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미국발 훈풍에 코스피 상승폭 키워
SBS Biz 송태희
입력2025.04.15 11:22
수정2025.04.15 11:35

[앵커]
코스피가 미국발 자동차 관련 관세가 일부 완화될 것이라는 기대감으로 상승하고 있습니다.
초반 조심스럽게 상승하다 시간이 지나면서 상승폭을 키우고 있습니다.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송태희 기자, 코스피가 상승폭을 키우고 있네요.
[기자]
그렇습니다.
출발할 때 상승폭은 크지 않았습니다.
코스피는 0.35% 소폭 오르며 상승 출발했습니다.
언제 또 뒤바뀔지 모른다는 불확실성이 작용했습니다.
하지만 이후 상승폭을 키우며 현재 0.90% 내외 오르며 2,480선을 넘보고 있습니다.
개인매수에 기관이 매도에서 매수로 전환했습니다.
코스닥도 상승반전하고 있습니다.
업종별로는 자동차 업종이 3% 이상 오르며 강세입니다.
트럼프 행정부의 자동차부품 관세 추가면제 시사 발언이 약발을 발휘하고 있습니다.
전자장비와 자동차부품도 4%, 3% 내외 상승하며 강세를 보고 있습니다.
간밤에 뉴욕증시는 등락을 거듭하다 관세 완화 기대감에 모두 상승 마감했습니다.
달러-원 환율은 어제(14일)보다 3원 오른 1,425원 내외에서 거래되고 있습니다.
[앵커]
주요 종목과 특징주 분석해 볼까요?
[기자]
현대차, 기아, 현대모비스가 모두 강세입니다.
3% 이상 상승하며 코스피지수 상승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일부 전자제품에 대한 관세 완화 기대감으로 삼성전자와 LG 전자도 상승 기류입니다.
한미 정부가 곧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 회의를 가질 것이라는 소식에 강관업체들이 크게 상승하고 있습니다.
하이스틸, 넥스틸 각각 20%, 10% 내외 상승하고 있습니다.
SBS Biz 송태희입니다.
코스피가 미국발 자동차 관련 관세가 일부 완화될 것이라는 기대감으로 상승하고 있습니다.
초반 조심스럽게 상승하다 시간이 지나면서 상승폭을 키우고 있습니다.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송태희 기자, 코스피가 상승폭을 키우고 있네요.
[기자]
그렇습니다.
출발할 때 상승폭은 크지 않았습니다.
코스피는 0.35% 소폭 오르며 상승 출발했습니다.
언제 또 뒤바뀔지 모른다는 불확실성이 작용했습니다.
하지만 이후 상승폭을 키우며 현재 0.90% 내외 오르며 2,480선을 넘보고 있습니다.
개인매수에 기관이 매도에서 매수로 전환했습니다.
코스닥도 상승반전하고 있습니다.
업종별로는 자동차 업종이 3% 이상 오르며 강세입니다.
트럼프 행정부의 자동차부품 관세 추가면제 시사 발언이 약발을 발휘하고 있습니다.
전자장비와 자동차부품도 4%, 3% 내외 상승하며 강세를 보고 있습니다.
간밤에 뉴욕증시는 등락을 거듭하다 관세 완화 기대감에 모두 상승 마감했습니다.
달러-원 환율은 어제(14일)보다 3원 오른 1,425원 내외에서 거래되고 있습니다.
[앵커]
주요 종목과 특징주 분석해 볼까요?
[기자]
현대차, 기아, 현대모비스가 모두 강세입니다.
3% 이상 상승하며 코스피지수 상승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일부 전자제품에 대한 관세 완화 기대감으로 삼성전자와 LG 전자도 상승 기류입니다.
한미 정부가 곧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 회의를 가질 것이라는 소식에 강관업체들이 크게 상승하고 있습니다.
하이스틸, 넥스틸 각각 20%, 10% 내외 상승하고 있습니다.
SBS Biz 송태희입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월급 많이줘도 싫어요" 짐싸는 지방 청년들…어디로 갔나?
- 2.[단독] 국민연금 월 300만 원 처음 나왔다…누굴까?
- 3."위약금, SKT 사운 걸려"…"영업정지 최대 3개월 가능"
- 4.늙어가는 대한민국…국민연금 수령은 68세부터?
- 5."교체와 똑같습니다"…SKT 유심재설정, 이것부터 챙기세요
- 6.[단독] 이재명 '상생기금 시즌3' 구상…정부·은행 조 단위 [대선2025]
- 7.SKT에 '위약금 면제·인당 30만원 배상' 요구 집단분쟁조정 신청
- 8."주말에도 영화관 자리 텅텅 비더니"…결국 이런 일이
- 9."시장서 물건 사니 돈 돌려주네"…10% 환급 뭐야 뭐?
- 10.'손해봐도 일찍 받겠다'…100만원 국민연금 70만원만 탈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