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재경의 인사이트] 갈수록 확대되는 시장의 변동성…어느 정도일까?
SBS Biz
입력2025.04.16 07:49
수정2025.04.16 09:39

■ 머니쇼 '송재경의 인사이트' - 송재경 디멘젼투자자문 투자부문 대표
[이번 주 증시 이벤트]
▲14일(월)
[산업] OPEC 월간 원유시장 보고서, NCT WISH 컴백(에스엠)
- 중국 3월 수출입
- 일본 2월 설비가동률, 광공업생산
- 미국 실적 : 골드만삭스
▲15일(화)
- 美 에너지부 민감국가·기타 지정국가 조치 발효
[산업] 관세청 월간 수출입 무역통계 : MLCC
- 한국 2월 통화공급 M2
- 미국 1년물 국채입찰
3월 수출입물가
4월 뉴욕주 제조업 지수
- 유럽 2월 산업생산
4월 ZEW 서베이 예상
- 미국 실적 : 존슨앤존슨, 뱅크오브아메리카, 시티그룹
▲16일(수)
- ECB 통화정책회의
- SEC- 리플 항소장 답변서 제출 기한
[산업] 제4차 P4G 정상회의, 2025 전자제조산업전, 오토모티브월드(~18)
- 한국 3월 수출입물가
- 미국 20년물 국채 입찰
3월 광공업생산, 설비가동률
4월 NAHB 주택시장지수
3월 소매판매, 근원 소매판매
- 중국 3월 실업률, 광공업생산, 소매판매
1분기 GDP
- 유럽 3월 CPI, 근원 CPI
- 미국 실적 : 유나이티드 항공, 유나이티드헬스
▲17일(목)
- 한국 금융통화위원회
[산업] 서클차트 3월 앨범 판매량 발표
- 미국 3월 주택착공건수, 건축허가
4월 필라델피아 연준 경기 전망
- 일본 3월 수출입
- 미국 실적 : 넷플릭스,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찰스슈왑
▲18일(금)
[휴장] 미국, 독일, 영국, 홍콩, 프랑스 (부활절)
- 일본 3월 전국, 국내 CPI
[전일장 증시 리뷰와 분석]
◇ 먼저 뉴욕증시 마감 상황부터 짚어보고 본격적인 이야기 시작해 볼까요?
- "미중 무역 긴장 여전"…뉴욕증시 마감 상황은?
- 뉴욕증시 3대 지수 약보합…나스닥 0.05%↓
- 나스닥 - 0.05% S&P500 - 0.17% 다우 - 0.38%
-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4,021.89…0.47%↑
- 트럼프 관세에 中 대미 무역제재 확대·버티기
- 백악관 "공은 중국으로 넘어가…협상에 나서야"
- 中 희토류 수출 제한·보잉 항공기 인도 취소
- FT "中 강력한 카드 많아 트럼프 초조해질 것"
- NYT "中 희토류 통제…美 국방력 의존성 상기"
- 씨티 1분기 매출 216억·EPS 1.96달러…예상 상회
- BofA 1분기 매출 274억·EPS 0.9달러…예상 상회
- 씨티 2%대·BofA 3%대↑…"예상치 넘는 호실적"
- 넷플릭스 5%대↑…"경영진 낙관적 실적 기대"
- 美 3월 수입물가 전월비 0.1%↓…"마이너스 전환"
◇ 최근 시장의 변동성이 ‘역대급’이라는 표현을 써도 될 정도로 커졌습니다. 뉴욕증시는 특히나 등락폭이 갈수록 확대되는 것 같아요?
- 갈수록 확대되는 시장의 변동성…어느 정도일까?
- 최근 美 시장 변동성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최고
- 변동성 지수 최고- 최저 간 변동률, 역대 두 번째
- 트럼프의 잦은 '관세' 관련 발언…증시 변동성↑
- 모건스탠리 "트럼프에 두 번 속으면 당신 탓"
- 모건스탠리, 변동성 심한 증시 신중한 접근 경고
- "조심해, 또 속을 거야"…방심하지 말라는 월가
◇ 최근 글로벌 펀드 매니저들을 대상으로 향후 1년 내의 경제 전망에 대해 조사했다는데, 결과가 어땠나요?
- 글로벌 펀드 매니저 설문…12개월 내 경기 침체?
- BofA 글로벌 펀드 매니저 설문 "1년 내 경기 침체"
- 1년 내 침체 발생 우려…지난달 11%→이달 49%
- 트럼프 정책으로 인한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
- 과거 경기 침체 우려 시 강달러·국채수익률 하락
- 최근, 달러와 미 국채수익률 흐름 정반대로 나타나
- 달러·미국채 안전자산 지위에 대한 우려 확대
◇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인플레이션과 경기 침체가 우려되면서 미국 주식시장에서의 머니 무브가 일어날 수도 있다는데요. 어떨까요?
-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구조적 머니무브 유발?
- 美 무역적자…대미 무역흑자 국가의 매입으로
- 美 주식 20%·국채 30%·회사채 36%, 외국인 보유
- 美 증시, 외국인 이탈 시 구조적 머니무브 우려
- 뉴욕증시 떠나는 美 개인 투자자…"안전자산으로"
- 트럼프 정책 불확실성에 美 경제 신뢰도 하락
- 美 경제에 대한 신뢰 하락…글로벌 머니무브 우려
◇ 글로벌 펀드 매니저들이 미국 주식에 대한 비중 축소 의향도 노은 것으로 나타났죠. 이게 25년 만이라고 하던데요?
- 글로벌 큰손들, 美 주식 비중 축소 의향 증가?
- 글로벌 펀드매니저들, 美 주식 비중 축소 의향↑
- 美 주식 비중 축소 의향…25년 만에 가장 높아
- "단기간에 아주 큰일을 해낸 도널드 트럼프"
- 최근 2주간 美 주식 펀드 순 유출 8년래 최고
◇ 최근 미시간대가 발표한 소비자심리지수를 보면 실업률 상승이나 기대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높더라고요?
- 美 소비자들, 일자리 잃을 우려에 전전긍긍?
- 미시간대, 美 소비자 조사…"실업률 상승 우려↑"
- 소비자 조사…6개월 시차 두고 실제 실업률 상승
- 실업률, 하반기 경기 침체 우려와 궤를 같이 해
◇ 관세 정책이 발표된 이후로 불안한 건 미국의 기업들도 마찬가지라고 하죠. 설비 투자도 망설이고 있다고 해요?
- 불확실성 커지며 투자도 망설이는 美 기업들?
- 트럼프 관세 발표 후 美 기업 투자 계획 급감
- 불확실성 증가…설비 투자 망설이는 美 기업들
- 美 기업 CEO 대상 설문…경기에 대한 신뢰도↓
- 경기 신뢰도↓…시차 두고 신용 스프레드 상승
◇ 미국의 관세 정책이 결정되고 발표된 이후로 특히 비우량 기업들의 자금 조달도 어려워졌다고 해요?
- 美 비우량 기업, 자금 조달 더 어려워진 상황?
- 美 비우량 기업들에 자금 대출 급격히 감소
- 부채 많고 마진 낮은 기업일수록 자금 조달 난항
- 美 일부 기업, 고금리로 자금 빌려야 하는 악순환
◇ 미국의 경기 둔화 징조를 파악하는 여러 데이터 중 하나가 미국 공항 트래픽이죠. 최근 이 데이터에도 변화가 있었다고 해요?
- 최근 들어 美 공항 이용객 수도 감소하는 추세?
- 美 공항 이용객 수…경기 둔화 징조 확인 가능
- 트럼프 관세 발표 전후, 美 공항 이용객 수 역성장
- 美 공항 이용객 수의 감소…"경기 둔화 조기 신호“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이번 주 증시 이벤트]
▲14일(월)
[산업] OPEC 월간 원유시장 보고서, NCT WISH 컴백(에스엠)
- 중국 3월 수출입
- 일본 2월 설비가동률, 광공업생산
- 미국 실적 : 골드만삭스
▲15일(화)
- 美 에너지부 민감국가·기타 지정국가 조치 발효
[산업] 관세청 월간 수출입 무역통계 : MLCC
- 한국 2월 통화공급 M2
- 미국 1년물 국채입찰
3월 수출입물가
4월 뉴욕주 제조업 지수
- 유럽 2월 산업생산
4월 ZEW 서베이 예상
- 미국 실적 : 존슨앤존슨, 뱅크오브아메리카, 시티그룹
▲16일(수)
- ECB 통화정책회의
- SEC- 리플 항소장 답변서 제출 기한
[산업] 제4차 P4G 정상회의, 2025 전자제조산업전, 오토모티브월드(~18)
- 한국 3월 수출입물가
- 미국 20년물 국채 입찰
3월 광공업생산, 설비가동률
4월 NAHB 주택시장지수
3월 소매판매, 근원 소매판매
- 중국 3월 실업률, 광공업생산, 소매판매
1분기 GDP
- 유럽 3월 CPI, 근원 CPI
- 미국 실적 : 유나이티드 항공, 유나이티드헬스
▲17일(목)
- 한국 금융통화위원회
[산업] 서클차트 3월 앨범 판매량 발표
- 미국 3월 주택착공건수, 건축허가
4월 필라델피아 연준 경기 전망
- 일본 3월 수출입
- 미국 실적 : 넷플릭스,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찰스슈왑
▲18일(금)
[휴장] 미국, 독일, 영국, 홍콩, 프랑스 (부활절)
- 일본 3월 전국, 국내 CPI
[전일장 증시 리뷰와 분석]
◇ 먼저 뉴욕증시 마감 상황부터 짚어보고 본격적인 이야기 시작해 볼까요?
- "미중 무역 긴장 여전"…뉴욕증시 마감 상황은?
- 뉴욕증시 3대 지수 약보합…나스닥 0.05%↓
- 나스닥 - 0.05% S&P500 - 0.17% 다우 - 0.38%
-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4,021.89…0.47%↑
- 트럼프 관세에 中 대미 무역제재 확대·버티기
- 백악관 "공은 중국으로 넘어가…협상에 나서야"
- 中 희토류 수출 제한·보잉 항공기 인도 취소
- FT "中 강력한 카드 많아 트럼프 초조해질 것"
- NYT "中 희토류 통제…美 국방력 의존성 상기"
- 씨티 1분기 매출 216억·EPS 1.96달러…예상 상회
- BofA 1분기 매출 274억·EPS 0.9달러…예상 상회
- 씨티 2%대·BofA 3%대↑…"예상치 넘는 호실적"
- 넷플릭스 5%대↑…"경영진 낙관적 실적 기대"
- 美 3월 수입물가 전월비 0.1%↓…"마이너스 전환"
◇ 최근 시장의 변동성이 ‘역대급’이라는 표현을 써도 될 정도로 커졌습니다. 뉴욕증시는 특히나 등락폭이 갈수록 확대되는 것 같아요?
- 갈수록 확대되는 시장의 변동성…어느 정도일까?
- 최근 美 시장 변동성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최고
- 변동성 지수 최고- 최저 간 변동률, 역대 두 번째
- 트럼프의 잦은 '관세' 관련 발언…증시 변동성↑
- 모건스탠리 "트럼프에 두 번 속으면 당신 탓"
- 모건스탠리, 변동성 심한 증시 신중한 접근 경고
- "조심해, 또 속을 거야"…방심하지 말라는 월가
◇ 최근 글로벌 펀드 매니저들을 대상으로 향후 1년 내의 경제 전망에 대해 조사했다는데, 결과가 어땠나요?
- 글로벌 펀드 매니저 설문…12개월 내 경기 침체?
- BofA 글로벌 펀드 매니저 설문 "1년 내 경기 침체"
- 1년 내 침체 발생 우려…지난달 11%→이달 49%
- 트럼프 정책으로 인한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
- 과거 경기 침체 우려 시 강달러·국채수익률 하락
- 최근, 달러와 미 국채수익률 흐름 정반대로 나타나
- 달러·미국채 안전자산 지위에 대한 우려 확대
◇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인플레이션과 경기 침체가 우려되면서 미국 주식시장에서의 머니 무브가 일어날 수도 있다는데요. 어떨까요?
-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구조적 머니무브 유발?
- 美 무역적자…대미 무역흑자 국가의 매입으로
- 美 주식 20%·국채 30%·회사채 36%, 외국인 보유
- 美 증시, 외국인 이탈 시 구조적 머니무브 우려
- 뉴욕증시 떠나는 美 개인 투자자…"안전자산으로"
- 트럼프 정책 불확실성에 美 경제 신뢰도 하락
- 美 경제에 대한 신뢰 하락…글로벌 머니무브 우려
◇ 글로벌 펀드 매니저들이 미국 주식에 대한 비중 축소 의향도 노은 것으로 나타났죠. 이게 25년 만이라고 하던데요?
- 글로벌 큰손들, 美 주식 비중 축소 의향 증가?
- 글로벌 펀드매니저들, 美 주식 비중 축소 의향↑
- 美 주식 비중 축소 의향…25년 만에 가장 높아
- "단기간에 아주 큰일을 해낸 도널드 트럼프"
- 최근 2주간 美 주식 펀드 순 유출 8년래 최고
◇ 최근 미시간대가 발표한 소비자심리지수를 보면 실업률 상승이나 기대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높더라고요?
- 美 소비자들, 일자리 잃을 우려에 전전긍긍?
- 미시간대, 美 소비자 조사…"실업률 상승 우려↑"
- 소비자 조사…6개월 시차 두고 실제 실업률 상승
- 실업률, 하반기 경기 침체 우려와 궤를 같이 해
◇ 관세 정책이 발표된 이후로 불안한 건 미국의 기업들도 마찬가지라고 하죠. 설비 투자도 망설이고 있다고 해요?
- 불확실성 커지며 투자도 망설이는 美 기업들?
- 트럼프 관세 발표 후 美 기업 투자 계획 급감
- 불확실성 증가…설비 투자 망설이는 美 기업들
- 美 기업 CEO 대상 설문…경기에 대한 신뢰도↓
- 경기 신뢰도↓…시차 두고 신용 스프레드 상승
◇ 미국의 관세 정책이 결정되고 발표된 이후로 특히 비우량 기업들의 자금 조달도 어려워졌다고 해요?
- 美 비우량 기업, 자금 조달 더 어려워진 상황?
- 美 비우량 기업들에 자금 대출 급격히 감소
- 부채 많고 마진 낮은 기업일수록 자금 조달 난항
- 美 일부 기업, 고금리로 자금 빌려야 하는 악순환
◇ 미국의 경기 둔화 징조를 파악하는 여러 데이터 중 하나가 미국 공항 트래픽이죠. 최근 이 데이터에도 변화가 있었다고 해요?
- 최근 들어 美 공항 이용객 수도 감소하는 추세?
- 美 공항 이용객 수…경기 둔화 징조 확인 가능
- 트럼프 관세 발표 전후, 美 공항 이용객 수 역성장
- 美 공항 이용객 수의 감소…"경기 둔화 조기 신호“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무주택자만 신났다…올림픽파크포레온 줍줍 나온다
- 2.[단독] '고3 국민연금 자동 가입' 급물살 탄다…與, 대표 발의
- 3.[단독] 은행서 손바닥 등록했어도 공항선 ‘X’…확인하세요
- 4.李대통령, 산업부 장관에 김정관 두산에너빌리티 사장 지명
- 5.'20억 집 살면서 통장에 월 360만원 꽂힌다'
- 6."월 70만원 5년 납입땐 5천만원"…청년들 이건 꼭 드세요
- 7.삼성디스플레이, 전 직원에 신제품 '갤Z플립7' 지급
- 8.'내 집 살면서 月 200만원 꽂히는데'…자식이 발목?
- 9.5천원도 비싸다…치킨 한마리 3500원이라니 '어디야'
- 10.무주택자만 신났다?…10억 시세차익 올림픽파크 포레온 '줍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