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청 KDDX HD현대 수의계약 방침…한화 참여방안 매주 끝장토론
SBS Biz 윤지혜
입력2025.04.08 11:25
수정2025.04.08 11:52

[앵커]
방위사업청이 8조 원 규모의 한국형 차기 구축함(KDDX) 사업에 대해 HD현대와 수의계약을 하는 쪽으로 방침을 정했습니다.
방사청은 한화오션 측 반발을 의식해 공동개발에 준하는 참여 방안을 수립하기 위해 양측에 협의를 유도했는데, 사실상 업체 쪽에 공을 돌렸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윤지혜 기자, KDDX 사업자 선정과 관련해 기업들이 만나서 끝장토론을 벌이는 이유가 뭡니까?
[기자]
KDDX는 HD현대중공업과 한화오션이 사업자를 따내기 위해 치열하게 맞붙고 있는 사안입니다.
KDDX 기본설계가 끝난 지 1년 4개월이 지났지만, 양측이 과열 경쟁 양상을 띠면서 다음 단계인 상세설계와 초도함 건조에 대해 정하지 못했습니다.
결국 방사청은 공을 업체들에게 돌렸습니다.
지난 2일 강환석 방사청 차장이 HD현대와 한화오션 실무진들이 만나 KDDX 사업의 상생 협력 방안을 논의했는데요.
이 자리에서도 양측이 이견을 좁히지 못하자, 방사청은 결론이 나올 때까지 HD현대와 한화가 매주 만나서 협의하라고 중재했습니다.
양사 협상은 매주, 많게는 한 주에 두 번씩 정례화될 예정인데요.
기한은 양사가 만족할만한 협의안이 도출될 때까지고, 그때까지 분과위원회는 열리지 않을 예정입니다.
[앵커]
상세설계 사업자를 경쟁입찰과 수의계약 중 어떤 것으로 하느냐가 관건이었는데, 수의계약 가능성이 높은 것이죠?
[기자]
그렇습니다.
일단 경쟁입찰보다는 수의계약, 1개의 업체와 계약을 진행할 방침이라고 방사청은 설명했습니다.
이 경우 '기본설계 참여업체로 하여금 상세설계 및 선도함건조를 계속 수행하게 할 수 있다'는 방위사업관리규정에 따라 HD현대와 계약을 맺을 가능성이 큽니다.
다만 방사청은 한화오션의 반발을 고려해 공동개발, 공동 참여를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 중인데요.
하지만 한화오션은 HD현대가 주도하고 하청을 주는 형태의 참여방안은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이라 양측 이견 차를 좁히긴 쉽지 않아 보입니다.
일각에선 방사청이 대통령 파면과 조기 대선 등 정치상황을 의식해 주무 부처로서 결단을 미뤘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SBS Biz 윤지혜입니다.
방위사업청이 8조 원 규모의 한국형 차기 구축함(KDDX) 사업에 대해 HD현대와 수의계약을 하는 쪽으로 방침을 정했습니다.
방사청은 한화오션 측 반발을 의식해 공동개발에 준하는 참여 방안을 수립하기 위해 양측에 협의를 유도했는데, 사실상 업체 쪽에 공을 돌렸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윤지혜 기자, KDDX 사업자 선정과 관련해 기업들이 만나서 끝장토론을 벌이는 이유가 뭡니까?
[기자]
KDDX는 HD현대중공업과 한화오션이 사업자를 따내기 위해 치열하게 맞붙고 있는 사안입니다.
KDDX 기본설계가 끝난 지 1년 4개월이 지났지만, 양측이 과열 경쟁 양상을 띠면서 다음 단계인 상세설계와 초도함 건조에 대해 정하지 못했습니다.
결국 방사청은 공을 업체들에게 돌렸습니다.
지난 2일 강환석 방사청 차장이 HD현대와 한화오션 실무진들이 만나 KDDX 사업의 상생 협력 방안을 논의했는데요.
이 자리에서도 양측이 이견을 좁히지 못하자, 방사청은 결론이 나올 때까지 HD현대와 한화가 매주 만나서 협의하라고 중재했습니다.
양사 협상은 매주, 많게는 한 주에 두 번씩 정례화될 예정인데요.
기한은 양사가 만족할만한 협의안이 도출될 때까지고, 그때까지 분과위원회는 열리지 않을 예정입니다.
[앵커]
상세설계 사업자를 경쟁입찰과 수의계약 중 어떤 것으로 하느냐가 관건이었는데, 수의계약 가능성이 높은 것이죠?
[기자]
그렇습니다.
일단 경쟁입찰보다는 수의계약, 1개의 업체와 계약을 진행할 방침이라고 방사청은 설명했습니다.
이 경우 '기본설계 참여업체로 하여금 상세설계 및 선도함건조를 계속 수행하게 할 수 있다'는 방위사업관리규정에 따라 HD현대와 계약을 맺을 가능성이 큽니다.
다만 방사청은 한화오션의 반발을 고려해 공동개발, 공동 참여를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 중인데요.
하지만 한화오션은 HD현대가 주도하고 하청을 주는 형태의 참여방안은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이라 양측 이견 차를 좁히긴 쉽지 않아 보입니다.
일각에선 방사청이 대통령 파면과 조기 대선 등 정치상황을 의식해 주무 부처로서 결단을 미뤘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SBS Biz 윤지혜입니다.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제주 면세점서 양주 500밀리 4병 사다줘"…'이거' 사라졌다
- 2.[단독] 민주, 내달 4일 전 상법 개정안 처리
- 3.월급 397만원 받는다고요?…대한민국 평균 직장인입니다
- 4."도수치료 안 받는데"…이런 분들 실손보험료 확 줄어든다
- 5.연봉 9600만원 김과장, 15만 원 받는다?…신생아는?
- 6.[단독] 월세? 연금에서 빠집니다…국민연금, 노인복지주택 짓는다?
- 7.15년 전 가격에 통큰치킨 오픈런…"팔자마자 동났다"
- 8.대륙의 실수는 잊어라…청소기, 전기차 다음은 샤오미?
- 9.근로장려금 오늘부터 입금…맞벌이·노인 수혜 늘었다
- 10.'치킨회사 보고 있나'…5천원 통큰 치킨 15년만에 돌아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