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 "인플레 이어지면 제약적 기조 유지"…연은 "6월 주목…성장 둔화"
SBS Biz 지웅배
입력2025.04.10 05:48
수정2025.04.10 06:30

[앵커]
미 연방준비제도 위원들이 인플레이션 위험을 크게 평가하는 한편, 나아가 스태그플레이션도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관세 정책을 두곤 성장률을 둔화시키거나 물가를 자극할 수 있단 전망을 내놨습니다.
지웅배 기자, 연준 위원들은 미 경제 불확실성이 커졌다고 보는 분위기죠?
[기자]
지난달 18일부터 이틀간 진행된 FOMC 회의 의사록이 공개됐는데요.
우선 거의 모든 참가자가 인플레이션 위험은 크게 보는 반면, 비교적 고용 위험은 작게 평가했습니다.
통화정책이 "향후 전개에 대처할 좋은 위치에 있다"며, "인플레이션이 높게 유지된다면 제약적 정책이 더 오래 유지될 수 있다"는 판단입니다.
이어 "고용시장이 나빠지거나 경제활동이 약해지면 정책을 완화할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일부 참가자는 성장과 고용 전망이 나빠지면서 인플레이션이 지속되면, 연준이 "어려운 상충관계에 직면할 수 있다"고 우려했는데요.
표현을 직접적으로 쓰진 않았지만, 물가상승률이 높아지면서 고용이 둔화하는 스태그플레이션 위험으로 물가와 고용 중 하나만 택해야 하는 상황이 올 수 있단 경고로 풀이됩니다.
특히 이번 의사록에선 '관세'라는 표현이 18번 등장했는데, 효과가 어느 정도고 얼마나 이어질지 불확실하나, 일단 물가를 자극할 수 있단 판단입니다.
이런 가운데 연준은 연내 두 차례 금리를 내릴 수 있다는 전망도 유지했습니다.
[앵커]
밤 사이 나온 연은 총재들 발언도 짚어주시죠
[기자]
당장 토마스 바킨 리치먼드 연은 총재는 관세 효과가 6월에 드러날 것으로 내다봤는데요.
바킨 총재는 "대부분의 경우 기업이 관세 시행 전 확보해 둔 30~60일 분량의 재고가 있다"며, "4월 가격보다 6월 가격을 이야기하게 되는 상황"이라며 인플레이션 상승을 우려했습니다.
알베르토 무살렘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는, 미국 관세 정책을 두고 "성장률은 추세를 상당히 하회할 것"이라며, "관세의 실질적인 영향으로 물가가 상승해 기업과 개인 실질 소득이 감소하고, 일부 교역국의 보복 조치도 나타나고 있다"고 평가하기도 했습니다.
SBS Biz 지웅배입니다.
미 연방준비제도 위원들이 인플레이션 위험을 크게 평가하는 한편, 나아가 스태그플레이션도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관세 정책을 두곤 성장률을 둔화시키거나 물가를 자극할 수 있단 전망을 내놨습니다.
지웅배 기자, 연준 위원들은 미 경제 불확실성이 커졌다고 보는 분위기죠?
[기자]
지난달 18일부터 이틀간 진행된 FOMC 회의 의사록이 공개됐는데요.
우선 거의 모든 참가자가 인플레이션 위험은 크게 보는 반면, 비교적 고용 위험은 작게 평가했습니다.
통화정책이 "향후 전개에 대처할 좋은 위치에 있다"며, "인플레이션이 높게 유지된다면 제약적 정책이 더 오래 유지될 수 있다"는 판단입니다.
이어 "고용시장이 나빠지거나 경제활동이 약해지면 정책을 완화할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일부 참가자는 성장과 고용 전망이 나빠지면서 인플레이션이 지속되면, 연준이 "어려운 상충관계에 직면할 수 있다"고 우려했는데요.
표현을 직접적으로 쓰진 않았지만, 물가상승률이 높아지면서 고용이 둔화하는 스태그플레이션 위험으로 물가와 고용 중 하나만 택해야 하는 상황이 올 수 있단 경고로 풀이됩니다.
특히 이번 의사록에선 '관세'라는 표현이 18번 등장했는데, 효과가 어느 정도고 얼마나 이어질지 불확실하나, 일단 물가를 자극할 수 있단 판단입니다.
이런 가운데 연준은 연내 두 차례 금리를 내릴 수 있다는 전망도 유지했습니다.
[앵커]
밤 사이 나온 연은 총재들 발언도 짚어주시죠
[기자]
당장 토마스 바킨 리치먼드 연은 총재는 관세 효과가 6월에 드러날 것으로 내다봤는데요.
바킨 총재는 "대부분의 경우 기업이 관세 시행 전 확보해 둔 30~60일 분량의 재고가 있다"며, "4월 가격보다 6월 가격을 이야기하게 되는 상황"이라며 인플레이션 상승을 우려했습니다.
알베르토 무살렘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는, 미국 관세 정책을 두고 "성장률은 추세를 상당히 하회할 것"이라며, "관세의 실질적인 영향으로 물가가 상승해 기업과 개인 실질 소득이 감소하고, 일부 교역국의 보복 조치도 나타나고 있다"고 평가하기도 했습니다.
SBS Biz 지웅배입니다.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