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SBS Biz

정부, 5개월째 경기 잿빛 진단…"미 관세로 대외여건 악화"

SBS Biz 김날해
입력2025.04.11 10:00
수정2025.04.11 10:53

//img.biz.sbs.co.kr/upload/2024/12/03/m2C1733203141389-850.jpg 이미지

정부가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다섯 달째 우리 경기에 대해 하방 위험·압력 증가를 언급했습니다. 특히 미국의 관세부과에 따른 통상환경 악화 등으로 국제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및 교역 · 성장 둔화를 우려했습니다.



기획재정부는 오늘(11일) 발표한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4월호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소비·건설투자 등 내수 회복이 지연되고 취약부문 중심 고용애로가 지속되는 가운데, 미국 관세부과에 따른 대외여건 악화로 경기 하방압력이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글로벌 경제는 주요국의 관세 부과로 인한 통상 환경 악화 등으로 인해 국제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되고, 교역과 성장의 둔화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했습니다.

지난달 언급했던 '수출 증가세 둔화, 경제 심리 위축' 등을 빼고 이달에는 '미국 관세 부과에 따른 대외여건 악화'를 추가했습니다.

산업활동동향 주요 지표는 최근 매달 등락을 거듭하는 모습입니다. 지난 2월에는 생산·소비·투자 지표가 감소한 지 한 달 만에 모두 증가세로 전환했습니다.



3월 수출은 정보기술(IT) 수출 호조로 2개월 연속 '플러스'를 나타냈습니다.

정부는 3월 소매 판매에는 할인점 카드 승인액과 방한 중국인 관광객 수 증가 등은 긍정적 요인, 백화점 카드 승인액 감소와 소비자심리지수 하락 등은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다만 미국발 관세전쟁이 격화하면서 기업의 수출과 생산이 위축될 우려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정부는 글로벌 경제와 관련, "주요국 관세 부과에 따른 통상환경 악화 등으로 국제금융시장 변동성 확대와 교역·성장 둔화 우려가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기재부는 "미국 관세 부과에 따른 우리 기업 피해지원, 산업경쟁력 강화 등을 위한 필수 추경 신속 추진 등 통상 리스크 대응에 총력을 다하는 가운데 일자리·건설·소상공인 지원 등 민생경제 회복 지속·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김날해다른기사
이주호 권한대행 체제로...한덕수 "안정적 국정 운영" 당부
우원식 “정부, 최상목 면직 통지…탄핵안 표결 중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