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조기대선의 시간…6월 초 '장미대선' 유력
SBS Biz 안지혜
입력2025.04.04 15:30
수정2025.04.04 15:55

[앵커]
한덕수 권한대행의 이야기처럼 이제 관심은 차기 대통령 선거입니다.
대통령 궐위에 따라 조기 대선이 불가피해졌는데, 현재로서는 6월 초 '장미대선'이 유력합니다.
차기 대선 관련 내용은 안지혜 기자와 자세히 다뤄보겠습니다.
[앵커]
대선을 치러야 하는 시한이 있는 거죠?
[기자]
그렇습니다.
공직선거법에 따르면 대통령 파면 후 60일 이내에 대선을 치러야 합니다.
보통은 60일을 꽉 채우는 경우가 많은데요.
앞서 박근혜 전 대통령도 2017년 3월 10일 파면된 이후, 파면 선고 60일째인 5월 9일 화요일에 대선이 있었습니다.
선례를 따라 이번에도 60일 기한을 적용하면 오는 6월 3일, 화요일 조기대선이 유력합니다.
또 선거 준비와 선거 운동에 필요한 최소 기간이라는 것도 있겠죠.
이걸 보장하기 위해서도 시한 가장 마지막 날인 6월 3일에 대선을 치를 수 있다는 관측이 정치권 안팎에서 나오고 있습니다.
[앵커]
그 날짜는 정확히 누가 정합니까?
[기자]
대통령 권한대행이 정합니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 6월 3일 이내 범위에서 정한 날이 선거일이 되는데요.
늦어도 선거일 전 50일까지 선거일을 공고해야 하니까, 이달 14일까지는 선거일을 정해서 알려야 합니다.
이어 정부 국무회의를 통해 조기 대선일을 공휴일로 지정할 전망입니다.
[앵커]
그다음 각 당의 후보 등록이 있을 테고요.
[기자]
그렇습니다.
6월 3일에 21대 대선을 치른다면 공직선거법에 따라 5월 10일과 11일 이틀간 후보자등록을 받습니다.
5월 12일부터 6월 2일까지 22일간 공식 선거운동이 진행되고요.
대선에 출마하려는 지방자치단체장은 선거일 30일 전인 5월 4일 이전에 사직해야 합니다.
사전 투표기간은 5월 29일과 30일 이틀입니다.
[앵커]
양당에서는 누가 후보로 나올까요?
예상되는 잠룡들도 살펴보죠.
[기자]
각 당은 당장 다음 주부터 후보 선출을 위한 당내 경선 준비에 착수할 것으로 보이는데요.
우선 국민의 힘의 경우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과 오세훈 서울시장, 홍준표 대구시장,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 등이 당내 경선에 나설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밖에도 국민의힘 소속 광역단체장, 중진 의원 등도 여럿 대선 출마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고요.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이재명 당대표뿐만 아니라 김동연 경기지사, 김부겸 전 총리, 김경수 전 경남지사 등의 경선 도전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여론조사 결과 등을 보면 사실상 이 대표가 대선 후보로 가장 유력한데요.
이 대표는 이르면 이번 주말 당대표직을 사퇴하고 경선에 나설 것으로 보입니다.
이 대표가 물러나면 박찬대 원내대표가 대표 권한대행을 맡아 당무를 책임질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잘 들었습니다.
한덕수 권한대행의 이야기처럼 이제 관심은 차기 대통령 선거입니다.
대통령 궐위에 따라 조기 대선이 불가피해졌는데, 현재로서는 6월 초 '장미대선'이 유력합니다.
차기 대선 관련 내용은 안지혜 기자와 자세히 다뤄보겠습니다.
[앵커]
대선을 치러야 하는 시한이 있는 거죠?
[기자]
그렇습니다.
공직선거법에 따르면 대통령 파면 후 60일 이내에 대선을 치러야 합니다.
보통은 60일을 꽉 채우는 경우가 많은데요.
앞서 박근혜 전 대통령도 2017년 3월 10일 파면된 이후, 파면 선고 60일째인 5월 9일 화요일에 대선이 있었습니다.
선례를 따라 이번에도 60일 기한을 적용하면 오는 6월 3일, 화요일 조기대선이 유력합니다.
또 선거 준비와 선거 운동에 필요한 최소 기간이라는 것도 있겠죠.
이걸 보장하기 위해서도 시한 가장 마지막 날인 6월 3일에 대선을 치를 수 있다는 관측이 정치권 안팎에서 나오고 있습니다.
[앵커]
그 날짜는 정확히 누가 정합니까?
[기자]
대통령 권한대행이 정합니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 6월 3일 이내 범위에서 정한 날이 선거일이 되는데요.
늦어도 선거일 전 50일까지 선거일을 공고해야 하니까, 이달 14일까지는 선거일을 정해서 알려야 합니다.
이어 정부 국무회의를 통해 조기 대선일을 공휴일로 지정할 전망입니다.
[앵커]
그다음 각 당의 후보 등록이 있을 테고요.
[기자]
그렇습니다.
6월 3일에 21대 대선을 치른다면 공직선거법에 따라 5월 10일과 11일 이틀간 후보자등록을 받습니다.
5월 12일부터 6월 2일까지 22일간 공식 선거운동이 진행되고요.
대선에 출마하려는 지방자치단체장은 선거일 30일 전인 5월 4일 이전에 사직해야 합니다.
사전 투표기간은 5월 29일과 30일 이틀입니다.
[앵커]
양당에서는 누가 후보로 나올까요?
예상되는 잠룡들도 살펴보죠.
[기자]
각 당은 당장 다음 주부터 후보 선출을 위한 당내 경선 준비에 착수할 것으로 보이는데요.
우선 국민의 힘의 경우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과 오세훈 서울시장, 홍준표 대구시장,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 등이 당내 경선에 나설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밖에도 국민의힘 소속 광역단체장, 중진 의원 등도 여럿 대선 출마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고요.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이재명 당대표뿐만 아니라 김동연 경기지사, 김부겸 전 총리, 김경수 전 경남지사 등의 경선 도전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여론조사 결과 등을 보면 사실상 이 대표가 대선 후보로 가장 유력한데요.
이 대표는 이르면 이번 주말 당대표직을 사퇴하고 경선에 나설 것으로 보입니다.
이 대표가 물러나면 박찬대 원내대표가 대표 권한대행을 맡아 당무를 책임질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잘 들었습니다.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동네 금고 사라진다…새마을금고 줄폐점, 왜?
- 2.건보료 327억원 돌려 받으세요…3년 지나면 소멸
- 3.은행권, 18일부터 '벼랑끝' 소상공인 이자 깎아준다
- 4.[단독] '가격 인상' 지코바, 브라질산 닭고기 국내산으로 '적발'
- 5.[단독] 연 2.4%로 집 산다…청년주택드림대출 18일부터
- 6."한국에 쌀 사러 왔습니다"…'日 쌀값 얼마나 비싸길래'
- 7.암 보험금 설명 의무 없다던 생보사 '발칵'…왜?
- 8.1주택자 세금 부담 덜었다…올해도 세부담 완화
- 9.사고 났는데 나 몰라라 포스코이앤씨, 용산정비창 수주 빨간불
- 10.[단독] LG전자, 휴대폰 AS 서비스 접는다…모바일 사업 철수 마침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