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사칭 계약 유도…공정위, 광고대행 사기업체 수사 의뢰
SBS Biz 김한나
입력2025.04.16 09:44
수정2025.04.16 10:00

공정위는 오는 27일 온라인 광고대행 불법행위 대응 TF 수사의뢰 검토 회의를 개최하고 올해 1분기 신고 다발 광고대행업체 가운데 7개 업체를 수사 의뢰하기로 결정했다고 오늘(16일) 밝혔습니다.
해당 업체들의 주요 불법 온라인 광고대행 행위는 대형 플랫폼이나 공공기관을 사칭해 계약 체결을 유도하거나 매월 소액 광고비만 납부하는 것처럼 속인 후 동의 없이 전체 계약기간에 대한 이용 금액을 일괄 결제하도록 하는 방식입니다.
또 검색상위 노출, 매출 보장 등을 약속하고 이행하지 않거나 계약 해지 요청 시 잠적하고 계약 체결 직후 해지 요구 시 환불 거부나 과도한 위약금(최대 74%) 부과 등을 하는 경우가 포함됩니다.
공정위가 수사를 의뢰한 7개 업체 가운데 5개는 동일한 계약서를 사용하거나 동일한 대표가 운영하는 등 사실상 한 업체가 여러 대행사를 설립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공정위는 온라인 광고대행업체의 불법행위 피해를 입은 자영업자가 편리하게 신고할 수 있도록 '온라인 광고대행 사기 신고센터'를 운영 중이며 관련 피해 예방을 위한 교육·홍보 등도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앞으로 TF는 온라인 광고대행업체들의 사기행위 등에 대한 엄정한 법 집행과 자영업자 대상 교육·홍보 확대를 통해 온라인 광고대행 시장의 경쟁기반을 훼손하는 불법행위가 근절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갈 계획입니다.
아울러 올해 2분기 중 자영업자가 온라인 광고대행 계약을 권유받을 때 주의사항을 항상 인지할 수 있도록 사업장 내 부착할 수 있는 스티커를 배포할 예정이라고 공정위는 설명했습니다.
공정위는 자영업자 스스로 피해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서는 계약 전 포털이나 공공기관 사칭 시 계약을 보류하거나 결제 정보를 선제공하지 않고 최종 결제금액을 확인하는 등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당부했습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제주 면세점서 양주 500밀리 4병 사다줘"…'이거' 사라졌다
- 2.[단독] 민주, 내달 4일 전 상법 개정안 처리
- 3.월급 397만원 받는다고요?…대한민국 평균 직장인입니다
- 4."도수치료 안 받는데"…이런 분들 실손보험료 확 줄어든다
- 5.15년 전 가격에 통큰치킨 오픈런…"팔자마자 동났다"
- 6.대륙의 실수는 잊어라…청소기, 전기차 다음은 샤오미?
- 7.스테이블코인 뭐길래…관련주 '널뛰기'
- 8.근로장려금 오늘부터 입금…맞벌이·노인 수혜 늘었다
- 9.하루 만에 휴전, 요동친 내 비트코인, 금값…향후 향배는
- 10.근로장려금 '노인과 맞벌이' 손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