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학개미 23조 날아갔는데…2.5조 추가 베팅
SBS Biz 이민후
입력2025.04.14 17:45
수정2025.04.14 18:35

[앵커]
글로벌 증시가 요동치면서 해외 주식에 투자하는 이른바 서학개미들의 미국 주식 보유 규모가 올 들어 23조 원 넘게 증발했습니다.
그런데도 미국 주식 투자자들은 관세 부과 불확실성으로 변동성이 극심했던 지난주에만 2조 5000억 원어치를 추가로 쓸어 담았습니다.
이민후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해 5월부터 미국 주식에 투자한 20대 김재하 씨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오락가락' 관세 부과 소식에 속앓이 하고 있습니다.
[김재하 / 서울 서초구 : 하루에 등락폭만 비트코인 오르락내리락하듯이 하고 있는데 어떤 날은 관세 부과, 또 철폐, 유예, 더 때린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 증시를) 개인투자자가 예측할 수 있는 범위는 아니잖아요.]
국내 투자자들의 해외주식 보관액은 지난 10일 기준 132조 8200억 원으로 연초보다 약 23조 원 증발했습니다.
서학개미들의 자금이 쏠린 매그니피센트7(M7)을 중심으로 한 주가 급락에 보관액이 급감했습니다.
미국 증시가 출렁였지만 주가 반등을 기대한 투자자들은 추가 매수에 나섰습니다.
지난주 국내 투자자들의 미국 주식의 순매수액은 2조 5천억 원으로 직전주보다 3배 넘게 더 사들였습니다.
특히 주가 움직임의 2~3배 수익을 꾀하는 고위험 레버리지 상품에도 몰렸습니다.
국내 투자자들은 지난주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를 기초로 한 레버리지 상품 등 '빅테크' 추종 ETF에 투자를 늘렸습니다.
[조준기 / SK증권 연구원 : 레버리지라는 게 이제 리스크도 높이지만 리턴도 높일 수 있는 전략이기 때문에 저가 매수 들어올 만하다고 보는 인식이 좀 큰 것 같아요. (레버리지 상품은) 길게 가져가는 건 당연히 바람직하지 않고요.]
미국과 중국 간 관세전쟁과 통화정책 불확실성이 높은 만큼 투자 시 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SBS Biz 이민후입니다.
글로벌 증시가 요동치면서 해외 주식에 투자하는 이른바 서학개미들의 미국 주식 보유 규모가 올 들어 23조 원 넘게 증발했습니다.
그런데도 미국 주식 투자자들은 관세 부과 불확실성으로 변동성이 극심했던 지난주에만 2조 5000억 원어치를 추가로 쓸어 담았습니다.
이민후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해 5월부터 미국 주식에 투자한 20대 김재하 씨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오락가락' 관세 부과 소식에 속앓이 하고 있습니다.
[김재하 / 서울 서초구 : 하루에 등락폭만 비트코인 오르락내리락하듯이 하고 있는데 어떤 날은 관세 부과, 또 철폐, 유예, 더 때린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 증시를) 개인투자자가 예측할 수 있는 범위는 아니잖아요.]
국내 투자자들의 해외주식 보관액은 지난 10일 기준 132조 8200억 원으로 연초보다 약 23조 원 증발했습니다.
서학개미들의 자금이 쏠린 매그니피센트7(M7)을 중심으로 한 주가 급락에 보관액이 급감했습니다.
미국 증시가 출렁였지만 주가 반등을 기대한 투자자들은 추가 매수에 나섰습니다.
지난주 국내 투자자들의 미국 주식의 순매수액은 2조 5천억 원으로 직전주보다 3배 넘게 더 사들였습니다.
특히 주가 움직임의 2~3배 수익을 꾀하는 고위험 레버리지 상품에도 몰렸습니다.
국내 투자자들은 지난주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를 기초로 한 레버리지 상품 등 '빅테크' 추종 ETF에 투자를 늘렸습니다.
[조준기 / SK증권 연구원 : 레버리지라는 게 이제 리스크도 높이지만 리턴도 높일 수 있는 전략이기 때문에 저가 매수 들어올 만하다고 보는 인식이 좀 큰 것 같아요. (레버리지 상품은) 길게 가져가는 건 당연히 바람직하지 않고요.]
미국과 중국 간 관세전쟁과 통화정책 불확실성이 높은 만큼 투자 시 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SBS Biz 이민후입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월급 많이줘도 싫어요" 짐싸는 지방 청년들…어디로 갔나?
- 2.[단독] 국민연금 월 300만 원 처음 나왔다…누굴까?
- 3."위약금, SKT 사운 걸려"…"영업정지 최대 3개월 가능"
- 4.늙어가는 대한민국…국민연금 수령은 68세부터?
- 5.[단독] 이재명 '상생기금 시즌3' 구상…정부·은행 조 단위 [대선2025]
- 6.SKT에 '위약금 면제·인당 30만원 배상' 요구 집단분쟁조정 신청
- 7."주말에도 영화관 자리 텅텅 비더니"…결국 이런 일이
- 8."시장서 물건 사니 돈 돌려주네"…10% 환급 뭐야 뭐?
- 9."교체와 똑같습니다"…SKT 유심재설정, 이것부터 챙기세요
- 10.'손해봐도 일찍 받겠다'…100만원 국민연금 70만원만 탈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