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SBS Biz

[뉴욕 인사이트] 트럼프 연준 때리기에 '셀 USA'…지하 밑 또 지하?

SBS Biz
입력2025.04.22 14:58
수정2025.04.22 19:20

■ 머니쇼+ '뉴욕 인사이트' - 한지영 키움증권 투자전략팀 책임연구원

트럼프 대통령이 측근의 경고에도 파월 의장에 해임 압박 수위를 높이면서 뉴욕증시가 크게 흔들리고 있습니다. 이번 주 첫 거래부터 낙폭이 상당한데요. 새벽 뉴욕증시 움직임 짚어보고, 오늘(22일) 개장 전망과 함께 투자 전략 세워보시죠. 키움증권 투자전략팀 한지영 책임연구원 자리했습니다.



Q. 뉴욕증시가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에 도무지 면역력이 생기지 않는 모양입니다. 장 초반부터 3%대로 크게 빠지면서 시작하더니 결국 2%대 급락 마감했는데요. 어떻게 보셨나요?

- 뉴욕증시, 일제히 하락 마감…트럼프, 파월 해임 압박
- 트럼프 "즉각 금리 인하"…수위 높이는 공세에 투심↓
- 관세 정책 불확실성 속 통화정책 독립성 우려까지


- 다우, 전거래일比 2.48%↓…S&P500 2.36%↓
- 기술주 위주 큰 폭 하락…나스닥 2.55% 급락 마감
- 줄줄이 미끄러진 'M7'…테슬라 5.96% 급락
- 트럼프, 파월 재차 압박…통화정책 독립성 우려 가중
- 트럼프 "사실상 인플레이션 발생하지 않고 있어" 주장
- 파월 향해 '패배자'…조롱 섞인 "미스터 투 레이트"
- 지난 17일 "내가 그를 아웃시키고 싶다면 쫓겨날 것"
- 해싯 NEC위원장 "파월 해임 문제를 계속 검토할 것"
- 연준, 인플레이션 등 거시경제 변수 대응 우려 확대
- 트럼프, 침체 현실화 대비?…"파월에게 책임돌리려 해"
- 통화정책 독립성 침해 우려에 미 달러화 자산 '탈출'
- 99선 무너진 달러인덱스…3년 만에 최저 수준 기록
- 미 국채, 장기물 중심 수익률 급등…10년물 4.4%대
- 장기물 던지는 투자자들…"미 경제 중장기 전망 신뢰↓"
- 미국 무역 협상 진전 징후 없어…중국 '묵묵부답' 대응
- 압박할수록 운신 폭 좁아지는 연준…"인하 더 어려워"
- 전문가 "파월 해임하면 채권수익률↑·달러↓·주식↓"

Q. 파월 의장이 시카고 이코노믹 클럽에서 연설한 내용이 굉장히 마음에 안 들었나 봅니다. 관세가 인플레이션을 악화시키고 경제 성장을 둔화시킬 것이다. 스태그플레이션 가능성을 시사한 건데요. 이미 시장 전반에서 이와 같은 예상이 계속되고 있었는데 파월 의장의 말에 유난히 뼈를 맞았나 봐요?

- 트럼프 연준 때리기에 '셀 USA'…지하 밑 또 지하?
- 파월 "관세, 인플레 악화시키고 경제 성장 둔화 예상"
- 파월 "중앙은행, 도전적인 시나리오 직면할 가능성"
- 스태그플레이션 떠올린 뉴욕증시…잔뜩 뿔난 트럼프
- '파월 때리기'에 시장 '요동'…"미 달러·국채 가치 상실"

Q. M7 종목이 크게 흔들렸습니다. 엔비디아 주가가 결국 100달러 선이 깨졌는데요. H20 칩마저 대중 수출 길이 막히면서 젠슨 황이 중국에 이어 일본을 방문 중입니다. 이런 와중에 화웨이가 이르면 내달부터 중국에 첨단 AI칩을 대량 출하하겠다고 밝혔어요?

- 미국 주요 대형 기술주 트럼프의 파월 압박에 '흔들'
- 엔비디아, 전 거래일대비 4.51%↓…96.91달러 기록
- 엔비디아, 13일 만에 종가 기준 100달러선 다시 붕괴
- 장중 약 6%대 추락…H20 칩 대중 규제 여파 지속
- '시총 1위' 애플 1.94% 하락…장중 3%대↓ 후 회복
- 스마트폰 등 상호관세 제외…미·중 관세 전쟁 불안
- 구글, 반독점 소속에서 패소…크롬 매각 위기에 하락
- 중국 찍고 일본 간 젠슨 황…이시바 총재와 면담
- 젠슨 황, AI 로봇 관련 "日 기업에 혁명 일으킬 것"
- 중국 화웨이, 이르면 내달 자국에 AI 칩 대량 출하
- 엔비디아·AMD 대중 수출 중단…910C GPU 출하
- 910C, 엔비디아 H100 칩 비슷한 수준 성능 예측

Q. 엔비디아뿐 아니라 AMD, 퀄컴, 브로드컴 등 반도체주가 일제히 하락했는데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가 다른 곳이 아닌 미국 기업을 직격타 하는 모습이에요?

- 미·중 무역 전쟁 속 글로벌 반도체기업 실적 '격랑'
- 1분기 엔비디아·인텔 '타격'…TSMC 역대급 실적
- 미국·유럽 기업들, 관세 우려에 대중 수출 제한 타격
- 한·대만 반도체 기업들, AI 수요 급증에 상대적 양호

Q. 테슬라는 이렇게까지 떨어져도 되나 싶습니다. 자동차 대중 수출 규제도 문제지만 테슬라 자체 악재도 있습니다. 일단 저가형 모델 출시가 연기됐고요. 무엇보다 머스크 CEO 리스크가 커요?

- 1분기 실적 앞둔 테슬라 5.75%↓…한대 7%대 급락
- 머스크 '오너 리스크' 지속…테슬라 판매 큰 폭 축소
- 바클레이스, 테슬라 목표가 325→275달러 대폭 조정
- 테슬라, 저가형 모델Y 생산 내년으로 연기 가능성
- 잠 못 드는 투자자들…테슬라 실적 악영향 우려↑
- 증권사 "머스크, 트럼프 정부 떠나 경영에 집중해야"
- 전문가 "머스크 경영 복귀한다면 최고의 자산 회귀"

Q. 테슬라 결국 시총 상위 10위 밖으로 밀려났는데요. 그 자리를 월마트가 채웠습니다. 그런데 월마트 CEO가 트럼프 대통령을 만날 예정이라고요?

- 트럼프, 미국 대형유통업체 임원들과 관세 영향 논의
- 테슬라 주가 급락에 월마트 시총 10위…"성장 안정적"
- 월마트 CEO 등 백악관 초청…통상 정책 영향 논의
- 광범위한 관세 정책에 대형유통업체들 실적 악화 위기
- 월마트 "판매제품 약 3분의 2는 미국 생산·재배"
- 월마트 "중국·멕시크 중요한 공급국"…실적 타격 우려
- 미 전국소매연맹 "관세, 미국 소비자에게 피해 줄 수도"

Q. 파월 흔들기가 점점 심해지면서 셀 아메리카 현상이 점점 확대하고 있습니다. 달러인덱스가 99선이 깨진 이후 좀처럼 반등하지 못하고 있는데요. 그 자리를 유로화, 스위스프랑, 엔화 등이 대신하고 있어요?

- 달러화 3년 만 최저…'파월 때리기'에 미국 자산 탈출
- 연준 독립성 우려…달러인덱스 2022년 3월 후 최저
- 달러화 투자자금, 안전자산 통화 쏠림…스위스프랑 인기
- 스위스프랑 대비 달러화 0.804달러…10년 만 최저
- 굴스비 "연준 독립성 침해, 인플레 대응 능력 약화"
- 전문가 "투자자들, 명백히 놀라고 있고 공포감 지배"

Q. 달러 약세에 안전자산 수요가 급증하면서 금값이 천정부지로 오르고 있는데요. 온스당 3400달러선을 터치했는데요. 여기서 더 오를까요?

- 국제 금값, 미 달러화 약세 속 최고치 다시 경신
- 금 선물, 장중 한때 3400달러선 터치…최고치 경신
- 공포가 지배하는 자본시장…안전자산으로 머니무브
- 금값, 올해 29% 이상 급등…최근 저점대비 14%↑
- 금 ETF 보유 규모 12주 상승…2022년 이후 최장
- 골드만 "금, 내년 중반 온스당 4000달러 가능성"

Q. 장기채 위주로 미 국채 수익률도 급등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 성격성 당분간 압박은 계속될 것으로 보이는데요. 내년 5월이 임기 만료인 파월 의장도 쉽게 물러서진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셀 아메리카가 더 확산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는데요. 투자 전략 어떻게 갖고 가야 할까요?

- 흔들리는 미국 금융패권…달러·증시·국채 탈출 러시
- '미국 3종 세트' 인기 추락…트럼프에 미국 신뢰↓
- 미 국채 시장서 자금 이탈 지속…30년물 금리 상승
- 4.5%대로 치솟던 국채 수익률, 최근 4.4% 수준
- "아직 트럼프 취임 100일도 안돼"…투자자들 한숨
- 이달 다우 하락폭, 1932년 4월 후 최악 기록 예상
- 국제 금 선물 가격, 장중 온스당 3504달러 기록
- 금 현물 가격, 3450달러선…사상 최고가 경신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