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전략] 中, 희토류·국채 '비관세 급소' 공략…"끝까지 간다"
SBS Biz 김완진
입력2025.04.15 05:55
수정2025.04.15 06:30

■ 모닝벨 '전문가 전화 연결' - 김민수 레몬리서치 대표
Q. 뉴욕증시는 관세 완화 기대감 속에 지난 금요일 장에 이어 이틀 연속 상승 마감했습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변덕 우려에 장중 변동성은 여전했는데요. 오늘(15일) 장 움직임부터 짚어 주시죠?
- 뉴욕증시, 관세 완화에 이틀 연속 상승…변동성은 여전
- 다우 312p 상승…S&P500, 5400선 회복 마감
- 美 국채금리 하향 안정…트럼프 관세 유연성 기대 작용
- 美 10년물 국채금리 4.38%대·2년물 3.85%대
- 달러인덱스, 美 관세 불확실성에 약세…100 밑돌아
- 씨티 "S&P500 연말 목표치, 5800으로 하향"
- 트럼프, 전자제품 이어 '자동차 부품' 관세 면제 시사
- "美서 車부품 만들려면 시간 필요…도울 방안 검토 중"
- 車 관련 관세 면제 시사, GM 등 완성차 주가 상승
- 관세 직격탄 우려됐던 애플·델 등 기술주 일제히 강세
- 트럼프 "최근 팀 쿡도 도왔다…나는 매우 유연하다"
- 트럼프 "제약 관세 부과할 것…머지 않은 미래에 시행
- 애플, 1분기 글로벌 스마트폰 점유율 19%로 1위
- 보급형 '아이폰16e' 日·인도 수요, 판매 부진 상쇄
- 스마트폰 시장 2위 삼성전자, 3위는 중국 샤오미
- 엔비디아 "美 AI 인프라 구축에 5000억달러 투자"
- AI 슈퍼컴퓨터 생산공장 건설 위해 파트너들과 협력
- 젠슨 황, 지난달 FT 인터뷰서 美 내 투자 방침 확인
- 엔비디아 발표 이후 백악관, '트럼프 효과'라며 홍보
- 화이자, 체중감량 알약 '다누글리프론' 개발 포기
- 1년 기대인플레 18개월 만에 최고…중장기 인플레 유지
- 3월 뉴욕 연은 1년 기대 인플레 3.6%…0.5%p↑
- 1년 후 실업률 더 높아질 확률 44%…5년만에 최고
- 3년 기대 인플레 3% 유지…5년 기대 인플레 2.9%
- 연준 월러 이사 "관세 인플레 영향 일시적일 것 기대"
- 월러 "경기침체 위협 있다면 더 빠른 금리인하 선호"
Q. 미중 전쟁이 갈수록 극단으로 치닫고 있습니다. 미국의 관세 폭격에 중국이 희토류 수출 통제로 반격에 나섰는데요. 미국과 중국이 강대강 대치 상황을 이어가고 있는데 그 속에서 어떻게 전략 세워야 할까요?
- 격해지는 美·中 관세전쟁, 자원전쟁으로 비화…전략은?
- 시진핑, 경제난·민생파탄 등 감수하고 밀어붙이기 가능
- 트럼프, 상호관세 90일 유예…버틸 수 없다는 것 인정
- 美 경제 기반 뒤흔들 적신호들…국채금리 급등 직면
- 中 "아이폰, 테슬라 안산다"…SNS상 불매운동 불붙어
- '관세폭탄 피해 지원' 나선 기업들…'애국소비' 캠페인
- 中 반미 여론전 "14억 중국인 의지 과소평가 말라"
- 시진핑, 베트남 국빈 방문…"美 관세 공동대응 "촉구
- 中, 금리인하·재정 확대 등 '경기 부양책' 강화 전망
- 주변국과의 관계 강화 中, 미국과 협상 여지 열어둘 것
- 연내 협상 가능성도…"美 선제적 움직임 보일수도"
- 美, 성장률 하락·글로벌 기업 中 매출 부진 등 피해
Q. 어제(14일) 국내증시 역시 관세 우려가 일부 완화되면서 반등세를 보였습니다. 코스피 주가 1% 넘게 올라 2450선에 안착했는데요. 오늘 장도 뉴욕증시 영향으로 상승세 이어갈까요?
- 코스피, 관세 우려 완화에 2450선 안착…오늘 장은?
- 개인 1900억 사자…외인 2557억·기관 90억 팔자
- SK하이닉스·삼성바이오로직스만 소폭 하락…삼성전자 상승
- 스마트폰 등 전자제품 상호관세 면제…전기전자 투심 회복
- 애플에 부품 납품하는 LG이노텍·비에이치 등 동반 강세
- 트럼프, 반도체 품목관세 예고에 SK하이닉스 등 약세
- 美 협업 강화 조선주 상승세…한화에어로스페이스 최고가
- 대선 출마 선언한 김문수 전 장관 테마주 평화산업 上
- 대선 불출마 선언 오세훈 테마주 진양화학·진양산업 급락
- "미국발 관세 불안 정점 통과했다" 안도감 상승 견인
- 불확실성 해소는 난망…"당분간 변동성 장세 이어질 것"
- 약달러 영향…달러·원 환율 넉달 만에 최저 1420원대
- 트럼프 관세 불확실·美 경기침체 우려에 '달러 급락'
- 달러인덱스 1년 9개월 여만에 최저 수준…엔·유로 급등
- "달러 약세 현상 지속…위안화 약세 복병·상하단 제한"
- '관세 무풍지대'라더니…美·中 갈등 격화에 엔터주 약세
- 中 한한령 해제 지연 전망…관세 전쟁으로 방어적 태세
- 中 대내외적 정책 포커스, 관세 맞대응에만 집중될 수도
- 中, 최근 美 할리우드 영향 수입 축소 방침 발표 주시
- "中 개방 가능성 여전히 유효"…변수·변동성 고려해야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Q. 뉴욕증시는 관세 완화 기대감 속에 지난 금요일 장에 이어 이틀 연속 상승 마감했습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변덕 우려에 장중 변동성은 여전했는데요. 오늘(15일) 장 움직임부터 짚어 주시죠?
- 뉴욕증시, 관세 완화에 이틀 연속 상승…변동성은 여전
- 다우 312p 상승…S&P500, 5400선 회복 마감
- 美 국채금리 하향 안정…트럼프 관세 유연성 기대 작용
- 美 10년물 국채금리 4.38%대·2년물 3.85%대
- 달러인덱스, 美 관세 불확실성에 약세…100 밑돌아
- 씨티 "S&P500 연말 목표치, 5800으로 하향"
- 트럼프, 전자제품 이어 '자동차 부품' 관세 면제 시사
- "美서 車부품 만들려면 시간 필요…도울 방안 검토 중"
- 車 관련 관세 면제 시사, GM 등 완성차 주가 상승
- 관세 직격탄 우려됐던 애플·델 등 기술주 일제히 강세
- 트럼프 "최근 팀 쿡도 도왔다…나는 매우 유연하다"
- 트럼프 "제약 관세 부과할 것…머지 않은 미래에 시행
- 애플, 1분기 글로벌 스마트폰 점유율 19%로 1위
- 보급형 '아이폰16e' 日·인도 수요, 판매 부진 상쇄
- 스마트폰 시장 2위 삼성전자, 3위는 중국 샤오미
- 엔비디아 "美 AI 인프라 구축에 5000억달러 투자"
- AI 슈퍼컴퓨터 생산공장 건설 위해 파트너들과 협력
- 젠슨 황, 지난달 FT 인터뷰서 美 내 투자 방침 확인
- 엔비디아 발표 이후 백악관, '트럼프 효과'라며 홍보
- 화이자, 체중감량 알약 '다누글리프론' 개발 포기
- 1년 기대인플레 18개월 만에 최고…중장기 인플레 유지
- 3월 뉴욕 연은 1년 기대 인플레 3.6%…0.5%p↑
- 1년 후 실업률 더 높아질 확률 44%…5년만에 최고
- 3년 기대 인플레 3% 유지…5년 기대 인플레 2.9%
- 연준 월러 이사 "관세 인플레 영향 일시적일 것 기대"
- 월러 "경기침체 위협 있다면 더 빠른 금리인하 선호"
Q. 미중 전쟁이 갈수록 극단으로 치닫고 있습니다. 미국의 관세 폭격에 중국이 희토류 수출 통제로 반격에 나섰는데요. 미국과 중국이 강대강 대치 상황을 이어가고 있는데 그 속에서 어떻게 전략 세워야 할까요?
- 격해지는 美·中 관세전쟁, 자원전쟁으로 비화…전략은?
- 시진핑, 경제난·민생파탄 등 감수하고 밀어붙이기 가능
- 트럼프, 상호관세 90일 유예…버틸 수 없다는 것 인정
- 美 경제 기반 뒤흔들 적신호들…국채금리 급등 직면
- 中 "아이폰, 테슬라 안산다"…SNS상 불매운동 불붙어
- '관세폭탄 피해 지원' 나선 기업들…'애국소비' 캠페인
- 中 반미 여론전 "14억 중국인 의지 과소평가 말라"
- 시진핑, 베트남 국빈 방문…"美 관세 공동대응 "촉구
- 中, 금리인하·재정 확대 등 '경기 부양책' 강화 전망
- 주변국과의 관계 강화 中, 미국과 협상 여지 열어둘 것
- 연내 협상 가능성도…"美 선제적 움직임 보일수도"
- 美, 성장률 하락·글로벌 기업 中 매출 부진 등 피해
Q. 어제(14일) 국내증시 역시 관세 우려가 일부 완화되면서 반등세를 보였습니다. 코스피 주가 1% 넘게 올라 2450선에 안착했는데요. 오늘 장도 뉴욕증시 영향으로 상승세 이어갈까요?
- 코스피, 관세 우려 완화에 2450선 안착…오늘 장은?
- 개인 1900억 사자…외인 2557억·기관 90억 팔자
- SK하이닉스·삼성바이오로직스만 소폭 하락…삼성전자 상승
- 스마트폰 등 전자제품 상호관세 면제…전기전자 투심 회복
- 애플에 부품 납품하는 LG이노텍·비에이치 등 동반 강세
- 트럼프, 반도체 품목관세 예고에 SK하이닉스 등 약세
- 美 협업 강화 조선주 상승세…한화에어로스페이스 최고가
- 대선 출마 선언한 김문수 전 장관 테마주 평화산업 上
- 대선 불출마 선언 오세훈 테마주 진양화학·진양산업 급락
- "미국발 관세 불안 정점 통과했다" 안도감 상승 견인
- 불확실성 해소는 난망…"당분간 변동성 장세 이어질 것"
- 약달러 영향…달러·원 환율 넉달 만에 최저 1420원대
- 트럼프 관세 불확실·美 경기침체 우려에 '달러 급락'
- 달러인덱스 1년 9개월 여만에 최저 수준…엔·유로 급등
- "달러 약세 현상 지속…위안화 약세 복병·상하단 제한"
- '관세 무풍지대'라더니…美·中 갈등 격화에 엔터주 약세
- 中 한한령 해제 지연 전망…관세 전쟁으로 방어적 태세
- 中 대내외적 정책 포커스, 관세 맞대응에만 집중될 수도
- 中, 최근 美 할리우드 영향 수입 축소 방침 발표 주시
- "中 개방 가능성 여전히 유효"…변수·변동성 고려해야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월급 많이줘도 싫어요" 짐싸는 지방 청년들…어디로 갔나?
- 2.[단독] 국민연금 월 300만 원 처음 나왔다…누굴까?
- 3."위약금, SKT 사운 걸려"…"영업정지 최대 3개월 가능"
- 4.늙어가는 대한민국…국민연금 수령은 68세부터?
- 5."주말에도 영화관 자리 텅텅 비더니"…결국 이런 일이
- 6."시장서 물건 사니 돈 돌려주네"…10% 환급 뭐야 뭐?
- 7.SKT에 '위약금 면제·인당 30만원 배상' 요구 집단분쟁조정 신청
- 8."부자로 죽지 않겠다"…빌 게이츠 "재산 99% 앞으로 20년간 사회에 환원"
- 9.'이것 없는 한국, 상상하기 어렵다'…이 회사 또 일 냈다
- 10.망고빙수 15만원 시대…누가 사먹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