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부과'에 폭락한 美 국채…서학개미들 장기채 '줍줍'
SBS Biz 이민후
입력2025.04.15 17:50
수정2025.04.15 18:43

[앵커]
최근 관세전쟁 속에서 대표적인 안전자산으로 꼽히는 미국 국채가 흔들리자 국내 투자자들은 이른바 줍줍에 나섰습니다.
국채 금리가 폭등하면서 가격이 떨어지자 저점 매수에 들어간 것으로 분석됩니다.
이민후 기자입니다.
[기자]
아시아 시장에서 미국채 10년물 금리는 불안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지난 7일 3.88%에 문을 열었던 미국채 10년물 금리는 지난 11일 기준 4.49%로 마감하면서 주간 기준으로 2001년 이후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습니다.
특히 지난 9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상호관세 발표에 0.50%p 급등하기도 했습니다.
금리가 폭등하면서 가격이 폭락하자 투자자들이 미국채 매집에 나섰습니다.
지난주 초 국내 투자자들은 미국 채권 매도세가 강했지만 지난 11일부터는 급격하게 사들이기 시작했습니다.
미국 국채에 투자하는 ETF를 찾는 서학개미들도 늘었습니다.
최근 한 주 동안 국내 자산운용사 3곳의 미국체 30년물 ETF에만 1000억 원 넘게 몰리면서 순매수 ETF 상위권을 차지했습니다.
[박상현 / iM증권 연구원 : 저가 매수의 움직임으로 파악하고 있고요. 상호 관세와 관련된 우려가 진정되는 것이 국채금리 안정에 기여를 하고 있지만 앞으로 물가 리스크라든지 또 미중 갈등 문제 등이 여전히 잠재해 있기 때문에 (채권 안정화에는) 시간이 좀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미국 국채를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이 보유한 중국의 투매 가능성도 거론되면서 채권 시장의 출렁임이 당분간 이어질 전망입니다.
SBS Biz 이민후입니다.
최근 관세전쟁 속에서 대표적인 안전자산으로 꼽히는 미국 국채가 흔들리자 국내 투자자들은 이른바 줍줍에 나섰습니다.
국채 금리가 폭등하면서 가격이 떨어지자 저점 매수에 들어간 것으로 분석됩니다.
이민후 기자입니다.
[기자]
아시아 시장에서 미국채 10년물 금리는 불안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지난 7일 3.88%에 문을 열었던 미국채 10년물 금리는 지난 11일 기준 4.49%로 마감하면서 주간 기준으로 2001년 이후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습니다.
특히 지난 9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상호관세 발표에 0.50%p 급등하기도 했습니다.
금리가 폭등하면서 가격이 폭락하자 투자자들이 미국채 매집에 나섰습니다.
지난주 초 국내 투자자들은 미국 채권 매도세가 강했지만 지난 11일부터는 급격하게 사들이기 시작했습니다.
미국 국채에 투자하는 ETF를 찾는 서학개미들도 늘었습니다.
최근 한 주 동안 국내 자산운용사 3곳의 미국체 30년물 ETF에만 1000억 원 넘게 몰리면서 순매수 ETF 상위권을 차지했습니다.
[박상현 / iM증권 연구원 : 저가 매수의 움직임으로 파악하고 있고요. 상호 관세와 관련된 우려가 진정되는 것이 국채금리 안정에 기여를 하고 있지만 앞으로 물가 리스크라든지 또 미중 갈등 문제 등이 여전히 잠재해 있기 때문에 (채권 안정화에는) 시간이 좀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미국 국채를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이 보유한 중국의 투매 가능성도 거론되면서 채권 시장의 출렁임이 당분간 이어질 전망입니다.
SBS Biz 이민후입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단독] 국민연금 월 300만 원 처음 나왔다…누굴까?
- 2."위약금, SKT 사운 걸려"…"영업정지 최대 3개월 가능"
- 3."주말에도 영화관 자리 텅텅 비더니"…결국 이런 일이
- 4."시장서 물건 사니 돈 돌려주네"…10% 환급 뭐야 뭐?
- 5.SKT에 '위약금 면제·인당 30만원 배상' 요구 집단분쟁조정 신청
- 6."부자로 죽지 않겠다"…빌 게이츠 "재산 99% 앞으로 20년간 사회에 환원"
- 7."월급 많이줘도 싫어요" 짐싸는 지방 청년들…어디로 갔나?
- 8.'이것 없는 한국, 상상하기 어렵다'…이 회사 또 일 냈다
- 9.늙어가는 대한민국…국민연금 수령은 68세부터?
- 10.대선 앞두고 세종 아파트값 상승률 '전국 1위' 파죽지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