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상반기 석유화학 지원책 발표…R&D 세액공제 검토
SBS Biz 최지수
입력2025.04.11 13:34
수정2025.04.11 13:50

[서산 대산석유화학산업단지 전경 (서산시 제공=연합뉴스)]
전례 없는 위기 상황에 직면한 석유화학 산업을 살리기 위해 추진된 컨설팅 용역이 마무리되면서 조만간 정부의 후속 지원책이 나올 예정입니다.
다만 정부 주도의 사업 재편 지원 등 근본적인 구조조정 방안은 제외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늘(11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화학산업협회는 최근 보스턴컨설팅그룹(BCG)과 진행한 석유화학 사업재편 컨설팅 용역을 마무리하고 컨설팅 결과 보고서를 산업통상자원부에 제출했습니다.
이번 컨설팅 용역은 석유화학 산업의 과잉 설비 문제를 해결하고 구조적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정부와 산업계 간 협력이 필요하다는 취지에서 추진됐습니다.
국내 석유화학 산업은 수출 의존도가 높고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등 범용 제품 비중이 높아 가격 경쟁에 취약하다는 문제가 제기돼 왔습니다.
특히 동북아시아 내 과잉 공급이 지속되며 설비 가동률이 하락하는 등 구조적 불황에 몰리자 속도감 있는 사업 재편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컸습니다.
이에 따라 이번 컨설팅 과정에서도 기업 결합 및 구조조정을 단행한 기업에 자금을 지원하고 구조조정 시 발생하는 인력 문제를 지원하는 등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는 방향이 논의됐으나, 기업 간 이해관계와 사회적 파장을 고려해 최종안에는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정부는 지난달 진행된 컨설팅 중간 보고회에서 "기업들이 자율적인 사업 재편 방향과 실행 계획을 수립해 전달하면 구체적인 정책적 지원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힌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보고서에는 대신 기업의 애로사항으로 꼽히는 산업용 전기요금 감면 등 비용 부담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방안이 우선적으로 담겼습니다.
주요 기업의 경우 연간 3천GWh 이상의 전력을 사용하기 때문에 전기요금이 매출 원가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3∼4% 수준에 달합니다.
보고서에는 이와 함께 친환경·고부가 제품 전환을 위해 연구개발(R&D) 시설에 대한 세액공제를 검토하는 방안과 수출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원 등도 반영됐습니다.
산업부는 컨설팅 결과를 바탕으로 올해 상반기 중 산업 경쟁력 제고 후속 대책을 내놓을 예정입니다.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