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항공기 비상문' 통제 보안점검 착수…예방 매뉴얼 강화
SBS Biz 류정현
입력2025.04.15 16:34
수정2025.04.15 16:34

제주공항에서 이륙을 준비하던 에어서울 항공기 내에서 한 승객이 비상문을 무단 개방한 사건과 관련, 국토교통부가 항공 보안 체계를 면밀히 살펴 재발 방지 대책 마련에 나섭니다.
국토부는 15일 비상문 접근 통제와 객실 승무원 보안 훈련 시스템 등을 비롯한 항공기 보안 체계 전반에 대한 점검에 착수한다고 밝혔습니다.
국토부는 비상문 인접 좌석의 배정 기준 및 관리 체계와 승객에게 '일반 상황에서의 비상문 조작'이 금지 행위임을 안내하는 절차, 이륙 준비 상황에서의 승객 통제 절차 등이 현장에서 적절히 시행되고 있는지를 점검할 방침입니다.
또 기내 안전요원인 승무원들이 무단으로 비상문을 열 우려가 있는 '기내 비정상 행동'을 미리 식별해 감시할 수 있도록 보안 훈련도 강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앞서 국토부는 2023년 5월 착륙을 준비하던 아시아나항공 여객기에서 승객이 비상문을 개방한 사건의 최종 보고서에서 승무원들이 승객 감시를 소홀히 했다고 지적한 바 있습니다.
당시 사건을 계기로 지난해 개정된 '국가민간항공보안 교육훈련 지침'은 승무원 필수 교육에 승객의 부자연스러운 행동을 식별하는 절차를 포함했습니다.
다만 이번 사건처럼 큰 이상 징후가 없었고, 창가에서 다소 멀리 떨어져 앉아 있었던 승객이 갑작스럽게 이동해 비상문을 여는 일을 막지는 못했습니다.
국토부 관계자는 "기내에서 승객의 이상의 징후가 포착됐을 때 즉시 대응할 수 있도록 매뉴얼과 훈련 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한편 이번 에어서울 비상문 개문 사건은 인명 피해가 없고 항공기에 중대한 손상이 발생하지 않은 만큼 만큼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항철위)의 조사 대상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단독] 국민연금 월 300만 원 처음 나왔다…누굴까?
- 2."위약금, SKT 사운 걸려"…"영업정지 최대 3개월 가능"
- 3."주말에도 영화관 자리 텅텅 비더니"…결국 이런 일이
- 4."시장서 물건 사니 돈 돌려주네"…10% 환급 뭐야 뭐?
- 5.SKT에 '위약금 면제·인당 30만원 배상' 요구 집단분쟁조정 신청
- 6."월급 많이줘도 싫어요" 짐싸는 지방 청년들…어디로 갔나?
- 7."부자로 죽지 않겠다"…빌 게이츠 "재산 99% 앞으로 20년간 사회에 환원"
- 8.늙어가는 대한민국…국민연금 수령은 68세부터?
- 9.'이것 없는 한국, 상상하기 어렵다'…이 회사 또 일 냈다
- 10.대선 앞두고 세종 아파트값 상승률 '전국 1위' 파죽지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