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줌인] 큰 폭으로 상승하며 심상치 않은 달러·원 환율?
SBS Biz
입력2025.04.08 14:57
수정2025.04.08 19:44

■ 머니쇼+ '머니줌인' - 박상현 아이엠증권 전문위원
달러원 환율의 흐름이 심상치 않습니다. 1470원을 넘어서면서 고공행진을 이어갈지, 다시 안정화될지 주목하게 되는데요. 트럼프 행정부가 강경하게 추진 중인 관세 정책 영향도 받았죠. 아이엠증권 전문위원 박상현 님 모시고 주요국 환율 흐름에 대해 짚어보겠습니다.
Q. 달러·원 환율의 흐름이 심상치 않습니다. 하루에 30원 넘게 급등하며 5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오르기도 했는데요. 최근 달러·원 환율 흐름에 대해 어떻게 보셨어요?
- 큰 폭으로 상승하며 심상치 않은 달러·원 환율?
- 달러·원 환율, 하루에 30원 넘게 급등하기도
- 트럼프 행정부 '관세 전쟁' 여파…안전자산 선호
- 관세 전쟁으로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 확대
- 불안 커지며 안전자산 '달러화·엔화' 가치 상승
- 달러원 환율 종가 1473.2원…금융위기 이후 최고
Q. 전 세계 금융시장을 뒤흔든 가장 큰 이유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일 텐데요. 일명 '트럼프 패닉'에 안전자산으로 꼽히던 달러, 금이 안전하지 않은 자산이 됐어요. 위험자산도 떨어지고 안전자산도 떨어지는 상황이에요?
- 달러·금, 안전하지 않은 안전자산으로?
- 트럼프發 관세 전쟁 본격화…사라진 안전자산
- 국제 금값 하락, 달러화 가치도 급락…시장 충격
- 국채 시장, 많은 자금 몰리며 이점도 사라져
- 국제 금값, 3000달러 넘어섰다 2900달러 대로
- '포스트 금' 은·구리 가격도 일제히 하락세
Q. 미국 상호관세 정책의 충격은 기축 통화로서의 달러 위상을 약화시킬 수 있는데요. 협상용 카드로 언급되던 관세 정책처럼, 달러화나 환율도 통상 수단으로 활용할 가능성이 있다는데 어떻게 보세요?
- 트럼프, 달러화?환율도 협상용 카드로 활용?
- 월가서 마러라고 합의 가능성도 일부 제기
- 통화완화 통한 약달러 유도…인플레 위험↑
- 트럼프, 관세·안보 무기로 양자간 협상 나설 것
- 달러 기축통화 시스템·안보 우산 등도 무기로
- 스티븐 미란 "美 밖 달러 수요로 만성적 고평가"
- 트럼프 행정부, 아직 인플레 안정 미확신 상태
- 이번주 美 3월 CPI·PPI 발표 대기…시장은 경계중
Q. 트럼프 대통령을 비롯한 행정부가 '미국 우선주의'를 포함해 관세를 통한 보호무역 강화를 강경하게 내세우면서 오히려 미국 경제와 달러 패권에 대한 신뢰도 약화될 위험도 높아졌다는데, 정말일까요?
- 트럼프 美 우선주의·보호무역 강화…오히려 독?
- 트럼프, 관세로 자국 우선주의·보호무역 강화
- 美 우선주의 강화로 달러패권 신뢰 약화 가능성
- 美, 전통적 동맹국을 안보·관세 무기로 조롱
- 일각서 "트럼프- 젤렌스키 회담은 보여주기식"
- 유럽 "연준 달러유동성 공급 약속에 의구심"
- 달러의 준비통화 지위 위협이 구체화되기 시작
- 트럼프發 관세 정책…스태그 플레이션 위험↑
- 주요 IB "연내 美 경제 침체 가능성 50% 이상"
Q. 어제(7일) 엔·원 환율도 100엔당 1000원을 기록하며 3년 만에 최고치를 보였습니다. 다시 등장한 엔고, 안전자산 선호 현상 때문일까요? 이러다가 엔캐리 트레이드 청산이 무더기로 쏟아지는 건 아닐까요?
- 엔·원 환율 100엔당 1000원…엔캐리 청산 우려?
- BOJ, 4월 日 경기 판단 유지…"美 관세 불확실성"
- 日증시 요동…BOJ 금리인상도 부담스러워져
- 우에다 총재 "트럼프 관세, 美 인플레 단기적↑"
- 물가 상승의 시대…일본은 적응에 어려움 겪어
- 7일, 트럼프- 이시바 통화…"관세 부과 문제 논의"
- 이시바 총리, 트럼프에 日 관세 부과 재고 요청
- 트럼프- 이시바 통화 후 미일 양측 협상 개시 발표
- 관세 논의…미일 무역관계·달러엔 환율도 의제로
Q. 설마 설마 하던 최악의 상호관세 시나리오가 현실화되면서 글로벌 금융시장이 '패닉'에 빠진 상황입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강경한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데, 금융시장 안정은 하반기에나 돼야 가능할까요?
- 금융시장 안정화…하반기에나 가능할까?
- 美 금융시장, 상호관세 발표 이후 직격탄 맞아
- 美 시장 안정화…달러화 추가 하락에도 영향
- 이번주 美 3월 CPI…상호관세 영향 미반영
Q. 트럼프 대통령이 대중국 상호관세 34% 부과를 발표하자 중국도 보복관세를 발표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대중국 무역적자 해결 필요성을 강조했지만 중국 관영매체는 대응책이 충분하다며 맞섰어요. 미국과 중국의 관세·무역전쟁…주요국 환율에는 어떤 영향을 끼칠까요?
- 미중 대립 격화…주요국 환율에 끼칠 영향은?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달러원 환율의 흐름이 심상치 않습니다. 1470원을 넘어서면서 고공행진을 이어갈지, 다시 안정화될지 주목하게 되는데요. 트럼프 행정부가 강경하게 추진 중인 관세 정책 영향도 받았죠. 아이엠증권 전문위원 박상현 님 모시고 주요국 환율 흐름에 대해 짚어보겠습니다.
Q. 달러·원 환율의 흐름이 심상치 않습니다. 하루에 30원 넘게 급등하며 5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오르기도 했는데요. 최근 달러·원 환율 흐름에 대해 어떻게 보셨어요?
- 큰 폭으로 상승하며 심상치 않은 달러·원 환율?
- 달러·원 환율, 하루에 30원 넘게 급등하기도
- 트럼프 행정부 '관세 전쟁' 여파…안전자산 선호
- 관세 전쟁으로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 확대
- 불안 커지며 안전자산 '달러화·엔화' 가치 상승
- 달러원 환율 종가 1473.2원…금융위기 이후 최고
Q. 전 세계 금융시장을 뒤흔든 가장 큰 이유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일 텐데요. 일명 '트럼프 패닉'에 안전자산으로 꼽히던 달러, 금이 안전하지 않은 자산이 됐어요. 위험자산도 떨어지고 안전자산도 떨어지는 상황이에요?
- 달러·금, 안전하지 않은 안전자산으로?
- 트럼프發 관세 전쟁 본격화…사라진 안전자산
- 국제 금값 하락, 달러화 가치도 급락…시장 충격
- 국채 시장, 많은 자금 몰리며 이점도 사라져
- 국제 금값, 3000달러 넘어섰다 2900달러 대로
- '포스트 금' 은·구리 가격도 일제히 하락세
Q. 미국 상호관세 정책의 충격은 기축 통화로서의 달러 위상을 약화시킬 수 있는데요. 협상용 카드로 언급되던 관세 정책처럼, 달러화나 환율도 통상 수단으로 활용할 가능성이 있다는데 어떻게 보세요?
- 트럼프, 달러화?환율도 협상용 카드로 활용?
- 월가서 마러라고 합의 가능성도 일부 제기
- 통화완화 통한 약달러 유도…인플레 위험↑
- 트럼프, 관세·안보 무기로 양자간 협상 나설 것
- 달러 기축통화 시스템·안보 우산 등도 무기로
- 스티븐 미란 "美 밖 달러 수요로 만성적 고평가"
- 트럼프 행정부, 아직 인플레 안정 미확신 상태
- 이번주 美 3월 CPI·PPI 발표 대기…시장은 경계중
Q. 트럼프 대통령을 비롯한 행정부가 '미국 우선주의'를 포함해 관세를 통한 보호무역 강화를 강경하게 내세우면서 오히려 미국 경제와 달러 패권에 대한 신뢰도 약화될 위험도 높아졌다는데, 정말일까요?
- 트럼프 美 우선주의·보호무역 강화…오히려 독?
- 트럼프, 관세로 자국 우선주의·보호무역 강화
- 美 우선주의 강화로 달러패권 신뢰 약화 가능성
- 美, 전통적 동맹국을 안보·관세 무기로 조롱
- 일각서 "트럼프- 젤렌스키 회담은 보여주기식"
- 유럽 "연준 달러유동성 공급 약속에 의구심"
- 달러의 준비통화 지위 위협이 구체화되기 시작
- 트럼프發 관세 정책…스태그 플레이션 위험↑
- 주요 IB "연내 美 경제 침체 가능성 50% 이상"
Q. 어제(7일) 엔·원 환율도 100엔당 1000원을 기록하며 3년 만에 최고치를 보였습니다. 다시 등장한 엔고, 안전자산 선호 현상 때문일까요? 이러다가 엔캐리 트레이드 청산이 무더기로 쏟아지는 건 아닐까요?
- 엔·원 환율 100엔당 1000원…엔캐리 청산 우려?
- BOJ, 4월 日 경기 판단 유지…"美 관세 불확실성"
- 日증시 요동…BOJ 금리인상도 부담스러워져
- 우에다 총재 "트럼프 관세, 美 인플레 단기적↑"
- 물가 상승의 시대…일본은 적응에 어려움 겪어
- 7일, 트럼프- 이시바 통화…"관세 부과 문제 논의"
- 이시바 총리, 트럼프에 日 관세 부과 재고 요청
- 트럼프- 이시바 통화 후 미일 양측 협상 개시 발표
- 관세 논의…미일 무역관계·달러엔 환율도 의제로
Q. 설마 설마 하던 최악의 상호관세 시나리오가 현실화되면서 글로벌 금융시장이 '패닉'에 빠진 상황입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강경한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데, 금융시장 안정은 하반기에나 돼야 가능할까요?
- 금융시장 안정화…하반기에나 가능할까?
- 美 금융시장, 상호관세 발표 이후 직격탄 맞아
- 美 시장 안정화…달러화 추가 하락에도 영향
- 이번주 美 3월 CPI…상호관세 영향 미반영
Q. 트럼프 대통령이 대중국 상호관세 34% 부과를 발표하자 중국도 보복관세를 발표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대중국 무역적자 해결 필요성을 강조했지만 중국 관영매체는 대응책이 충분하다며 맞섰어요. 미국과 중국의 관세·무역전쟁…주요국 환율에는 어떤 영향을 끼칠까요?
- 미중 대립 격화…주요국 환율에 끼칠 영향은?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서울 월 500만원 월세 수두룩…'도대체 월급이 얼마길래?'
- 2.기초연금 이젠 아무나 못받는다?…'거주 기간' 따진다
- 3.세계 꼴찌 불명예 '이것'…이러다 진짜 한국 망할라
- 4."덜 먹거나 싼 것 먹어요"…2년 넘게 식당도 마트도 안 간다
- 5.'은행만 신났네'...역대 최대 예대금리차에 서민들 분통
- 6.어린이날 선물로 삼성전자 주식?…미성년 주주 40만명
- 7."월 1만6천원 돌려줍니다"…K패스 인기 뜨겁네
- 8.[단독] 국민연금 월 300만 원 처음 나왔다…누굴까?
- 9."주말에도 영화관 자리 텅텅 비더니"…결국 이런 일이
- 10.SKT에 '위약금 면제·인당 30만원 배상' 요구 집단분쟁조정 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