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개월째 경상수지 흑자 오히려 부담?…4월부터 관세 직격탄?
SBS Biz 신다미
입력2025.04.08 17:47
수정2025.04.08 18:43

[앵커]
우리나라 경상수지는 2년 가까이 흑자 행진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관세전쟁 충격이 이제부터는 본격화할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신다미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 2월 경상수지는 71억 8천만 달러, 약 10조 5천582억 원 흑자로 잠정 집계됐습니다.
지난 1월보다 42억 달러 이상 많았고, 1년 전 같은 달과 비교해도 흑자 규모가 약 7억 달러 커졌습니다.
[김성준 / 한국은행 국제수지팀장 : (1월은) 설 연휴가 있어서 계절적인 요인 때문에 흑자 규모가 좀 적었거든요. 2월에는 흑자규모가 많이 늘었어요. 규모에는 차이가 있었지만 전체적으로 보면 기조적으로 22개월 연속 흑자 흐름을 유지하고 있거든요.]
경상수지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상품수지도 81억 8천만 달러 흑자로 23개월째 흑자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수출은 1년 전보다 3.6% 늘어났습니다.
반도체와 석유제품은 줄어든 반면 컴퓨터와 의약품, 승용차는 크게 뛴 영향입니다.
하지만 안심할 수만은 없습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우리나라의 대미 무역수지 흑자가 과도하다고 밝힌 만큼 상호관세의 명분으로 제시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지난해 대미 무역 흑자는 557억 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양준석 / 가톨릭대 경제학과 교수 : 경상수지 흑자가 미국 소비자들이나 기업들이 관세 부과하기 전에 임시적으로 올랐을 가능성이 크지만 (정부가) 협상을 할 때는 우리나라한테 불리한 요소로 적용될 가능성이 큽니다.]
관세가 부과되는 4월 이후 장기적으로 불확실성 늘고 경기 둔화 우려도 높아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SBS Biz 신다미입니다.
우리나라 경상수지는 2년 가까이 흑자 행진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관세전쟁 충격이 이제부터는 본격화할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신다미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 2월 경상수지는 71억 8천만 달러, 약 10조 5천582억 원 흑자로 잠정 집계됐습니다.
지난 1월보다 42억 달러 이상 많았고, 1년 전 같은 달과 비교해도 흑자 규모가 약 7억 달러 커졌습니다.
[김성준 / 한국은행 국제수지팀장 : (1월은) 설 연휴가 있어서 계절적인 요인 때문에 흑자 규모가 좀 적었거든요. 2월에는 흑자규모가 많이 늘었어요. 규모에는 차이가 있었지만 전체적으로 보면 기조적으로 22개월 연속 흑자 흐름을 유지하고 있거든요.]
경상수지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상품수지도 81억 8천만 달러 흑자로 23개월째 흑자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수출은 1년 전보다 3.6% 늘어났습니다.
반도체와 석유제품은 줄어든 반면 컴퓨터와 의약품, 승용차는 크게 뛴 영향입니다.
하지만 안심할 수만은 없습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우리나라의 대미 무역수지 흑자가 과도하다고 밝힌 만큼 상호관세의 명분으로 제시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지난해 대미 무역 흑자는 557억 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양준석 / 가톨릭대 경제학과 교수 : 경상수지 흑자가 미국 소비자들이나 기업들이 관세 부과하기 전에 임시적으로 올랐을 가능성이 크지만 (정부가) 협상을 할 때는 우리나라한테 불리한 요소로 적용될 가능성이 큽니다.]
관세가 부과되는 4월 이후 장기적으로 불확실성 늘고 경기 둔화 우려도 높아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SBS Biz 신다미입니다.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