 단순 연결고리로만 급등"
- 확인되지 않은 풍문·막연한 기대감 등 추종 매매 자제
Q. 최근 코스피보다 코스닥 상승세가 두드러집니다. 코스닥지수 상승률이 주요국 가운데 1위를 기록할 정도로 잘 달리고 있는데요. 이 분위기 계속 갈까요?
- "올해는 다르네" 美상호관세 유예후 코스닥 11.3%↑
- 상호관세 충격에 글로벌 증시 급락…코스닥 상승세 1위
- 코스피지수 상승률 8.41%↑…주요국 중 상위권 기록
- 일본 닛케이 7.90% 상승…대만 가권 8.06%↑
- 중국, 미국과 무역분쟁 격화…상하이종합 3.53%↑
- 인도 센섹스 7.78%↑ 등 개발도상국 증시도 눈길
- 코스닥, 개인 투자자 비중 크고 외인 매도세 피해
- 코스닥 시총 상위 제약·바이오주 관세 영향 적어
- 네이처셀·신라젠 등 주요 바이오주 줄줄이 상한가
- 수출 주도·관세 영향 코스피 보다 작은 규모도 장점
Q. 오늘(24일) 밤부터 우리나라와 미국간 통상협의가 시작됩니다. 환율에 방위비까지 언급될 가능성이 커보이는데, 대응 전략 어떻게 짜야 할까요?
- 한·미 관세 본격 협상 임박…트럼프 등판 여부 촉각
- 한·미, 재무·통상 장관 동시 참여…2+2 형식 협의
- '경제 사령탑' 최상목·'통상 수장' 안덕근 나란히 방미
- 최상목 "韓 입장 적극 설명"…안덕근 "차 관세 해결"
- 전문가 "한·미 관세협상 잘돼도 성장률 하락 불가피"
- 미·중 갈등에 부정적 영향…기준금리 인하 경로 관심
- '럭비공' 트럼프에 협상 방향 '안갯속'…증시 영향은?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Q.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계속 대화를 촉구하고, 파월 연준의장 해임 가능성도 없다고 말하면서 투자심리가 살아났는데, 어제(23일) 국내 증시도 크게 올랐죠. 먼저 어제 시장 흐름, 어떻게 보셨나요?
- 트럼프 한발 물러서자 코스피 '반색'…2,520대 복귀
- 코스피, 미·중 무역 갈등 완화 기대감 1.6% 상승
- 코스피, 상호관세 발표 직전 이후 첫 2,520선 마감
- 기관 6천861억 순매수 지수 상승 주도…개인 순매도
- 외인 1천970억 매도…현선물 합계 3천억 매수 우위
- 달러·원 환율 1,420.6원…주간거래 종가 기준 보합
- 달러·원, 야간 거래에서 상승 폭 축소…1.90원 상승
- 트럼프 "중국과의 협상 순조로워"…잇단 긍정 발언
- 백악관 일제히 시장 우호적 발언 나서…불안심리 완화
- 전문가 "금융시장 불안 더 커지기 전에 수습 나서"
- 연준 정책 스탠스 촉각…미·중 정상 회담도 미지수
- 시총 상위 종목 중 삼성전자 등 반도체주 분위기 주도
- 반도체·이차전지·자동차 동반 강세…코스닥 1.4%↑
- 위험자산 투심 개선에 방어주 약세…한전 0.59%↓
- 테슬라 반등 힘입은 이차전지주…LG엔솔 5.12%↑
- 삼성SDI 7.39%↑…현대차 등 자동차주 동반 상승
Q. 최근 이차전지가 주가가 부진했는데요. 어제는 오랜만에 분위기가 좋았습니다. 테슬라의 주가 상승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이는데, 특히 LG에너지솔루션은 5% 넘게 급등했습니다. 이 흐름, 계속 이어질까요?
- '머스크 복귀 예고' 테슬라 이어 韓 이차전지 강세
- 테슬라 반등 힘입은 이차전지주…LG엔솔 5.12%↑
- K배터리 실적 시즌 개막…1분기 일단 '숨고르기'
- LG엔솔·삼성SDI·SK온 1분기 실적 잇달아 발표
- LG엔솔 1분기 흑자 전환…삼성SDI·SK온 적자 예상
- 글로벌 전기차 성장세 둔화…주요 고객사 재고조정
- 2분기 전기차 '캐즘' 저점 판단…하반기 반등세 기대
- K-배터리 3사 1분기 합산 매출액 10조6980억 전망
- 매출 전년대비 17.3%↓ 예측…영업손실 대폭 축소
- LG엔솔 1Q 잠정매출 6조2650억…1년새 2.2%↑
- 흑자 전환한 LG엔솔 영업이익 전년대비 138.2%↑
- 삼성SDI 실적 악화 예상…주요 고객 수요 감소 여파
Q. 내부 변수로는 대선이 있습니다. 관련 테마주 변동성이 극에 달하고 있는데, 투자주의보도 내려졌어요. 경계해야겠죠?
- 정치테마주 변동성 시장 평균 6배…투자유의안내 발동
- 올 들어 정치테마주 변동성 극심…"투자자 피해 주의"
- 지난해 12월 이후 정치테마주 주가 변동률 121.81%
- 이달 '투자경고·위험' 종목 중 80% 정치테마주 차지
- 헌재 탄핵 인용 결정 이후 정치테마주 주가 급등락
- 시장경보제도 투자주의→투자경고→투자위험 3단계
- 거래소의 투자경고 종목 지정 시 신용융자 매수 불가
- 투자경고 정치테마주 다수 실적 시장 평균 대비 부진
- 거래소 "출신학교·지역 등 단순 연결고리로만 급등"
- 확인되지 않은 풍문·막연한 기대감 등 추종 매매 자제
Q. 최근 코스피보다 코스닥 상승세가 두드러집니다. 코스닥지수 상승률이 주요국 가운데 1위를 기록할 정도로 잘 달리고 있는데요. 이 분위기 계속 갈까요?
- "올해는 다르네" 美상호관세 유예후 코스닥 11.3%↑
- 상호관세 충격에 글로벌 증시 급락…코스닥 상승세 1위
- 코스피지수 상승률 8.41%↑…주요국 중 상위권 기록
- 일본 닛케이 7.90% 상승…대만 가권 8.06%↑
- 중국, 미국과 무역분쟁 격화…상하이종합 3.53%↑
- 인도 센섹스 7.78%↑ 등 개발도상국 증시도 눈길
- 코스닥, 개인 투자자 비중 크고 외인 매도세 피해
- 코스닥 시총 상위 제약·바이오주 관세 영향 적어
- 네이처셀·신라젠 등 주요 바이오주 줄줄이 상한가
- 수출 주도·관세 영향 코스피 보다 작은 규모도 장점
Q. 오늘(24일) 밤부터 우리나라와 미국간 통상협의가 시작됩니다. 환율에 방위비까지 언급될 가능성이 커보이는데, 대응 전략 어떻게 짜야 할까요?
- 한·미 관세 본격 협상 임박…트럼프 등판 여부 촉각
- 한·미, 재무·통상 장관 동시 참여…2+2 형식 협의
- '경제 사령탑' 최상목·'통상 수장' 안덕근 나란히 방미
- 최상목 "韓 입장 적극 설명"…안덕근 "차 관세 해결"
- 전문가 "한·미 관세협상 잘돼도 성장률 하락 불가피"
- 미·중 갈등에 부정적 영향…기준금리 인하 경로 관심
- '럭비공' 트럼프에 협상 방향 '안갯속'…증시 영향은?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무주택자만 신났다…올림픽파크포레온 줍줍 나온다
- 2.[단독] '고3 국민연금 자동 가입' 급물살 탄다…與, 대표 발의
- 3.[단독] 은행서 손바닥 등록했어도 공항선 ‘X’…확인하세요
- 4.李대통령, 산업부 장관에 김정관 두산에너빌리티 사장 지명
- 5.'20억 집 살면서 통장에 월 360만원 꽂힌다'
- 6.삼성디스플레이, 전 직원에 신제품 '갤Z플립7' 지급
- 7."월 70만원 5년 납입땐 5천만원"…청년들 이건 꼭 드세요
- 8.'내 집 살면서 月 200만원 꽂히는데'…자식이 발목?
- 9.5천원도 비싸다…치킨 한마리 3500원이라니 '어디야'
- 10.무주택자만 신났다?…10억 시세차익 올림픽파크 포레온 '줍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