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업 외엔 출구없다"…자영업 최악의 불황
SBS Biz 서주연
입력2025.04.15 17:49
수정2025.04.15 19:16

[앵커]
대표적인 내수업종인 숙박과 음식업이 2년 가까이 최장 부진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에 정부가 자영업 지원 등을 위해 당초보다 2조 원 늘린 추가경정예산안을 꺼내 들었습니다.
사상 최악의 내수 침체로 자영업자들은 이미 무더기 폐업으로 내몰리고 있습니다.
그 실태를 서주연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기자]
음식 조리에 손님 응대, 배달까지 혼자 도맡아 하지만 한 달에 손에 쥐는 건 150만 원이 전부입니다.
[이천기 / 보쌈 음식점 운영 : "2만 원짜리 팔면 식자재비 (프랜차이즈) 로열티가 나가면 이것저것 다 빼면 1천~2천 원 남습니다. 고정비다 보니까 장사가 안되더라도 저희가 그걸 지불해야 하기 때문에 저도 사장이지만 배달을 나가서 배달비를 따로 벌어서….]
더 이상 버틸 힘이 없어 결국 가게문을 닫는 사장님도 늘고 있습니다.
[자영업자 : (치킨집을) 접으려고 생각하고 있어요. 좀 돈이 남아야 할 건데 권리금 싸게 내놔도 안 나가고 이 상태로 계속 가면 대부분 무너질 수밖에 없어요.]
자영업 대표 업종인 숙박과 음식점이 통계 집계이래 최장기인 22개월 침체에 빠졌습니다.
자영업자 대부분이 대출을 받아 사업을 시작하는데 지난 1분기 이 규모가 1천억원 늘어나는 데 그쳐 2005년이후 최저를 보였습니다.
이미 대출을 받은 자영업자 가운데 3개월 이상 연체한 사업자도 1년 사이 35% 급증했습니다.
[손성원 / 중소기업중앙회 소상공인정책실장 : 소기업 소상공인 폐업공제금도 지금 기록적인 공제금 지급 수치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지자체 단위 사업으로 지역의 소상공인 활성화를 위한 특화사업들을 고민할 시점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대출빚과 폐업에 내몰린 자영업자들의 재기를 위해서는 재취업 교육과 일자리 지원 강화 등의 대책도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SBS Biz 서주연입니다.
대표적인 내수업종인 숙박과 음식업이 2년 가까이 최장 부진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에 정부가 자영업 지원 등을 위해 당초보다 2조 원 늘린 추가경정예산안을 꺼내 들었습니다.
사상 최악의 내수 침체로 자영업자들은 이미 무더기 폐업으로 내몰리고 있습니다.
그 실태를 서주연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기자]
음식 조리에 손님 응대, 배달까지 혼자 도맡아 하지만 한 달에 손에 쥐는 건 150만 원이 전부입니다.
[이천기 / 보쌈 음식점 운영 : "2만 원짜리 팔면 식자재비 (프랜차이즈) 로열티가 나가면 이것저것 다 빼면 1천~2천 원 남습니다. 고정비다 보니까 장사가 안되더라도 저희가 그걸 지불해야 하기 때문에 저도 사장이지만 배달을 나가서 배달비를 따로 벌어서….]
더 이상 버틸 힘이 없어 결국 가게문을 닫는 사장님도 늘고 있습니다.
[자영업자 : (치킨집을) 접으려고 생각하고 있어요. 좀 돈이 남아야 할 건데 권리금 싸게 내놔도 안 나가고 이 상태로 계속 가면 대부분 무너질 수밖에 없어요.]
자영업 대표 업종인 숙박과 음식점이 통계 집계이래 최장기인 22개월 침체에 빠졌습니다.
자영업자 대부분이 대출을 받아 사업을 시작하는데 지난 1분기 이 규모가 1천억원 늘어나는 데 그쳐 2005년이후 최저를 보였습니다.
이미 대출을 받은 자영업자 가운데 3개월 이상 연체한 사업자도 1년 사이 35% 급증했습니다.
[손성원 / 중소기업중앙회 소상공인정책실장 : 소기업 소상공인 폐업공제금도 지금 기록적인 공제금 지급 수치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지자체 단위 사업으로 지역의 소상공인 활성화를 위한 특화사업들을 고민할 시점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대출빚과 폐업에 내몰린 자영업자들의 재기를 위해서는 재취업 교육과 일자리 지원 강화 등의 대책도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SBS Biz 서주연입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단독] 국민연금 월 300만 원 처음 나왔다…누굴까?
- 2."위약금, SKT 사운 걸려"…"영업정지 최대 3개월 가능"
- 3."주말에도 영화관 자리 텅텅 비더니"…결국 이런 일이
- 4."시장서 물건 사니 돈 돌려주네"…10% 환급 뭐야 뭐?
- 5.SKT에 '위약금 면제·인당 30만원 배상' 요구 집단분쟁조정 신청
- 6."월급 많이줘도 싫어요" 짐싸는 지방 청년들…어디로 갔나?
- 7.늙어가는 대한민국…국민연금 수령은 68세부터?
- 8."부자로 죽지 않겠다"…빌 게이츠 "재산 99% 앞으로 20년간 사회에 환원"
- 9.'이것 없는 한국, 상상하기 어렵다'…이 회사 또 일 냈다
- 10.대선 앞두고 세종 아파트값 상승률 '전국 1위' 파죽지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