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상호관세에 컨테이너선 물동량 감소 가능성…운임하락 우려
SBS Biz 류정현
입력2025.04.14 09:47
수정2025.04.14 09:47

한국해양진흥공사 해양산업정보센터는 미국 무역대표부(USTR)가 발표한 상호관세 조치에 대한 선종별 영향 분석 특집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4일 밝혔습니다.
이 보고서는 지난 2일 발표된 미국 상호관세 내용을 기반으로 향후 글로벌 해운시장에 미칠 영향을 주요 선종별로 분석했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0일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을 제외한 대부분 국가에 대해 상호관세 조치를 90일간 유예하기로 발표했으나, 상호관세 시행이 여전히 잠재적 리스크로 남아 있어 선종별 영향 분석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먼저 컨테이너선 시장은 상호관세 조치에 따른 미·중 무역 갈등 심화로 수출입 물동량이 가장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됐고, 미주 물동량 감소에 따른 운임 하락 우려도 제기됐습니다.
자동차 운반선(PCTC)은 이번 상호관세 대상은 아니지만, 자동차 및 부품에 대한 품목 관세 부과(최대 25%)로 인해 물동량 감소와 수익성 저하가 불가피할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드라이 벌크선은 미국 수입 물량 규모가 저조한 가운데, 보복관세에 따른 미국 수출물량 변화와 원자재 화물 제3국 우회 운송 가능성에 주목했습니다.
유조선 부문의 경우 원유·가스 등 주요 품목이 상호관세 대상에서 제외됨에 따라 단기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지만, 공급망 변화에 따른 중장기적 시장 대응 전략이 요구된다고 진단했습니다.
박종연 해양산업정보센터장은 "해운기업들이 불확실한 글로벌 무역환경 속에서 대응 전략을 수립하는 데 이번 보고서가 참고 자료가 되길 바란다"라며 "다변화된 시장 흐름에 맞춘 유연한 항로 구조 조정과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미 상호관세 조치에 따른 선종별 영향 분석 보고서는 해운정보서비스 홈페이지나 카카오톡 '한국해양진흥공사' 채널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제주 면세점서 양주 500밀리 4병 사다줘"…'이거' 사라졌다
- 2.[단독] 민주, 내달 4일 전 상법 개정안 처리
- 3."도수치료 안 받는데"…이런 분들 실손보험료 확 줄어든다
- 4.월급 397만원 받는다고요?…대한민국 평균 직장인입니다
- 5.연봉 9600만원 김과장, 15만 원 받는다?…신생아는?
- 6.[단독] 월세? 연금에서 빠집니다…국민연금, 노인복지주택 짓는다?
- 7.15년 전 가격에 통큰치킨 오픈런…"팔자마자 동났다"
- 8.대륙의 실수는 잊어라…청소기, 전기차 다음은 샤오미?
- 9.근로장려금 오늘부터 입금…맞벌이·노인 수혜 늘었다
- 10.'치킨회사 보고 있나'…5천원 통큰 치킨 15년만에 돌아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