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장기 실업자 5년만에 다시 늘었다
SBS Biz 서주연
입력2025.04.08 13:53
수정2025.04.08 13:57

[대학교에 붙은 채용 정보 안내문들 (연합뉴스 자료사진)]
4년 연속 감소하던 15∼29세 청년층 장기 실업자가 지난해 증가세로 돌아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작년 전체 장기 실업자 10명 중 3명은 청년층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한국경영자총협회가 오늘(8일) 발표한 '최근 청년 고용시장의 3가지 특징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4개월 이상(한국은행 기준) 구직 활동을 했는데도 일자리를 찾지 못한 장기 실업자는 6만9천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지난 2023년보다 2천명 늘어난 것으로 2020∼2023년에는 청년층 장기 실업자 규모가 전년보다 감소했지만, 지난해 5년 만에 증가로 전환했습니다.
지난해 전체 장기 실업자 22만7천명 중 청년층은 30.2%로 가장 많았고, 30대가 5만1천명(22.3%)으로 뒤를 이었습니다. 장기 실업자의 절반 이상이 30대 이하입니다.
장기 실업자가 증가하면 고용 회복에도 지장이 생길 수 있는데 한국은행 분석에 따르면 실업 기간이 1개월 늘어나면 취업 확률이 1.5%포인트 낮아지는 것으로 추정됐습니다. 경총은 취업 확률이 낮고 구직 단념 확률이 높은 장기 실업자 증가는 고용 회복에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으며 낙인효과 등 구조적 문제로 진전될 우려가 크다고 지적했습니다.
아울러 올해 2월 '쉬었음' 청년은 50만4천명에 달해 2003년 통계 집계 이후 최대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쉬었음은 중대한 질병이나 장애는 없지만 경제활동인구 조사에서 "그냥 쉰다"고 답한 이들로 외형상 실업 상태지만 구직 의사가 없어 비경제활동인구로 분류됩니다.
경총에 따르면 올해 2월 쉬었음 청년 중 71.4%인 36만명은 취업 경험이 있었고, 특히 지난해 2월과 비교해 올해 2월에 늘어난 쉬었음 청년 6만1천명 중 87.9%는 과거 취업을 한 적이 있었습니다.
경총은 "청년 쉬었음의 주된 사유는 '원하는 일자리를 찾기 어려움' 같은 노동시장 미스매치가 주요 원인"이라며 "취업 경험이 있는 청년 중 쉬었음이 늘어나는 것은 노동시장에 진입하지 않고 쉬는 것이 아니라 취업을 경험한 후 더 이상 구직활동을 하지 않고 이탈한 사례가 늘고 있다는 의미"라고 설명했습니다.
경총 최문석 청년ESG팀장은 "쉬었음 청년 등 유휴인력들이 스스로 진로를 탐색하고, 보다 쉽게 노동시장으로 재진입할 수 있도록 산업현장 맞춤형 직업훈련 등 고용지원 서비스를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삼성전자의 SSAFY나 LG AI연구원의 LG에이머스 등 민간 주도의 수준 높은 청년 고용지원 프로그램을 대폭 확대해 취업하지 못한 청년들의 직무능력을 높이고 일 경험 기회를 제공해 고용 가능성을 제고해야 한다"고 제안했습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교체와 똑같습니다"…SKT 유심재설정, 이것부터 챙기세요
- 2.[단독] 이재명 '상생기금 시즌3' 구상…정부·은행 조 단위 [대선2025]
- 3.'손해봐도 일찍 받겠다'…100만원 국민연금 70만원만 탈래요
- 4.이참에 끊을까?…저녁에 소맥 한잔도 부담되네
- 5."이자 낼 돈이 없어요"…아파트 덜컥 사놓더니
- 6.내 금융 소득 이렇게 많다고?…우투, 국세청 무슨 일?
- 7.위기의 백종원 파격…5월에 여기 가면 '반값'
- 8."부모급여 월150만원은 돼야…13세 될 때까진 지원해줘야"
- 9.'쿠크다스보다 더 얇다'…초슬림 갤럭시 신기하네
- 10.한덕수 "겸허하게 수용…김문수 승리 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