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SBS Biz

美아이폰 '패닉 바잉' '뭐라고? 350달러(51만원) 오른다고?'

SBS Biz 송태희
입력2025.04.08 13:34
수정2025.04.08 18:11

//img.biz.sbs.co.kr/upload/2024/09/10/GLL1725950569313-850.jpg 이미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위협'에 미국 소비자들이 관세 부과 전에 아이폰을 구매하기 위해 매장으로 몰려갔다고 블룸버그통신이 현지시간 8일 보도했습니다. 

보도에 따르면 익명을 요구한 애플 직원은 매장이 휴대전화를 '패닉 바잉'(불안감에 의한 사재기)하려는 사람들로 붐볐다면서 "거의 모든 고객이 가격이 곧 오를지 물어봤다"고 말했습니다. 블룸버그는 미국 전역의 애플 매장 직원들을 인용해 주말에 고객들로 매장이 가득 찼다고 전했습니다. 

애플은 아이폰 생산을 다변화하고 있지만 여전히 대부분을 중국에서 만들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달 2일 국가별 상호관세를 공개하면서 중국에 대한 상호관세율을 34%로 발표했습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후 총 20%의 추가 관세를 중국에 부과한 바 있습니다. 

관세 우려 속에 주식 시장 폭락은 특히 중국을 핵심 생산지로 삼고 있는 애플에 큰 타격이 예상됩니다. 

아이폰 가격이 크게 오를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UBS 애널리스트는 7일 보고서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으로 애플이 미국에서 "아이폰16 프로 맥스의 가격을 최대 350달러(약 51만원) 인상할 수 있다"고 봤습니다. 

애플은 재고를 비축하는 등 관세 폭풍에 대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송태희다른기사
美 업체들 "일단 중국 공장 다시 돌리고 보자"
"29세까지 날씬해야…이때 비만되면 사망률 2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