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저축은행, 213명 짐쌌다…'생존 몸부림'
SBS Biz 정동진
입력2025.04.07 11:25
수정2025.04.07 11:58

[앵커]
반면 수익성 악화로 고전하고 있는 저축은행들은, 생존을 위해 구조조정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총 자산규모 10위 안에 드는 대형 저축은행들도, 지난 한 해 동안 임직원과 점포 수를 대거 줄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정동진 기자, 10대 저축은행들이 지난 한 해 동안 임직원 수를 얼마나 줄였나요?
[기자]
총 213명 줄였습니다.
OK가 67명, 페퍼가 42명 줄였으며, 웰컴(30명)과 애큐온(17명)이 그 뒤를 잇습니다.
총 자산 규모 기준 10대 저축은행 가운데 9곳이 임직원 수를 줄였는데요.
9곳 중 7곳은 지난 2023년부터 2년 연속 임직원 수를 줄였습니다.
10대 저축은행 중 5곳에서는 총 8개의 점포를 정리하기도 했는데요.
SBI에서 3곳, OK에서 2곳을 각각 줄였으며, 페퍼와 신한, 상상인저축은행이 점포를 하나씩 정리했습니다.
저축은행들은 지난 2023년부터 부실채권 정리 등 업계 대대적으로 구조조정에 나서고 있는데요.
대출 영업에 적극적으로 나서기 어려운 저축은행들이 비용 축소를 위해 임직원과 점포 수를 줄인 것으로 풀이됩니다.
[앵커]
자산 규모도 대거 줄이고 있다고요?
[기자]
그렇습니다.
지난해 10대 저축은행의 총 자산 합산액은 3조 4천억 원 줄었는데요.
이중 자산규모를 줄인 6곳(SBI·OK·웰컴·페퍼·신한·상상인저축)은 4조 3천억 원가량 줄어들었습니다.
10대 저축은행의 총 수신과 총 여신 합산액도 3조 2천억 원이 넘게 축소됐는데요.
특히 10대 저축은행의 대출채권 합산액은 48조 9천억 원으로, 4년 만에 50조 원 밑으로 떨어졌습니다.
업계 관계자는 "신규 취급 여신이 줄어드는 가운데, 당국의 적극적인 대출채권 매·상각 주문에 올해도 자산 역성장 기조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습니다.
SBS Biz 정동진입니다.
반면 수익성 악화로 고전하고 있는 저축은행들은, 생존을 위해 구조조정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총 자산규모 10위 안에 드는 대형 저축은행들도, 지난 한 해 동안 임직원과 점포 수를 대거 줄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정동진 기자, 10대 저축은행들이 지난 한 해 동안 임직원 수를 얼마나 줄였나요?
[기자]
총 213명 줄였습니다.
OK가 67명, 페퍼가 42명 줄였으며, 웰컴(30명)과 애큐온(17명)이 그 뒤를 잇습니다.
총 자산 규모 기준 10대 저축은행 가운데 9곳이 임직원 수를 줄였는데요.
9곳 중 7곳은 지난 2023년부터 2년 연속 임직원 수를 줄였습니다.
10대 저축은행 중 5곳에서는 총 8개의 점포를 정리하기도 했는데요.
SBI에서 3곳, OK에서 2곳을 각각 줄였으며, 페퍼와 신한, 상상인저축은행이 점포를 하나씩 정리했습니다.
저축은행들은 지난 2023년부터 부실채권 정리 등 업계 대대적으로 구조조정에 나서고 있는데요.
대출 영업에 적극적으로 나서기 어려운 저축은행들이 비용 축소를 위해 임직원과 점포 수를 줄인 것으로 풀이됩니다.
[앵커]
자산 규모도 대거 줄이고 있다고요?
[기자]
그렇습니다.
지난해 10대 저축은행의 총 자산 합산액은 3조 4천억 원 줄었는데요.
이중 자산규모를 줄인 6곳(SBI·OK·웰컴·페퍼·신한·상상인저축)은 4조 3천억 원가량 줄어들었습니다.
10대 저축은행의 총 수신과 총 여신 합산액도 3조 2천억 원이 넘게 축소됐는데요.
특히 10대 저축은행의 대출채권 합산액은 48조 9천억 원으로, 4년 만에 50조 원 밑으로 떨어졌습니다.
업계 관계자는 "신규 취급 여신이 줄어드는 가운데, 당국의 적극적인 대출채권 매·상각 주문에 올해도 자산 역성장 기조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습니다.
SBS Biz 정동진입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건보료 한푼 안내고 수십억 받아…알고보니 체납까지
- 2.10억 넘는 계좌 가진 찐부자 이렇게 많다니
- 3.'이젠 못 참아, 집 보려면 수고비 내라?'…당신의 생각은?
- 4.국제 호구 된 건강보험?…외국인 먹튀에 적자만 '무려'
- 5.서울 월 500만원 월세 수두룩…'도대체 월급이 얼마길래?'
- 6.이재명, 출마는 가능하지만…
- 7.세계 꼴찌 불명예 '이것'…이러다 진짜 한국 망할라
- 8.직장 퇴직해 소득 없는데, 국민연금 내야 하나요?
- 9.110만원 그냥 준다고?…이 문자 무시하면 손해봐요
- 10.기초연금 이젠 아무나 못받는다?…'거주 기간' 따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