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라살림 105조 적자…빚으로 돌아올 추경
SBS Biz 정보윤
입력2025.04.08 17:47
수정2025.04.08 18:43

[앵커]
정치권이 원하는 대로 대규모 추경을 편성하기에는 이미 재정 건전성이 급속히 악화되고 있다는 게 문제입니다.
지난해 대규모 세수펑크 등의 영향으로 나라살림 적자 규모가 100조 원을 넘어섰고, 나랏빚은 1천170조 원을 돌파했습니다.
정보윤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지난해 나라살림을 나타내는 관리재정수지는 104조 8천억 원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1년 전 결산보다 적자 폭이 18조 원 가까이 확대되며 GDP 대비 관리재정수지 적자 비율은 4%를 넘어섰습니다.
GDP 대비 적자 비율을 3% 이내로 제한하는 재정준칙은 공염불에 그쳤습니다.
기획재정부는 법인세 감소 등 대규모 세수 펑크가 발생했지만 민생 사업 등 지출을 유지한 데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적자가 누적되며 나랏빚인 국가채무는 1천175조 2천억으로 1년 전보다 49조 원 가까이 늘었습니다.
다만, 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은 46.1%로 0.8%p 낮아졌습니다.
문제는 추가경정예산안인데, 작년 결산상 추경에 사용할 수 있는 재원은 2천200억 원에 불과합니다.
국채 발행으로 대부분의 추경 재원을 조달하게 될 경우 국가채무 비율은 더 높아질 수밖에 없습니다.
[김상봉 / 한성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 공공기관 부채까지 합쳐가지고 (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이) 63%를 넘어가면 사회 후생이 떨어지기 시작해요. 정부도 그렇고 채무 비율이라든지 부채 비율이라든지 이런 부분들은 (대외신인도 평가에) 상당히 중요한 변수 중에 하나예요.]
새 정부 출범 이후 추가 추경이 이어질 경우, 국가채무 증가로 재정 건전성은 더욱 악화될 것으로 우려됩니다.
SBS Biz 정보윤입니다.
정치권이 원하는 대로 대규모 추경을 편성하기에는 이미 재정 건전성이 급속히 악화되고 있다는 게 문제입니다.
지난해 대규모 세수펑크 등의 영향으로 나라살림 적자 규모가 100조 원을 넘어섰고, 나랏빚은 1천170조 원을 돌파했습니다.
정보윤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지난해 나라살림을 나타내는 관리재정수지는 104조 8천억 원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1년 전 결산보다 적자 폭이 18조 원 가까이 확대되며 GDP 대비 관리재정수지 적자 비율은 4%를 넘어섰습니다.
GDP 대비 적자 비율을 3% 이내로 제한하는 재정준칙은 공염불에 그쳤습니다.
기획재정부는 법인세 감소 등 대규모 세수 펑크가 발생했지만 민생 사업 등 지출을 유지한 데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적자가 누적되며 나랏빚인 국가채무는 1천175조 2천억으로 1년 전보다 49조 원 가까이 늘었습니다.
다만, 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은 46.1%로 0.8%p 낮아졌습니다.
문제는 추가경정예산안인데, 작년 결산상 추경에 사용할 수 있는 재원은 2천200억 원에 불과합니다.
국채 발행으로 대부분의 추경 재원을 조달하게 될 경우 국가채무 비율은 더 높아질 수밖에 없습니다.
[김상봉 / 한성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 공공기관 부채까지 합쳐가지고 (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이) 63%를 넘어가면 사회 후생이 떨어지기 시작해요. 정부도 그렇고 채무 비율이라든지 부채 비율이라든지 이런 부분들은 (대외신인도 평가에) 상당히 중요한 변수 중에 하나예요.]
새 정부 출범 이후 추가 추경이 이어질 경우, 국가채무 증가로 재정 건전성은 더욱 악화될 것으로 우려됩니다.
SBS Biz 정보윤입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10억 넘는 계좌 가진 찐부자 이렇게 많다니
- 2.서울 월 500만원 월세 수두룩…'도대체 월급이 얼마길래?'
- 3.기초연금 이젠 아무나 못받는다?…'거주 기간' 따진다
- 4.세계 꼴찌 불명예 '이것'…이러다 진짜 한국 망할라
- 5."덜 먹거나 싼 것 먹어요"…2년 넘게 식당도 마트도 안 간다
- 6.직장 퇴직해 소득 없는데, 국민연금 내야 하나요?
- 7.'은행만 신났네'...역대 최대 예대금리차에 서민들 분통
- 8.어린이날 선물로 삼성전자 주식?…미성년 주주 40만명
- 9."월 1만6천원 돌려줍니다"…K패스 인기 뜨겁네
- 10.'이것 없는 한국, 상상하기 어렵다'…이 회사 또 일 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