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나 인사이트] 뿔난 美 기업인들, 트럼프에 반발 목소리 내나
SBS Biz
입력2025.04.08 07:51
수정2025.04.08 09:57

■ 머니쇼 '차이나 인사이트' - 박승찬 용인대 중국학과 교수
[이번 주 증시 이벤트]
▲7일 (월)
[산업] 2025 서울 모빌리티 포럼(~11), 삼성전자 주요 모델 대상 One UI 7 업데이트, 지니 TV 오리지널 신병 3 공개, NCT 마크 솔로 데뷔(에스엠)
- 미국 2월 소비자신용지수
- 유럽 2월 소매판매
4월 센틱스 투자자기대지수
- 일본 2월 선행지수, 동행지수
- 국내 실적 : LG전자 1분기 잠정실적
▲8일 (화)
[산업] 대만 반도체 수출 데이터 발표, Sunny Optical 카메라렌즈 출하량, 2025 중국 상하이 춘계 의료기기 전시회(~11)
- 미국 3월 NFIB 소기업 낙관지수
3년물 국채 입찰
- 일본 3월 경기관찰조사 현행, 전망
- 국내 실적 : 삼성전자 1분기 잠정실적
▲9일 (수)
- 지준일
[산업] 2025 기계설비전시회(~11)
- 미국 10년물 국채 입찰
- 한국 3월 실업률
- 중국 3월 통화공급 M2
- 일본 3월 소비자기대지수, 공작기계 수주
▲10일 (목)
- 옵션만기일
[산업] 중국 3월 자동차 판매 데이터, TSMC 3월 매출 발표, USDA 세계 곡물 수급 전망
- 미국 30년물 국채 입찰
3월 CPI, 근원 CPI, 실질 평균 시간당 임금
- 중국 3월 CPI
- 일본 3월 CPI
▲11일 (금)
[산업] 2025 홍콩 춘계 소비재 전자 전시회(~14), 2025 국제치과의료기기전시회(~13), FTX 채권자 2차 상환일
- 한국 4월 1~10일 수출입
- 미국 3월 PPI, 근원 PPI
4월 미시간 소비자신뢰, 기대, 경기현황
미시간 1년, 5~10년 인플레이션
- 일본 3월 통화량 M2
◇ 어제(7일)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일본, 홍콩, 호주, 중국까지 아시아권 증시 전반적으로 상황이 좋지 않았는데요. 중국증시 상황은 어땠습니까?
- 아시아 증시 '관세 패닉'…중국증시 마감 상황은?
- 상하이 종합지수, 7.34% 하락…”바닥 예측 어려워“
- 기술주 중심의 창업판 지수, 12.50% 곤두박질
- 중화권 증시 쇼크… 항셍지수, 16년만 최대 하락폭
- 中 본토 상하이·선전지수, 대만 자취안지수 급락
- ”관세 영향 상쇄 위한 부양책 발표 시 반등 가능성“
- 대만 32% 고율 관세…반도체 관세 추가 우려 상승
- 트럼프 “중국과의 무역적자만 1조 달러에 달한다”
- 트럼프 “中과 무역적자 해결하기 전까지 협상 없어”
◇ 관세 충격으로 피해를 우려하는 미국인들의 반발 움직임도 거셉니다. 미 전역에서 1200건이 넘는 집회가 열렸고 , IT·금융 거물들은 상식적인 관세 얘기를 전하러 트럼프 사저로 향했다는 보도도 나왔어요?
- 뿔난 美 기업인들, 트럼프에 반발 목소리 내나
- 9,600조 원이 증발에도…트럼프, 골프 치며 관세 옹호
- 트럼프 "버텨라"…관세발 역성장 우려에 시위까지
- 머스크, 트럼프와 이견 표출...“미국- 유럽 무관세 필요”
- 아론 레비 CEO “관세가 美 기술 10년 후퇴시킬 것”
- "가장 큰 피해자는 美 소비자"…美내에서도 우려
- 美 3월 미시간대 소비심리지수 57.0…2년여 만에 최저
- '마구잡이 관세' 요지부동…공화당 "이러다 선거 발목“
- JP모건, 올해 미국경제 역성장 전망…1.6%p↓
◇ 내년 11월에는 중간선거도 있지 않습니까? 트럼프 1기 때는 중간선거에서 민주당에 패하며 사실상 트럼프 행정부가 마비되기도 했는데, 지금 고강도 관세 정책을 빠르게 밀어붙이는 게 선거를 의식한 행보라고 봐야 할까요?
- 트럼프 관세 도박…내년 11월 중간선거 의식 행보?
- 美 상무 “상호관세 예정대로 부과…트럼프 농담 아냐”
- 공화당마저 "선거 완패" 공포…트럼프 폭주에 발칵
- 美공화, 하원 보궐선거 2곳 수성…의석수 220 대 213
- 美하원 보궐선거 2곳 공화당 모두 당선…기존 의석 지켜
- 트럼프 중간평가 '쓴 잔', 위스콘신 대법관 선거 패배
- 머스크 290억 원 지원…美대법관 선거 보수 후보 낙선
- 취임 두 달 만에…美 보수 텃밭서도 흔들리는 민심
- 머스크 '100만 달러 이벤트' 등 지원에도 지지 후보 낙선
- 위스콘신, 트럼프 정권에 대한 여론 읽을 수 있는 곳
- 진보성향 크로포드 후보 10% 포인트 격차로 당선 확정
- 플로리다 하원 보궐선거도 민주당 후보 선전
◇ 또 주목할 부분이 올해 초부터 미국 부채가 계속 불어나고 있다는 점이죠. 현재 미국 부채 규모가 37조 달러에 육박하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달러 패권을 계속 유지할 수 있을지도 살펴봐야 할 거 같아요?
- 천문학적 부채 누적…‘달러 패권’ 유지 가능할까
- 미 재정 적자 규모 37조 달러…통제 불가능 수준
- 증시 급락에도 불구하고 달러 약세 두드러져
- 달러패권에 신뢰 균열, 글로벌 자금 대이동 가능성
- 트럼프의 정책들 달러 자산에 대한 신뢰도 낮춰
- 올해, 리파이낸싱 부담이 커져…달려 지위 ‘흔들’
- 미 무역수지 흑자 확대 시 달러 수요 줄어들어
- 美에서 번 돈으로 국채를 사는 선순환 구조 멈춰
◇ 앞서 미국의 2차례 관세 부과에도 일부 품목에만 핀셋식 대응을 했던 중국이 이번에는 미국산 제품에 34%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히면서 전면전을 택했습니다. 게다가 준비한 듯이 희토류 수출 통제 카드도 꺼내 들었어요?
- ‘맞불 작전’…무역전쟁 속 '희토류 카드' 꺼내든 中?
- 사마륨, 가돌리늄, 테르븀 등 7종의 희토류 수출통제
- 美, 보편 관세 10% 정식 발효…글로벌 무역전쟁 격화
- 中 보복 나섰다 "美수입품에 34% 추가 관세“
- “대등·공정 내세운 치킨 게임”…G2 관세전쟁 격화
- 中, 희토류 7종 美 수출 통제…트럼프 관세에 맞불
- 韓, 中에 희토류 상당 부분 의존…부정적 영향 예상
- 희토류, 첨단 기술 분야와 친환경 산업 필수 원자재
- 中 희토류 수출통제…정부 "공공비축·대체재 확보"
- 치킨게임 치닫는 미·중…세계경제 ‘R의 공포’ 경고등
◇ 치킨 게임에 들어간 미국과 중국이 막판에 극적으로 타협할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습니다. 이때 중국이 미국 '틱톡' 법인 매각 허가를 협상 카드로 쓸 거란 얘기가 나와요?
- 美- 中 관세전쟁 최대 변수 '틱톡 매각'?
- '틱톡' 매각 기한 6월로 연기…관세정책에 무산
- 中 “틱톡 美에 안 판다”… EU “빅테크 규제 강화”
- 시진핑, ‘틱톡 매각‘ 관세 협상 카드로 사용 전망
- 트럼프, 틱톡 매각 마감 시한 75일 연장
- 트럼프 "中 합의 전제는 美적자 해결…관세는 '약'“
◇ 이번 관세 전쟁이 오히려 국제무대에서 중국의 입지를 넓혀주는 결과를 낳을 거란 예측도 나옵니다. 미국의 협력 국가들이 중국에 밀착할 기회를 줬다는 건데, 중국에게 위기가 아닌 새로운 기회일수도 있다고 보시나요?
- 커지는 '반 트럼프' 연대…"시진핑이 승자"?
- 중국 외교부 대변인, 보복관세에 "자충수" 역공
- 반미정서가 커져…중국에 '어부지리'로 작용 전망
- WSJ “트럼프 무역전쟁, 시진핑에게 전략적 선물”
- WSJ “중국 큰 힘 안 들이고 서방의 분열 확인”
- ASEAN, 공동 대응 모색…한·중·일과도 협의 예정
- 중국, 기술 발전과 독자 생태계 구축에 가속도 전망
- 관세전쟁, ’애국소비’ 바람 일으키는 계기가 될 수도
- EU- 중국 협력 가능성…수출 통제 완화 주목
◇ 그렇다면 중국이 신속하게 보복조치를 취한 게 적극적인 내수 활성화에 나서겠다는 신호로 봐도 되는 걸까요? 추가 부양책이나 소비 진작 방안을 공개할 가능성에 대해서는 어떻게 보십니까?
- 경기 확장 진입한 중국…추가 부양책 공개할까
- 中, 관세폭탄 위기 탈출구로 '내수활성화' 부각
- 중국, 본격 부양책 시행 국면…경기 확장 국면 진입
- “국채 발행·LPR인하 등 다양한 부양책 추진 전망
- ”수출 경쟁력 강화 위해 위안화 가치 낮출 수도“
- 中 3월 제조업 PMI 50.5…'경기 확장' 국면 이어가
◇ 우리나라는 상호관세 충격으로 글로벌 무역과 국내 수출이 동반 위축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는데요. 시장에서는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이 1%를 밑돌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옵니다. 전례 없는 위기 상황 속에서 대미 협상을 주도할 리더십 공백은 여전하죠. 이 위기 어떻게 헤쳐나가야 할까요?
- '관세 폭풍'에 韓 올해 성장률 0%대 추락하나
- 리더십 공백에…美관세압박·필수추경 어쩌나
- '마이너스 성장' 먹구름 낀 경제…타개책은?
- 4분기 경제 성장률 37개국 중 29위…꼴찌만 면해
- 尹파면·美관세 발표 안 나온 1분기 '역성장' 가능성
- 트럼프 리스크 본격화…"예상보다 더 나쁜 상황"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이번 주 증시 이벤트]
▲7일 (월)
[산업] 2025 서울 모빌리티 포럼(~11), 삼성전자 주요 모델 대상 One UI 7 업데이트, 지니 TV 오리지널 신병 3 공개, NCT 마크 솔로 데뷔(에스엠)
- 미국 2월 소비자신용지수
- 유럽 2월 소매판매
4월 센틱스 투자자기대지수
- 일본 2월 선행지수, 동행지수
- 국내 실적 : LG전자 1분기 잠정실적
▲8일 (화)
[산업] 대만 반도체 수출 데이터 발표, Sunny Optical 카메라렌즈 출하량, 2025 중국 상하이 춘계 의료기기 전시회(~11)
- 미국 3월 NFIB 소기업 낙관지수
3년물 국채 입찰
- 일본 3월 경기관찰조사 현행, 전망
- 국내 실적 : 삼성전자 1분기 잠정실적
▲9일 (수)
- 지준일
[산업] 2025 기계설비전시회(~11)
- 미국 10년물 국채 입찰
- 한국 3월 실업률
- 중국 3월 통화공급 M2
- 일본 3월 소비자기대지수, 공작기계 수주
▲10일 (목)
- 옵션만기일
[산업] 중국 3월 자동차 판매 데이터, TSMC 3월 매출 발표, USDA 세계 곡물 수급 전망
- 미국 30년물 국채 입찰
3월 CPI, 근원 CPI, 실질 평균 시간당 임금
- 중국 3월 CPI
- 일본 3월 CPI
▲11일 (금)
[산업] 2025 홍콩 춘계 소비재 전자 전시회(~14), 2025 국제치과의료기기전시회(~13), FTX 채권자 2차 상환일
- 한국 4월 1~10일 수출입
- 미국 3월 PPI, 근원 PPI
4월 미시간 소비자신뢰, 기대, 경기현황
미시간 1년, 5~10년 인플레이션
- 일본 3월 통화량 M2
◇ 어제(7일)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일본, 홍콩, 호주, 중국까지 아시아권 증시 전반적으로 상황이 좋지 않았는데요. 중국증시 상황은 어땠습니까?
- 아시아 증시 '관세 패닉'…중국증시 마감 상황은?
- 상하이 종합지수, 7.34% 하락…”바닥 예측 어려워“
- 기술주 중심의 창업판 지수, 12.50% 곤두박질
- 중화권 증시 쇼크… 항셍지수, 16년만 최대 하락폭
- 中 본토 상하이·선전지수, 대만 자취안지수 급락
- ”관세 영향 상쇄 위한 부양책 발표 시 반등 가능성“
- 대만 32% 고율 관세…반도체 관세 추가 우려 상승
- 트럼프 “중국과의 무역적자만 1조 달러에 달한다”
- 트럼프 “中과 무역적자 해결하기 전까지 협상 없어”
◇ 관세 충격으로 피해를 우려하는 미국인들의 반발 움직임도 거셉니다. 미 전역에서 1200건이 넘는 집회가 열렸고 , IT·금융 거물들은 상식적인 관세 얘기를 전하러 트럼프 사저로 향했다는 보도도 나왔어요?
- 뿔난 美 기업인들, 트럼프에 반발 목소리 내나
- 9,600조 원이 증발에도…트럼프, 골프 치며 관세 옹호
- 트럼프 "버텨라"…관세발 역성장 우려에 시위까지
- 머스크, 트럼프와 이견 표출...“미국- 유럽 무관세 필요”
- 아론 레비 CEO “관세가 美 기술 10년 후퇴시킬 것”
- "가장 큰 피해자는 美 소비자"…美내에서도 우려
- 美 3월 미시간대 소비심리지수 57.0…2년여 만에 최저
- '마구잡이 관세' 요지부동…공화당 "이러다 선거 발목“
- JP모건, 올해 미국경제 역성장 전망…1.6%p↓
◇ 내년 11월에는 중간선거도 있지 않습니까? 트럼프 1기 때는 중간선거에서 민주당에 패하며 사실상 트럼프 행정부가 마비되기도 했는데, 지금 고강도 관세 정책을 빠르게 밀어붙이는 게 선거를 의식한 행보라고 봐야 할까요?
- 트럼프 관세 도박…내년 11월 중간선거 의식 행보?
- 美 상무 “상호관세 예정대로 부과…트럼프 농담 아냐”
- 공화당마저 "선거 완패" 공포…트럼프 폭주에 발칵
- 美공화, 하원 보궐선거 2곳 수성…의석수 220 대 213
- 美하원 보궐선거 2곳 공화당 모두 당선…기존 의석 지켜
- 트럼프 중간평가 '쓴 잔', 위스콘신 대법관 선거 패배
- 머스크 290억 원 지원…美대법관 선거 보수 후보 낙선
- 취임 두 달 만에…美 보수 텃밭서도 흔들리는 민심
- 머스크 '100만 달러 이벤트' 등 지원에도 지지 후보 낙선
- 위스콘신, 트럼프 정권에 대한 여론 읽을 수 있는 곳
- 진보성향 크로포드 후보 10% 포인트 격차로 당선 확정
- 플로리다 하원 보궐선거도 민주당 후보 선전
◇ 또 주목할 부분이 올해 초부터 미국 부채가 계속 불어나고 있다는 점이죠. 현재 미국 부채 규모가 37조 달러에 육박하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달러 패권을 계속 유지할 수 있을지도 살펴봐야 할 거 같아요?
- 천문학적 부채 누적…‘달러 패권’ 유지 가능할까
- 미 재정 적자 규모 37조 달러…통제 불가능 수준
- 증시 급락에도 불구하고 달러 약세 두드러져
- 달러패권에 신뢰 균열, 글로벌 자금 대이동 가능성
- 트럼프의 정책들 달러 자산에 대한 신뢰도 낮춰
- 올해, 리파이낸싱 부담이 커져…달려 지위 ‘흔들’
- 미 무역수지 흑자 확대 시 달러 수요 줄어들어
- 美에서 번 돈으로 국채를 사는 선순환 구조 멈춰
◇ 앞서 미국의 2차례 관세 부과에도 일부 품목에만 핀셋식 대응을 했던 중국이 이번에는 미국산 제품에 34%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히면서 전면전을 택했습니다. 게다가 준비한 듯이 희토류 수출 통제 카드도 꺼내 들었어요?
- ‘맞불 작전’…무역전쟁 속 '희토류 카드' 꺼내든 中?
- 사마륨, 가돌리늄, 테르븀 등 7종의 희토류 수출통제
- 美, 보편 관세 10% 정식 발효…글로벌 무역전쟁 격화
- 中 보복 나섰다 "美수입품에 34% 추가 관세“
- “대등·공정 내세운 치킨 게임”…G2 관세전쟁 격화
- 中, 희토류 7종 美 수출 통제…트럼프 관세에 맞불
- 韓, 中에 희토류 상당 부분 의존…부정적 영향 예상
- 희토류, 첨단 기술 분야와 친환경 산업 필수 원자재
- 中 희토류 수출통제…정부 "공공비축·대체재 확보"
- 치킨게임 치닫는 미·중…세계경제 ‘R의 공포’ 경고등
◇ 치킨 게임에 들어간 미국과 중국이 막판에 극적으로 타협할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습니다. 이때 중국이 미국 '틱톡' 법인 매각 허가를 협상 카드로 쓸 거란 얘기가 나와요?
- 美- 中 관세전쟁 최대 변수 '틱톡 매각'?
- '틱톡' 매각 기한 6월로 연기…관세정책에 무산
- 中 “틱톡 美에 안 판다”… EU “빅테크 규제 강화”
- 시진핑, ‘틱톡 매각‘ 관세 협상 카드로 사용 전망
- 트럼프, 틱톡 매각 마감 시한 75일 연장
- 트럼프 "中 합의 전제는 美적자 해결…관세는 '약'“
◇ 이번 관세 전쟁이 오히려 국제무대에서 중국의 입지를 넓혀주는 결과를 낳을 거란 예측도 나옵니다. 미국의 협력 국가들이 중국에 밀착할 기회를 줬다는 건데, 중국에게 위기가 아닌 새로운 기회일수도 있다고 보시나요?
- 커지는 '반 트럼프' 연대…"시진핑이 승자"?
- 중국 외교부 대변인, 보복관세에 "자충수" 역공
- 반미정서가 커져…중국에 '어부지리'로 작용 전망
- WSJ “트럼프 무역전쟁, 시진핑에게 전략적 선물”
- WSJ “중국 큰 힘 안 들이고 서방의 분열 확인”
- ASEAN, 공동 대응 모색…한·중·일과도 협의 예정
- 중국, 기술 발전과 독자 생태계 구축에 가속도 전망
- 관세전쟁, ’애국소비’ 바람 일으키는 계기가 될 수도
- EU- 중국 협력 가능성…수출 통제 완화 주목
◇ 그렇다면 중국이 신속하게 보복조치를 취한 게 적극적인 내수 활성화에 나서겠다는 신호로 봐도 되는 걸까요? 추가 부양책이나 소비 진작 방안을 공개할 가능성에 대해서는 어떻게 보십니까?
- 경기 확장 진입한 중국…추가 부양책 공개할까
- 中, 관세폭탄 위기 탈출구로 '내수활성화' 부각
- 중국, 본격 부양책 시행 국면…경기 확장 국면 진입
- “국채 발행·LPR인하 등 다양한 부양책 추진 전망
- ”수출 경쟁력 강화 위해 위안화 가치 낮출 수도“
- 中 3월 제조업 PMI 50.5…'경기 확장' 국면 이어가
◇ 우리나라는 상호관세 충격으로 글로벌 무역과 국내 수출이 동반 위축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는데요. 시장에서는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이 1%를 밑돌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옵니다. 전례 없는 위기 상황 속에서 대미 협상을 주도할 리더십 공백은 여전하죠. 이 위기 어떻게 헤쳐나가야 할까요?
- '관세 폭풍'에 韓 올해 성장률 0%대 추락하나
- 리더십 공백에…美관세압박·필수추경 어쩌나
- '마이너스 성장' 먹구름 낀 경제…타개책은?
- 4분기 경제 성장률 37개국 중 29위…꼴찌만 면해
- 尹파면·美관세 발표 안 나온 1분기 '역성장' 가능성
- 트럼프 리스크 본격화…"예상보다 더 나쁜 상황"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건보료 한푼 안내고 수십억 받아…알고보니 체납까지
- 2.10억 넘는 계좌 가진 찐부자 이렇게 많다니
- 3.'이젠 못 참아, 집 보려면 수고비 내라?'…당신의 생각은?
- 4.국제 호구 된 건강보험?…외국인 먹튀에 적자만 '무려'
- 5.서울 월 500만원 월세 수두룩…'도대체 월급이 얼마길래?'
- 6.세계 꼴찌 불명예 '이것'…이러다 진짜 한국 망할라
- 7.이재명, 출마는 가능하지만…
- 8.직장 퇴직해 소득 없는데, 국민연금 내야 하나요?
- 9.110만원 그냥 준다고?…이 문자 무시하면 손해봐요
- 10.기초연금 이젠 아무나 못받는다?…'거주 기간' 따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