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SBS Biz

무너진 광명 신안산선 공사현장 밤샘수색…1명 구조·1명 실종

SBS Biz 김종윤
입력2025.04.12 06:54
수정2025.04.12 08:55

//img.biz.sbs.co.kr/upload/2025/04/12/Mqw1744415729960-850.jpg 이미지
[12일 오전 4시 27분께 경기도 광명시 일직동 신안산선 지하터널 붕괴 사고 현장에서 고립됐던 20대 굴착기 기사가 사고 발생 13시간여만에 구조되고 있다. (경기도소방재난본부 제공=연합뉴스)]

붕괴 사고가 발생한 경기 광명시 신안산선 지하터널 공사 현장에서 20대 근로자가 10시간 넘게 고립됐다가 구조됐습니다.



다른 근로자 1명은 여전히 실종 상태여서 경찰과 소방 당국은 수색작업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12일 경찰과 소방당국에 따르면 굴착기 기사 A 씨는 어제  오후 3시 13분께 발생한 붕괴 사고로 지하 30여m 지점에 고립돼 있다가 밤샘 구조작업을 통해 오늘 오전 4시 27분께 무사히 잔햇더미에서 빠져나왔는데, 사고가 발생한 지 13시간여만입니다.

A 씨는 생명에 지장이 없는 상태인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는 의식이 비교적 또렷한 상태이며 구조대가 자신의 몸을 짓누르고 있던 잔해를 치우던 동안에도 구조대와 대화를 나눈 것으로 전해졌고, 장시간 잔해에 깔려있던 만큼 자세한 검사를 위해 병원으로 이송됐습니다.

구조대원들은 고립 초기부터 전화 통화가 가능했던 A 씨의 위치를 찾아낸 뒤 목소리가 들릴 정도로 가까이 접근했지만 붕괴 현장 특성상 중장비를 투입하지 못해 구조에 시간이 걸렸습니다.



이번 사고는 광명시 일직동 양지사거리 부근 신안산선 복선전철 제5-2공구에서 포스코이앤씨가 시공 중인 지하터널 공사 현장과 상부 도로가 무너지면서 발생했습니다.

사고 초기 근로자 총 18명 중 5명의 연락이 닿지 않았으나, 이 중 3명은 차례로 안전이 확인됐습니다.

나머지 2명 중 구조된 A 씨는 하청업체 소속이며, 포스코이앤씨 소속의 공사 50대 근로자 1명은 아직 실종 상태여서 사고 발생 이틀째인 수색작업은 진핸되고 있급니다.

경찰과 소방 당국은 휴대전화 위치 추적 등 기법을 동원해 실종 근로자의 소재를 파악 중입니다.

사고 이후 광명시가 2차 피해를 막기 위해 사고 현장 주변 주민들을 대피하도록 함에 따라 많은 주민이 대피소로 이동했습니다.

대피 명령을 받은 곳은 인근 아파트 642세대 2천300명과 오피스텔 주민 144명 등 2천400여명으로 이들은 친인척이나 지인 집 외에도 시가 지정한 대피소인 시민체육관와 학교 7곳에서 대부분 뜬눈으로 밤을 지새웠습니다.

이번 사고의 원인은 아직 조사 중인 가운데 국토교통부는 사고대책본부를 꾸렸고 신안산선 민간투자사업 사업시행자인 ㈜넥스트레인도 현장에 사고수습본부를 설치한 상태입니다.

경기남부경찰청은 형사과를 중심으로 사고 원인과 관련한 기초 조사에 착수했습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김종윤다른기사
트럼프 "외국 영화에 100% 관세 부과 절차 시작 승인"
美재무 "무역재협상→감세→규제완화 3단계 통해 美경제 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