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호 박사의 오늘의 키워드] 트럼프 유연성·시진핑 희토류·알래스카 LNG·선박 조선업
SBS Biz 김완진
입력2025.04.15 05:55
수정2025.04.15 07:09

■ 모닝벨 '김대호 박사의 오늘의 키워드' - 김대호 글로벌이코노믹연구소장·경제학 박사·세한대 특임교수
◇ 트럼프 유연성
트럼프 대통령이 전자제품에 이어 자동차 부품에 대한 일시적 관세 면제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계속해서 유연성 발언이 나오고 있는데 어떻게 보십니까?
- 트럼프, 전자제품 이어 '자동차 부품' 관세 면제 시사
- "美서 車부품 만들려면 시간 필요…도울 방안 검토 중"
- 트럼프 "최근 팀 쿡도 도왔다…나는 매우 유연하다"
- 코너 몰린 트럼프…오락가락 관세 정책에 불확실성 확대
- 트럼프 관세 변경은 '애플 구하기'…대중관세에 위기
- 中 생산 비중 높은 애플, 고율 관세에 기업 존폐 위태
- 트럼프 "아이폰 관세에 유연성" 언급까지…애플 구하기
- 美 아이폰 가격 상승 논란 의식…관세로 경쟁서 불리
- 모건스탠리 추산, 아이폰 87% 中생산…아이패드 80%
- 백악관 "10개국 이상 협상 제안…빠르게 진행 중"
- "美, 韓·日·인도·영국·호주와 무역협상 우선 추진"
- "베센트 美재무, 최우선 목표 5개국 당국자들 접촉"
◇ 시진핑 희토류
중국은 관세 전쟁 대응 수위를 한층 끌어올렸습니다. 희토류 수출을 사실상 중단시켰는데, 미국 기업들 타격이 클 것으로 보입니다?
- "中, 4일부터 희토류 수출 중단"…美 '급소' 때렸다
- 중 희토류 금속 6종 및 희토류 자석 수출 사실상 중단
- 새 규제시스템 마련 때까지…'특별허가' 받아야만 반출
- 美 재고 보유 적어…자동차·방산 등 산업계 타격 우려
- 희토류, 전기차·드론·로봇·미사일 등 첨단 기술에 필수
- 세계 정제 희토류 약 90% 생산하는 中…독점적 공급자
- NYT "美 특정 기업에 희토류 공급 영구차단될 수도"
- 美, 中의 희토류 수출 통제에 "모든 옵션 검토 중"
- 2010년 희토류 금수 조치 겪었던 日…1년 재고 비축
- 시진핑, 지난 트럼프 1기 때 원자재 통제권 행사 시사
- 등샤오핑 "중동에 석유가 있다면, 중국엔 희토류 있다"
◇ 알래스카 LNG
미국과 협상 카드로 알래스카 LNG 사업이 거론되고 있는데요. 곧 협상이 시작될 것으로 보이는데, 전략이 중요할 듯한데요?
- 한미 상호관세 협상 시작…알래스카 LNG 첫 테이블에
- 한 대행 "하루이틀 내 알래스카 LNG 관련 화상회의"
- 트럼프 대통령 숙원인 알래스카 LNG…韓·日에 러브콜
- 에너지 수입선 다변화·가스 운송거리 단축 등 이점
- 혹한 기후로 막대한 사업비용 등 사업성 리스크 우려
- "카타르 수입분 미국산 전환 시 관세 20% 아래로"
- LNG 첫 단추로 조선업 협력·무역균형 등 논의 본격화
- 알래스카 LNG, '美 관세' 실효성 있는 카드 될까
◇ 선박 조선업
조선업 역시 중요한 관세 협상 카드인데요. 최근 트럼프 대통령이 조선업 재건과 중국 견제를 위한 행정명령에 서명하지 않았습니까?
- 트럼프, 美 조선업 부흥 행정명령 서명…韓 수혜 볼까?
- "조선에 많은 돈 쓸 것"…韓 포함 동맹과 협력 가능성
- 중국의 해양 패권 공격하기 위한 조사도 명시…中 견제
- 1920년 존슨법, 미국 내 운송 선박 美서 건조해야
- 존슨법 영향, 美 조선업체들 해외 업체와 경쟁하지 않아
- 2023년 기준 세계 선박 건조량 중 미국산 0.13%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 트럼프 유연성
트럼프 대통령이 전자제품에 이어 자동차 부품에 대한 일시적 관세 면제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계속해서 유연성 발언이 나오고 있는데 어떻게 보십니까?
- 트럼프, 전자제품 이어 '자동차 부품' 관세 면제 시사
- "美서 車부품 만들려면 시간 필요…도울 방안 검토 중"
- 트럼프 "최근 팀 쿡도 도왔다…나는 매우 유연하다"
- 코너 몰린 트럼프…오락가락 관세 정책에 불확실성 확대
- 트럼프 관세 변경은 '애플 구하기'…대중관세에 위기
- 中 생산 비중 높은 애플, 고율 관세에 기업 존폐 위태
- 트럼프 "아이폰 관세에 유연성" 언급까지…애플 구하기
- 美 아이폰 가격 상승 논란 의식…관세로 경쟁서 불리
- 모건스탠리 추산, 아이폰 87% 中생산…아이패드 80%
- 백악관 "10개국 이상 협상 제안…빠르게 진행 중"
- "美, 韓·日·인도·영국·호주와 무역협상 우선 추진"
- "베센트 美재무, 최우선 목표 5개국 당국자들 접촉"
◇ 시진핑 희토류
중국은 관세 전쟁 대응 수위를 한층 끌어올렸습니다. 희토류 수출을 사실상 중단시켰는데, 미국 기업들 타격이 클 것으로 보입니다?
- "中, 4일부터 희토류 수출 중단"…美 '급소' 때렸다
- 중 희토류 금속 6종 및 희토류 자석 수출 사실상 중단
- 새 규제시스템 마련 때까지…'특별허가' 받아야만 반출
- 美 재고 보유 적어…자동차·방산 등 산업계 타격 우려
- 희토류, 전기차·드론·로봇·미사일 등 첨단 기술에 필수
- 세계 정제 희토류 약 90% 생산하는 中…독점적 공급자
- NYT "美 특정 기업에 희토류 공급 영구차단될 수도"
- 美, 中의 희토류 수출 통제에 "모든 옵션 검토 중"
- 2010년 희토류 금수 조치 겪었던 日…1년 재고 비축
- 시진핑, 지난 트럼프 1기 때 원자재 통제권 행사 시사
- 등샤오핑 "중동에 석유가 있다면, 중국엔 희토류 있다"
◇ 알래스카 LNG
미국과 협상 카드로 알래스카 LNG 사업이 거론되고 있는데요. 곧 협상이 시작될 것으로 보이는데, 전략이 중요할 듯한데요?
- 한미 상호관세 협상 시작…알래스카 LNG 첫 테이블에
- 한 대행 "하루이틀 내 알래스카 LNG 관련 화상회의"
- 트럼프 대통령 숙원인 알래스카 LNG…韓·日에 러브콜
- 에너지 수입선 다변화·가스 운송거리 단축 등 이점
- 혹한 기후로 막대한 사업비용 등 사업성 리스크 우려
- "카타르 수입분 미국산 전환 시 관세 20% 아래로"
- LNG 첫 단추로 조선업 협력·무역균형 등 논의 본격화
- 알래스카 LNG, '美 관세' 실효성 있는 카드 될까
◇ 선박 조선업
조선업 역시 중요한 관세 협상 카드인데요. 최근 트럼프 대통령이 조선업 재건과 중국 견제를 위한 행정명령에 서명하지 않았습니까?
- 트럼프, 美 조선업 부흥 행정명령 서명…韓 수혜 볼까?
- "조선에 많은 돈 쓸 것"…韓 포함 동맹과 협력 가능성
- 중국의 해양 패권 공격하기 위한 조사도 명시…中 견제
- 1920년 존슨법, 미국 내 운송 선박 美서 건조해야
- 존슨법 영향, 美 조선업체들 해외 업체와 경쟁하지 않아
- 2023년 기준 세계 선박 건조량 중 미국산 0.13%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월급 많이줘도 싫어요" 짐싸는 지방 청년들…어디로 갔나?
- 2.[단독] 국민연금 월 300만 원 처음 나왔다…누굴까?
- 3."위약금, SKT 사운 걸려"…"영업정지 최대 3개월 가능"
- 4.늙어가는 대한민국…국민연금 수령은 68세부터?
- 5."교체와 똑같습니다"…SKT 유심재설정, 이것부터 챙기세요
- 6.[단독] 이재명 '상생기금 시즌3' 구상…정부·은행 조 단위 [대선2025]
- 7.SKT에 '위약금 면제·인당 30만원 배상' 요구 집단분쟁조정 신청
- 8."시장서 물건 사니 돈 돌려주네"…10% 환급 뭐야 뭐?
- 9.'손해봐도 일찍 받겠다'…100만원 국민연금 70만원만 탈래요
- 10."부자로 죽지 않겠다"…빌 게이츠 "재산 99% 앞으로 20년간 사회에 환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