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SBS Biz

K반도체 상호관세 피했지만 품목관세 폭풍 온다

SBS Biz 조슬기
입력2025.04.14 17:45
수정2025.04.15 10:20

[앵커]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대신 반도체 등 전자제품에 품목관세 부과 입장을 재확인하면서 반도체 업계가 재차 긴장하고 있습니다.



미국과 협상 여지가 있는 상호관세와 달리 품목별 관세는 국가 안보에 중요한 제품을 견제하려는 목적이 커 면제나 유예가 쉽지 않을 수 있어서입니다.

조슬기 기자입니다.

[기자]

당초 전자기기를 상호관세 대상에서 뺀다는 소식에 국내 반도체와 전자 업계는 한숨을 돌렸습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이 곧바로 상호관세 대상 제외가 면제를 의미하는 건 아니란 입장을 내놨습니다.

반도체를 비롯한 전자제품 공급망을 국가 안보 관세 조사에서 면밀히 살필 예정이라며 품목관세 강행 의지를 분명히 했습니다.

[하워드 러트닉 / 미 상무장관: 전자 제품은 다른 국가와 협상할 사안이 아니라는 점을 명확히 한 것입니다. 이것은 미국에서 만들어야 하는 국가 안보와 관련된 제품들입니다.]

외국산 수입 제품이 미국의 국가 안보에 위협을 끼칠 경우 긴급 조치를 내릴 수 있는 권한을 대통령에게 부여한 미국의 무역확장법 232조가 근거입니다.

교역 상대국의 무역 장벽에 상응하는 수준으로 부과하는 상호관세와 달리 협상의 여지도 낮습니다.

품목관세가 현실화되면 국내 반도체 기업들을 물론 미국 빅테크 기업들의 비용 부담도 커집니다.

[김태황 / 명지대 국제통상학과 교수 : 메모리칩의 경우에는 삼성하고 SK가 (비중이) 70%가 넘잖아요. 미국에서도 (한국산) 반도체를 사용 안 하는 산업이 거의 없다시피 한데 비용만 높이는 거잖아요.]

특히, 대중국 '펜타닐 관세' 20%에 품목관세까지 더해질 경우 중국과 거래하는 국내 반도체 업체들도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입니다.

일부 기업들에겐 유연성이 있을 것이라고 밝혔지만 득보다는 실이 더 클 것으로 예상되는 관세 정책에 반도체 기업들은 다음 주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SBS Biz 조슬기입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조슬기다른기사
KT, '365 폰케어' 가입자 여행자보험 혜택 1년간 제공
삼성전자, 글로벌 랜드마크서 '삼성 비전 AI' 옥외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