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중소기업들 "트럼프의 상호관세 부과는 위헌" 소송
SBS Biz 신다미
입력2025.04.15 05:10
수정2025.04.15 05:42

미국에서 관세로 피해를 보게 된 중소기업들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부과가 법적 근거가 없어 불법이라고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블룸버그통신과 더힐에 따르면 비영리기구 자유정의센터는 현지시간 14일 미국 국제무역법원(CIT)에 제출한 소장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국제비상경제권한법(IEEPA)을 근거로 상호관세를 부과한 게 위헌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이 법은 "흔치 않고 보기 드문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국가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특정 금융 거래를 규제할 광범위한 권한을 대통령에 부여합니다.
그러나 이 법을 관세 부과 근거로 활용한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이 처음이며 이의 적절성에 대한 논란이 지속돼왔습니다.
이번 소송은 자유정의센터가 관세로 피해를 본 중소기업 5곳을 대표해 제기했습니다.
기업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가 필요한 이유로 제시한 비상사태는 "트럼프 대통령 상상력의 산물"이라고 규정하고서 "무역적자는 경제에 피해를 주지 않고 수십년간 계속됐으며 비상사태가 아니다"라고 주장했습니다.
아울러 관세에 따른 비용 증가와 수요 감소, 공급망 차질로 인해 생계가 위협받는다고 호소했습니다.
자유정의센터의 제프리 스와브 선임변호사는 더힐 인터뷰에서 "우리 제도는 한 사람이 전 세계 경제에 세금을 부과할 권력을 가지도록 구축되지 않았다. 그건 입헌 공화국이 작동하는 방식이 아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소송에 참여한 일리야 소민 조지메이슨대 법대교수는 "관세를 언급조차 하지 않는 법을 근거로 대공황 이래 최대 무역전쟁을 시작하는 게 입법 권한을 위헌적으로 강탈하는 게 아니라면 무엇인지 모르겠다"라고 밝혔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직후 전 세계를 상대로 전례 없는 관세를 부과하면서 이를 법원에서 제지하려는 시도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보수 성향의 비영리기구 신시민자유연맹(NCLA)은 지난 3일 트럼프 대통령이 IEEPA를 근거로 중국산 수입품에 관세를 부과할 권한이 없다고 주장하며 관세를 중단해달라는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미국 원주민 부족 '블랙풋 국가' 부족원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에 부과한 관세에 대해 법원에 소송을 냈습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83억 집, 골드바 100개, 생활비 월 7천 '펑펑'…누군가봤더니
- 2.'진짜 전기요금 적게 나온다'…에어컨 요금 아끼는 법
- 3.에어컨 종일 켜는게 낫다?…전기요금 이렇게 아낀다
- 4.[단독] '72억 날리는데도 계약 포기'…세종서 사전청약 '사업취소'
- 5.'월세가 차 한 대값'…3700만원에 월세 계약한 아파트
- 6.월급 통장에 '1000만원' 꽂혔다…부럽다 이 나라 직장인
- 7.연 48만원도 더 받는다는데…'가족연금' 더 받는 꿀팁
- 8.테슬라 어쩌나…트럼프 맞선 머스크 "아메리카당 오늘 창당"
- 9.“월70만·5년 부으면 5천만원" 이 통장…급하면 부분인출 하세요
- 10.소비쿠폰 언제 어떻게 신청하나?…주번, 요일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