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폭탄에 바이오주 '휘청'…이 와중에 상한가, 어디?
SBS Biz 이정민
입력2025.04.08 11:25
수정2025.04.08 13:50

[앵커]
미국발 관세 충격으로 제약·바이오기업들도 '블랙 먼데이'를 피해 가지 못했습니다.
이런 가운데서도 기술수출에 성공한 기업들은 상한가를 기록하며 희비가 엇갈렸습니다.
이정민 기자, 제약바이오주 흐름 어떤가요?
[기자]
제약·바이오주 71개 종목으로 구성된 KRX헬스케어지수가 오늘(8일)은 2%대 상승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어제(7일)에만 5% 넘게 떨어진 채 마감하는 등 최근 한 달 사이 15% 하락했습니다.
이들 종목의 시가총액도 한 달 사이 35조 원이 증발했습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만 9조 6천억 원, 셀트리온도 4조 5천억 원 넘게 감소했고요.
특히 HLB는 신약의 미국 허가가 또다시 불발되면서 한 달 사이 시총이 38% 쪼그라들었습니다.
[앵커]
반면에 기술수출 잭팟을 터뜨린 기업들은 호황이죠?
[기자]
에이비엘바이오는 어제 상한가를 찍은 데 이어 오늘도 10%대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에이비엘바이오는 알츠하이머와 파킨슨병 등 퇴행성 뇌질환 환자에 적용되는 뇌혈관장벽 투과 플랫폼 기술을 글로벌 제약사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에 이전하기로 했는데요.
계약 규모는 계약금 739억 원을 포함해 최대 4조 원에 이릅니다.
알테오젠도 지난달 신고가를 기록한 뒤 주가가 상승세인데요 최근 아스트라제네카와 2조 원 규모 기술이전 계약을 맺었습니다.
이들 기업을 포함해 올해 들어 기술수출 낭보를 터뜨린 바이오기업은 5곳입니다.
SBS Biz 이정민입니다.
미국발 관세 충격으로 제약·바이오기업들도 '블랙 먼데이'를 피해 가지 못했습니다.
이런 가운데서도 기술수출에 성공한 기업들은 상한가를 기록하며 희비가 엇갈렸습니다.
이정민 기자, 제약바이오주 흐름 어떤가요?
[기자]
제약·바이오주 71개 종목으로 구성된 KRX헬스케어지수가 오늘(8일)은 2%대 상승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어제(7일)에만 5% 넘게 떨어진 채 마감하는 등 최근 한 달 사이 15% 하락했습니다.
이들 종목의 시가총액도 한 달 사이 35조 원이 증발했습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만 9조 6천억 원, 셀트리온도 4조 5천억 원 넘게 감소했고요.
특히 HLB는 신약의 미국 허가가 또다시 불발되면서 한 달 사이 시총이 38% 쪼그라들었습니다.
[앵커]
반면에 기술수출 잭팟을 터뜨린 기업들은 호황이죠?
[기자]
에이비엘바이오는 어제 상한가를 찍은 데 이어 오늘도 10%대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에이비엘바이오는 알츠하이머와 파킨슨병 등 퇴행성 뇌질환 환자에 적용되는 뇌혈관장벽 투과 플랫폼 기술을 글로벌 제약사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에 이전하기로 했는데요.
계약 규모는 계약금 739억 원을 포함해 최대 4조 원에 이릅니다.
알테오젠도 지난달 신고가를 기록한 뒤 주가가 상승세인데요 최근 아스트라제네카와 2조 원 규모 기술이전 계약을 맺었습니다.
이들 기업을 포함해 올해 들어 기술수출 낭보를 터뜨린 바이오기업은 5곳입니다.
SBS Biz 이정민입니다.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월급 많이줘도 싫어요" 짐싸는 지방 청년들…어디로 갔나?
- 2.[단독] 국민연금 월 300만 원 처음 나왔다…누굴까?
- 3."위약금, SKT 사운 걸려"…"영업정지 최대 3개월 가능"
- 4.늙어가는 대한민국…국민연금 수령은 68세부터?
- 5.SKT에 '위약금 면제·인당 30만원 배상' 요구 집단분쟁조정 신청
- 6."주말에도 영화관 자리 텅텅 비더니"…결국 이런 일이
- 7."시장서 물건 사니 돈 돌려주네"…10% 환급 뭐야 뭐?
- 8.[단독] 이재명 '상생기금 시즌3' 구상…정부·은행 조 단위 [대선2025]
- 9."부자로 죽지 않겠다"…빌 게이츠 "재산 99% 앞으로 20년간 사회에 환원"
- 10.망고빙수 15만원 시대…누가 사먹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