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악 면했지만 타격 불가피…車관세 소나기 일단 피해야
SBS Biz 김동필
입력2025.04.03 17:41
수정2025.04.03 19:11
[앵커]
정부가 대책 마련에 더 분주한 이유는 이미 자동차 등에 대한 관세 부과가 시작됐기 때문인데요.
상호관세와 중복 부과는 빠지면서 최악은 면했다는 반응이지만, 업계에 전방위적 타격은 불가피하다는 지적입니다.
업계 움직임은 김동필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기자]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 오늘(3일) 자정부터 모든 외국산 자동차에 25%의 관세를 부과할 것입니다.]
대미 수출 1위 상품인 자동차에 대한 관세가 본격화하면서 큰 타격이 예상됩니다.
그간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으로 사실상 무관세를 적용받아왔었는데, 갑자기 25% 관세를 부과받게 됐기 때문입니다.
그나마 오는 5일부터 적용될 상호관세 대상에선 빠지면서 업계에선 최악만 피했다는 평가입니다.
[이호근 / 대덕대 미래자동차학 교수 : 시장점유율이 낮아지면서 미국 내에서의 경쟁력 저하로 인해 수익이 떨어질 것은 불을 보듯 뻔한 상황이죠.]
관세로 인한 수익성 악화 우려에 대해 현대차그룹은 정공법을 택했습니다.
[호세 무뇨스 / 현대차 사장 : 우리는 항상 경쟁력을 유지할 것이며 현재 미국에서는 가격을 인상할 계획이 없습니다.]
가전업계도 '멕시코 방패'가 생기면서 일단 최악은 면했습니다.
다만 생산거점이 대다수 포진한 베트남 등 동남아 지역에 부과된 상호관세율이 높아 대비하고 나섰습니다.
여기에 스마트폰이나 컴퓨터 부품 등은 위험에 그대로 노출돼 정부 대처가 중요해졌다는 평가입니다.
[김필수 / 대림대 미래자동차학부 교수 : 관세는 정부대 정부에서 해결해야 될 과제입니다. 관세 부담을 어느 정도 덜 수 있도록 인센티브를 줘야 합니다. 이제 컨트롤 타워가 만들어지면 협의를 통해 해결하는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기업들은 이르면 다음 주부터 나올 긴급 지원대책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SBS Biz 김동필입니다.
정부가 대책 마련에 더 분주한 이유는 이미 자동차 등에 대한 관세 부과가 시작됐기 때문인데요.
상호관세와 중복 부과는 빠지면서 최악은 면했다는 반응이지만, 업계에 전방위적 타격은 불가피하다는 지적입니다.
업계 움직임은 김동필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기자]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 오늘(3일) 자정부터 모든 외국산 자동차에 25%의 관세를 부과할 것입니다.]
대미 수출 1위 상품인 자동차에 대한 관세가 본격화하면서 큰 타격이 예상됩니다.
그간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으로 사실상 무관세를 적용받아왔었는데, 갑자기 25% 관세를 부과받게 됐기 때문입니다.
그나마 오는 5일부터 적용될 상호관세 대상에선 빠지면서 업계에선 최악만 피했다는 평가입니다.
[이호근 / 대덕대 미래자동차학 교수 : 시장점유율이 낮아지면서 미국 내에서의 경쟁력 저하로 인해 수익이 떨어질 것은 불을 보듯 뻔한 상황이죠.]
관세로 인한 수익성 악화 우려에 대해 현대차그룹은 정공법을 택했습니다.
[호세 무뇨스 / 현대차 사장 : 우리는 항상 경쟁력을 유지할 것이며 현재 미국에서는 가격을 인상할 계획이 없습니다.]
가전업계도 '멕시코 방패'가 생기면서 일단 최악은 면했습니다.
다만 생산거점이 대다수 포진한 베트남 등 동남아 지역에 부과된 상호관세율이 높아 대비하고 나섰습니다.
여기에 스마트폰이나 컴퓨터 부품 등은 위험에 그대로 노출돼 정부 대처가 중요해졌다는 평가입니다.
[김필수 / 대림대 미래자동차학부 교수 : 관세는 정부대 정부에서 해결해야 될 과제입니다. 관세 부담을 어느 정도 덜 수 있도록 인센티브를 줘야 합니다. 이제 컨트롤 타워가 만들어지면 협의를 통해 해결하는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기업들은 이르면 다음 주부터 나올 긴급 지원대책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SBS Biz 김동필입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이사 갔다가 자칫 100만원 과태료?…전월세 신고제 뭐길래
- 2.금·유가 줄줄이 급락…상품시장도 직격탄
- 3.5천만원 전기차 최대 1800만원 할인…이참에 살까
- 4.SK하이닉스, 삼성전자 제쳤다… 1분기 D램 점유율 1위
- 5."이게 되겠느냐"…尹 파면에 재건축 집주인들 '안절부절'
- 6.'역시 공무원이…' 10년 이상 재직하면 휴가 최대 7일 더
- 7.서울~부산 20분…시속 1200km 꿈의 열차 개발 본격화
- 8.대한항공 조종사들, 호주 호텔서 주먹질…이유가 황당?
- 9.트럼프 "조만간 의약품 관세 발표할 것"
- 10."냄비 고정용도 아녔어?"…자칫 가스 중독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