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SBS Biz

[하우머니] 관세 충격에 '최악의 날'…뉴욕증시 당분간 부진?

SBS Biz
입력2025.04.08 07:51
수정2025.04.09 10:52

 머니쇼 '하우머니' - 최보원 한국투자증권 수석연구원

트럼프 대통령이 자국 우선주의를 내세우며 거의 대부분의 국가에 고관세 부과를 결정했죠. 그로 인해 글로벌 증시는 상승하는 것을 잊은 듯 힘 빠진 모습을 계속 보이고 있는데요. 관세 충격으로 패닉에 빠진 글로벌 증시, 향후 흐름은 어떨지 한국투자증권 최보원 수석연구원 모시고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Q. 행정부의 관세 정책 발표 이후, 이미 마음의 준비를 하고 있었음에도 충격이 컸습니다. 특히 뉴욕증시, 3대 지수 모두 큰 폭으로 하락하며 충격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잖아요? 

- 세계 각국 대상 트럼프 관세 강행에 뉴욕증시?
- 뉴욕증시 3대 지수…관세 충격에 큰 폭 하락
- S&P500, 금요일 6%↓…코로나 이후 가장 큰 낙폭


- S&P500, 트럼프 상호관세 발표 후 10% 넘게 하락
- 관세 공개 직전 '예외적' 내용에 대한 기대감 존재
- 주요 무역국 대상으로 예상보다 높은 관세율 적용
- 중국·EU, 상호관세에 예상보다 공격적으로 대응
- 미국 VS 중국·EU 등 국가 간 갈등 부담도 심화

Q.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로 인해 주식시장이 충격을 받았어도 버티면 이긴다는 자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오히려 감세 정책 관련 예산안이 상원을 통과했고, 이게 시행되면 관세로 인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는 해석도 있어요?

- 관세로 인한 시장 충격…감세 정책으로 회복 가능?
- 경기 불확실성, 당분간 지속될 수밖에 없는 국면
- 경기 둔화 가능성에 연준·정부 차원 대응 주목
- 트럼프 행정부 차원 경기 부양·친기업 정책 가능성
- 美 상원, 트럼프 감세 연장 등 예산 결의안 가결
- 다이먼 "트럼프 관세로 인플레 반등·美 성장 둔화"
- 美 "제로관세 무의미…'비관세 사기' 중단이 포인트"
- 감세·규제 완화 기대감↑…관세 강행에 우려 커져
- 트럼프 '감세' 공약…빚 갚아나갈 재원 마련 필요

Q. 이번엔 유럽 증시에 대해서 여쭤볼게요. 유럽증시, 독일이 부양책을 써가며 재정 개혁을 한다는 소식에 낙관론이 등장하자 1분기에는 강세를 이어갔거든요. 잘 달리던 유럽증시도, 결국 트럼프 관세 정책에 힘을 못 쓰고 있어요?

- 잘 나가던 유럽증시도 '관세' 정책에 멈춘 상승세?
- 유럽증시, 獨 부양책·재정 개혁 낙관론에 그간 강세
- 상대적으로 밸류에이션 부담 낮았던 유럽증시
- 그간 ECB·BOE 정책 기대감 높이는 지표 발표
- ECB, 관세發 경기침체 대비 추가 금리인하 가능성
- ECB "트럼프 관세에 유럽 성장 최대 1%p 둔화"
- BOE, 기준금리 연 4.5% 유지…전문가 예상 부합
- 유럽증시, 연초 대비 밸류에이션 부담 커진 상황
- 유럽증시, 1~2월 대비 3월은 관세 불확실성 심화
- 유럽증시, 친기업 정책 전환에 수익률도 양호
- 주요국, 관세에 강경 대응 시사…경기 불확실성↑
- 영국, 관세 부담 제한적…"상대적으로 양호해"
- 프랑스, 글로벌 경기 영향 크게 반영되는 국가
- 독일, 수출·공급망 의존도 높은 산업 비중↑

Q. 그래도 유럽증시는 재평가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은데요. ECB의 금리인하와 재정정책 확대가 긍정적이기 때문이라고 하죠. 지정학적 리스크나 관세 등 요인도 분명 있는데, 위원님께서는 어떻게 보세요? 

- ECB 금리인하 긍정적…재평가 필요한 유럽증시?
- 유럽증시, 지난해 美 대비 매크로 부진…상승 제한
- 부진한 매크로 지표·기업 실적 회복 속도 악영향
- 올초,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 높이는 지표 이어져
- 유럽증시, 친기업 정책 구체화 기대감은 여전해
- 펀더멘털 기반 지수 상승 여력, 여전하다는 판단
- 유럽, 단기적으로 美 정부 정책에 대한 경계 심화
- 관세에 대한 유럽 대응도 단기 투심 위축 요인
- 유로스톡스 50보다 600으로 대응하는 전략 유효
- 유럽 내 관세 부담 제한 국가·기업 중심 대응 필요

Q. 관세 충격을 피하지 못한 건 일본도 마찬가지입니다. 오히려 우리나라보다 더 큰 충격을 받은 듯한데요. 어제(7일) 장중에는 니케이 225와 토픽스 선물 거래가 중단되기도 했어요. 일본증시, 최근 흐름은 어땠습니까? 

- 일본증시에도 불어 닥친 관세 충격…최근 흐름은?
- 7일 장중 니케이 225·토픽스 선물 거래 일시 중단
- 7일 니케이 225 급락 출발…7.8% 하락한 채 마감
- 니케이 225·토픽스, 가파른 지수 하락세 이어져
- 3월, 관세 기대감 반영…日증시 상대적으로 상승
- 대대적인 美 관세 발표…日증시 하방 압력 높여
- 그간 BOJ 정책금리 인상 가능성 높아졌던 상황
- 美 상호관세 발표 후 BOJ 정책 불확실성도 심화
- 日증시, 단기 반등 컸던 금리인상 수혜주 부진
- 日증시, 지난해 반등 컸던 대표 수출주들 하락

Q. 어제 장중에 100엔이 1000원이 되는, 그야말로 엔화 초강세를 맞이했습니다. 환차익을 챙기기 위해 일본증시를 빠져나가는 이들도 많았는데요. 트럼프의 관세, 일본증시가 가장 큰 타격을 입은 듯한데 이유는 뭐라고 보세요?

- 7일 장중 엔·원 환율 1000원 대로…美 관세 때문?
- BOJ, 4월 日 경기 판단 유지…"美 관세 불확실성"
- 日증시 요동…BOJ 금리인상도 부담스러워져
- 우에다 총재 "트럼프 관세, 美 인플레 단기적↑"
- 물가 상승의 시대…일본은 적응에 어려움 겪어
- 7일, 트럼프- 이시바 통화…"관세 부과 문제 논의"
- 이시바 총리, 트럼프에 日 관세 부과 재고 요청
- 트럼프- 이시바 통화 후 미일 양측 협상 개시 발표
- 관세 논의…미일 무역관계·달러엔 환율도 의제로

Q. 아무래도 지금은 트럼프 행정부가 앞으로를 위한 정책을 막 쏟아낼 시기이고, 알고 있었더라도 충격은 어쩔 수 없는 듯한데요. 하반기에 들어서면 미국, 일본, 유럽증시도 숨통이 트이게 될까요? 

- 올 하반기, 미·일·유럽증시도 숨통 트이게 될까?
- 펀더멘털 기반, 미·일·유럽 모두 상승 여력 보유
- 2026년까지 대형 기업들 EPS 증가 기대감 여전
- 대형 기업들이 경제성장률에 끼칠 영향 1~2%
- 단기적, 경기·실적 약화 가능성 높일 발표 예정
- 4월 중순 이후 본격적으로 기업 실적 발표 시작
- 실적으로 확인하고자 하는 심리 강해질 것
- 경기둔화 우려 지속 시 국가별 대응도 확인 필요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