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360선 회복… '가짜뉴스 논란' 뉴욕증시 장중 급등락
SBS Biz 김종윤
입력2025.04.08 11:25
수정2025.04.08 11:39

[앵커]
코스피가 급락 하루 만에 반등하면서 2천360선을 회복했습니다.
앞서 뉴욕증시가 진정되는 모습을 보였고, 삼성전자의 실적도 예상을 웃돌면서 투자심리가 살아났는데요.
김종윤 기자, 코스피가 오전 상승세를 타고 있네요?
[기자]
개장 직후 2% 넘게 상승 출발한 코스피는 2360선을 지켜내고 있습니다 개인이 3천4백억 가까이 순매수하면서 지수 상승을 이끌고 있고, 반면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3천3백억과 5백억 원을 순매도 중입니다.
시총 상위 종목 가운데에는 호실적을 발표한 삼성전자가 2% 넘게 올랐고, SK하이닉스도 4% 이상 상승세입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주주배정 유상증자 규모를 2조 3천억 원으로 축소한다는 소식에 6% 이상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커머스앱 실적이 하반기 반영되는 네이버는 5% 가까이 빠졌고 상반기까지 적자 전망에 카카오게임즈도 2%가량 약세를 보였습니다.
코스닥 지수도 2% 넘게 상승해 660선까지 올랐고 장초반 1471원에 오르며 시작한 원·달러 환율은 1467원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앵커]
반면 뉴욕증시는 가짜뉴스로 장중에 급등락을 반복했는데, 이 가짜뉴스가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이었나요?
[기자]
장중 상호관세를 일시 중단한다는 소식이 나오면서 뉴욕증시 3대 지수는 급등세로 돌아섰다가 백악관이 '가짜뉴스'라고 확인하자 다시 하락하는 등, 극심한 롤러코스터 장세를 보였습니다.
다우지수는 1% 가까이 떨어졌고 S&P500 지수도 0.2% 하락 마감했습니다.
반면 나스닥은 0.1% 올라 혼조세를 보였습니다 대형 기술주 가운데 엔비디아가 3% 넘게 올랐지만 중국 사업 노출도가 큰 애플은 3.6%, 테슬라는 2.5% 떨어졌습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일본제철 인수 재검토 지시에 US스틸은 16% 넘게 폭등했습니다.
SBS Biz 김종윤입니다.
코스피가 급락 하루 만에 반등하면서 2천360선을 회복했습니다.
앞서 뉴욕증시가 진정되는 모습을 보였고, 삼성전자의 실적도 예상을 웃돌면서 투자심리가 살아났는데요.
김종윤 기자, 코스피가 오전 상승세를 타고 있네요?
[기자]
개장 직후 2% 넘게 상승 출발한 코스피는 2360선을 지켜내고 있습니다 개인이 3천4백억 가까이 순매수하면서 지수 상승을 이끌고 있고, 반면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3천3백억과 5백억 원을 순매도 중입니다.
시총 상위 종목 가운데에는 호실적을 발표한 삼성전자가 2% 넘게 올랐고, SK하이닉스도 4% 이상 상승세입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주주배정 유상증자 규모를 2조 3천억 원으로 축소한다는 소식에 6% 이상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커머스앱 실적이 하반기 반영되는 네이버는 5% 가까이 빠졌고 상반기까지 적자 전망에 카카오게임즈도 2%가량 약세를 보였습니다.
코스닥 지수도 2% 넘게 상승해 660선까지 올랐고 장초반 1471원에 오르며 시작한 원·달러 환율은 1467원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앵커]
반면 뉴욕증시는 가짜뉴스로 장중에 급등락을 반복했는데, 이 가짜뉴스가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이었나요?
[기자]
장중 상호관세를 일시 중단한다는 소식이 나오면서 뉴욕증시 3대 지수는 급등세로 돌아섰다가 백악관이 '가짜뉴스'라고 확인하자 다시 하락하는 등, 극심한 롤러코스터 장세를 보였습니다.
다우지수는 1% 가까이 떨어졌고 S&P500 지수도 0.2% 하락 마감했습니다.
반면 나스닥은 0.1% 올라 혼조세를 보였습니다 대형 기술주 가운데 엔비디아가 3% 넘게 올랐지만 중국 사업 노출도가 큰 애플은 3.6%, 테슬라는 2.5% 떨어졌습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일본제철 인수 재검토 지시에 US스틸은 16% 넘게 폭등했습니다.
SBS Biz 김종윤입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월급 많이줘도 싫어요" 짐싸는 지방 청년들…어디로 갔나?
- 2.[단독] 국민연금 월 300만 원 처음 나왔다…누굴까?
- 3."위약금, SKT 사운 걸려"…"영업정지 최대 3개월 가능"
- 4.늙어가는 대한민국…국민연금 수령은 68세부터?
- 5."교체와 똑같습니다"…SKT 유심재설정, 이것부터 챙기세요
- 6.[단독] 이재명 '상생기금 시즌3' 구상…정부·은행 조 단위 [대선2025]
- 7.SKT에 '위약금 면제·인당 30만원 배상' 요구 집단분쟁조정 신청
- 8."주말에도 영화관 자리 텅텅 비더니"…결국 이런 일이
- 9."시장서 물건 사니 돈 돌려주네"…10% 환급 뭐야 뭐?
- 10.'손해봐도 일찍 받겠다'…100만원 국민연금 70만원만 탈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