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사 해외투자 55.8조…부실 우려 규모 2.64조로 확대
SBS Biz 정동진
입력2025.04.03 18:42
수정2025.04.04 06:00

국내 금융회사가 투자한 해외 부동산 사업장 중 부실 우려가 있는 곳의 규모가 2조 6천4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오늘(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금융권의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잔액은 지난해 9월 말 기준 55조 8천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전분기 대비 5천억원 감소한 것으로, 금융권 총 자산(7천182조 7천억원)의 0.8%입니다.
보험업권의 잔액이 30조 4천억원으로 금융권 내 가장 많은 비율(54.3%)을 차지했습니다.
은행이 12조원(21.5%), 증권이 7조 7천억원(13.8%)으로 두 자릿수 비율을 기록했으며, 상호금융이 3조 6천억원(6.5%), 여신전문금융사가 2조원(3.6%) 순이었습니다.
지역별로는 북미 지역이 34조 1천억원(61.1%)으로 가장 많았으며, 유럽이 10조 8천억원(19.4%), 아시아 지역이 3조 8천억원(6.8%)으로 집계됐습니다.
올해 말까지 도래하는 만기 규모는 12조원이며, 2030년까지 총 42조 5천억원의 만기 도래가 예정돼 있습니다.
한편 지난해 3분기 말 금융사가 단일 사업장에 투자한 34조 3천억원 중 2조 6천400억원(7.71%)에서 기한이익상실(EOD) 사유가 발생했습니다.
기한이익상실이란 채권자가 채무자에게 빌려준 대출금을 만기 전에 회수하는 것입니다. 채권자는 주로 채무자의 신용위험이 커졌다고 판단될 시 이를 행사합니다.
금감원은 "지난해 3분기 중에도 400억원 증가하는 등 EOD 규모가 확대되는 추세"라고 설명했습니다.
실제로 EOD 발생 규모는 지난해 3월 말 2조 5천억원에서, 6월 말 2조 6천100억원으로 증가했는데, 지난 3분기(2조 6천400억원)에는 전분기보다 더 확대됐습니다.
금감원은 "미 대선 전후 글로벌경제불확실성 증대 등으로 해외 부동산 시장의 개선이 지연됐다"고 평가했습니다.
특히 "유연근무 확산 등에 따라 오피스 시장은 공실률이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며 "불황이 지속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금감원은 "오피스 투자자산 중심으로 손실 확대 가능성이 높다"면서도 "투자 규모가 크지 않고 손실흡수능력도 충분해 시스템리스크로 전이될 가능성은 낮다"고 평가했습니다.
이에 금감원은 "금융사의 해외 대체투자 업무 제도개선을 마무리하고, 투자 관리 역량을 확보해 해외 대체투자가 이루어지도록 감독을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또 금감원은 "위험자산 규모가 크고 손실률이 높은 사업장 등을 중심으로 철저한 리스크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지도하는 등 적정 손실을 인식하도록 유도하겠다"고 전했습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좋은 물' 마시려 '생수' 먹었는데…30년만에 벌어진 일
- 2.[단독] KB·NH, SKT 인증 중단했다…유출 사고 후폭풍
- 3.1600억대 ‘론스타 소송’ 8년만에 한국 정부 승…파기환송
- 4.SKT 유심 교체가 근본 대책?…"재발시 무용지물"
- 5.5월 초 황금연휴 없다…"2일 출근하세요"
- 6."트럼프, 적수 만났다…최대 강적은 시장"
- 7.국민연금 때문에 땅치고 후회?…31만명 건보료 유탄
- 8.우리 애도 위고비?…비만약 판 커진다
- 9.[단독] 이재명, 부동산 '우클릭'..기본주택·국토보유세 설계자 빠졌다 [대선 2025]
- 10.국민연금 때문에 후회?…건보료에 억울한 31만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