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경상수지 흑자, 역대 3위…"미 관세영향 이제부터"
SBS Biz 최나리
입력2025.04.08 11:25
수정2025.04.08 11:49

[앵커]
우리나라 경상수지가 지난 2월까지 22개월 연속 흑자를 이어갔습니다.
2000년대 들어 역대 3번째 최장기간 연속 흑자 기록이지만 이달부터는 미국의 관세 영향을 받을 전망인데요.
최나리 기자, 지난 2월 흑자 규모 얼마로 집계됐습니까?
[기자]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2월 우리나라 경상수지는 71억 80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습니다.
직전 1월보다 42억 달러 이상 많고,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도 흑자 규모가 약 7억 달러 커졌습니다.
2월 기준으로 보면 2016년, 79억 3000만 달러 2017년, 74억 4000만 달러 이후 3번째입니다.
지난 2023년 5월 이후 22개월째 흑자로 2000년대 들어 3번째 최장기간 연속 흑자입니다.
경상수지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상품수지는 81억 8000만 달러로 23개월째 흑자로 나타났습니다.
조업일수 감소 등 계절적 요인 해소에 감속했던 수출이 증가전환하며 전달보다 흑자 규모가 큰 폭으로 확대됐습니다.
[앵커]
구체적으로는 어땠나요?
[기자]
수출은 537억 9천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6% 증가했습니다.
품목 중에서는 통관 기준 컴퓨터(28.5%)·의약품(28.1%)·승용차(18.8%)·정보통신기기(17.5%) 등이 증가했지만, 반도체(-2.5%)와 석유제품(-12.2%) 등은 줄었습니다.
수입은 456억 1000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3% 증가했습니다.
에너지 가격 하락으로 원자재의 감소세가 이어졌지만, 반도체 장비 등 자본재 수입이 확대되고, 소비재도 늘면서 1개월 만에 증가 전환했습니다.
서비스수지는 32억 적자 폭이 커졌는데, 집계됐는데, 이 가운데 여행수지가 14억 5000만 달러 적자였습니다.
한국은행은 "트럼프 관세 영향은 4월가량부터 숫자에 반영될 것으로 보인다"라고 전망했습니다.
이어 "자동차와 철강 등 대미 수출 비중이 높은 품목이 영향을 받을 것"이라며 "급격히 나빠진다기보다는 점차 시간을 두고 조금씩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SBS Biz 최나리입니다.
우리나라 경상수지가 지난 2월까지 22개월 연속 흑자를 이어갔습니다.
2000년대 들어 역대 3번째 최장기간 연속 흑자 기록이지만 이달부터는 미국의 관세 영향을 받을 전망인데요.
최나리 기자, 지난 2월 흑자 규모 얼마로 집계됐습니까?
[기자]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2월 우리나라 경상수지는 71억 80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습니다.
직전 1월보다 42억 달러 이상 많고,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도 흑자 규모가 약 7억 달러 커졌습니다.
2월 기준으로 보면 2016년, 79억 3000만 달러 2017년, 74억 4000만 달러 이후 3번째입니다.
지난 2023년 5월 이후 22개월째 흑자로 2000년대 들어 3번째 최장기간 연속 흑자입니다.
경상수지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상품수지는 81억 8000만 달러로 23개월째 흑자로 나타났습니다.
조업일수 감소 등 계절적 요인 해소에 감속했던 수출이 증가전환하며 전달보다 흑자 규모가 큰 폭으로 확대됐습니다.
[앵커]
구체적으로는 어땠나요?
[기자]
수출은 537억 9천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6% 증가했습니다.
품목 중에서는 통관 기준 컴퓨터(28.5%)·의약품(28.1%)·승용차(18.8%)·정보통신기기(17.5%) 등이 증가했지만, 반도체(-2.5%)와 석유제품(-12.2%) 등은 줄었습니다.
수입은 456억 1000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3% 증가했습니다.
에너지 가격 하락으로 원자재의 감소세가 이어졌지만, 반도체 장비 등 자본재 수입이 확대되고, 소비재도 늘면서 1개월 만에 증가 전환했습니다.
서비스수지는 32억 적자 폭이 커졌는데, 집계됐는데, 이 가운데 여행수지가 14억 5000만 달러 적자였습니다.
한국은행은 "트럼프 관세 영향은 4월가량부터 숫자에 반영될 것으로 보인다"라고 전망했습니다.
이어 "자동차와 철강 등 대미 수출 비중이 높은 품목이 영향을 받을 것"이라며 "급격히 나빠진다기보다는 점차 시간을 두고 조금씩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SBS Biz 최나리입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월급 많이줘도 싫어요" 짐싸는 지방 청년들…어디로 갔나?
- 2.[단독] 국민연금 월 300만 원 처음 나왔다…누굴까?
- 3."위약금, SKT 사운 걸려"…"영업정지 최대 3개월 가능"
- 4.늙어가는 대한민국…국민연금 수령은 68세부터?
- 5."교체와 똑같습니다"…SKT 유심재설정, 이것부터 챙기세요
- 6.[단독] 이재명 '상생기금 시즌3' 구상…정부·은행 조 단위 [대선2025]
- 7.SKT에 '위약금 면제·인당 30만원 배상' 요구 집단분쟁조정 신청
- 8."시장서 물건 사니 돈 돌려주네"…10% 환급 뭐야 뭐?
- 9.'손해봐도 일찍 받겠다'…100만원 국민연금 70만원만 탈래요
- 10."부자로 죽지 않겠다"…빌 게이츠 "재산 99% 앞으로 20년간 사회에 환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