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中발 소액소포 면세 폐지…韓 침흘리는 中 이커머스
SBS Biz 임선우
입력2025.04.04 04:21
수정2025.04.04 05:41

미국이 전 세계를 대상으로 상호관세를 발표하면서 중국발 소액 소포에 대한 면세 혜택도 없애겠다고 밝혔습니다. 소액 면세 제도를 활용해 미국에서 저가 제품을 대량 유통해온 중국 이커머스 업체들은 ‘직격탄’을 맞게 됐습니다. 이에 따라 미국 시장에서 막힌 중국 업체들이 한국 시장을 더욱 적극적으로 공략할 것이라는 관측이 현실화할 전망입니다.
현지시간 3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일(현지시간) 중국발 800달러(약 117만원) 이하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면제해주는 ‘소액 면세 제도’를 폐지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습니다.
이 행정명령은 미국 동부시간 기준 다음달 2일 0시 1분부터 발효됩니다. 중국과 홍콩에서 미국으로 들어오는 800달러 이하 모든 상품에 개당 25% 또는 상품 가치의 30%에 해당하는 관세가 부과되는 내용입니다.
미국 당국에 따르면 2024년도 기준 면세 소포량은 14억개를 넘었으며, 그중 60%가 중국발로 파악됐습니다. 물가 상승으로 가계 소비력이 줄어든 미국 소비자들은 면세 한도 내에서 초저가 중국 제품을 중국 온라인 플랫폼에서 쉽게 구매해왔습니다. 그러나 면세 제도가 폐지되면서 중국 이커머스 업체의 가격 경쟁력은 떨어지고, 이들 업체는 더 잦은 세관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미국이 막힌 알리·테무·쉬인 등 중국계 이커머스 업체들은 한국 시장 진출을 더욱 확대할 것으로 보입니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세계 최대 소비국 미국의 관세 조치로 중국 업체들이 큰 타격을 입을 것이다. 이 때문인지 중국 업체들이 요즘 국내 시장에서 물류를 확대하고 할인과 마케팅을 늘리고 있다”면서 “미국 시장을 대체하기 위해 중국 업체들이 한국을 더욱 적극적으로 공략할 것”이라고 했습니다.
실제로 테무와 알리 등 중국계 이커머스는 빠른 속도로 한국 시장에서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알리의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는 873만명, 테무는 784만명으로 국내 종합몰 앱 중에 1위 쿠팡을 제외하고 나란히 2위, 3위(와이즈앱 분석·2월 기준)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2년 전만 해도 종합몰 순위는 쿠팡, 11번가, 지마켓 순이었지만 C커머스 업체가 급성장하면서 국내 쇼핑몰들을 따라잡았습니다.
중국 이커머스의 영향력이 커질수록 부작용도 큽니다. 어린이 의류나 완구에서 유해물질이 검출되고, 품질 인증이 안된 제품이 유통된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습니다. 중국으로부터 해외직구가 증가하면서 한국 온라인쇼핑 무역수지는 막대한 적자를 보고 있습니다.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동네 금고 사라진다…새마을금고 줄폐점, 왜?
- 2.건보료 327억원 돌려 받으세요…3년 지나면 소멸
- 3.은행권, 18일부터 '벼랑끝' 소상공인 이자 깎아준다
- 4.[단독] '가격 인상' 지코바, 브라질산 닭고기 국내산으로 '적발'
- 5.[단독] 연 2.4%로 집 산다…청년주택드림대출 18일부터
- 6."한국에 쌀 사러 왔습니다"…'日 쌀값 얼마나 비싸길래'
- 7.암 보험금 설명 의무 없다던 생보사 '발칵'…왜?
- 8.1주택자 세금 부담 덜었다…올해도 세부담 완화
- 9.사고 났는데 나 몰라라 포스코이앤씨, 용산정비창 수주 빨간불
- 10.[단독] LG전자, 휴대폰 AS 서비스 접는다…모바일 사업 철수 마침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