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 적을수록 체감물가 높아…먹거리 상승 '직격탄'
SBS Biz 신채연
입력2025.04.02 11:23
수정2025.04.02 13:46
[앵커]
앞서 전해드린 것처럼 먹거리부터 주택관리비까지 요즘 안 오르는 게 없죠.
특히 저소득층일수록 물가 상승에 따른 타격을 더 크게 받을 수밖에 없습니다.
신채연 기자, 소득별 체감물가 지표가 나왔다고요?
[기자]
한국경제인협회가 지난해까지 10년 동안 소득분위 별로 체감물가 수준을 분석한 결과인데요.
소득이 가장 적은 1분위의 체감물가 상승률은 23.2%로, 고소득층인 5분위보다 2.6% 포인트 높았습니다.
2분위는 22.4%, 4분위는 20.9% 등으로 소득이 낮을수록 체감물가 상승폭이 더 컸습니다.
[앵커]
특히 먹거리 물가 상승이 저소득층의 부담을 키웠다고요?
[기자]
그렇습니다.
지난 10년간 식료품 물가는 42% 올랐는데요. 저소득층의 경우 여윳돈이 적은 만큼 필수적인 식품 소비 비중이 클 수밖에 없습니다.
소득 1분위에서 지출 비중이 가장 큰 품목은 식료품과 비주류음료로, 20.9%를 차지했습니다.
주택과 수도 관련 비용도 20%, 병원 진료비 등 보건도 12.6%였습니다.
한경협은 "먹거리 물가 상승이 취약계층의 체감물가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면서 "농산물 수급 안정과 유통규제 완화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고소득층에서 지출이 가장 큰 부분은 교통과 교육, 오락·문화였습니다.
SBS Biz 신채연입니다.
앞서 전해드린 것처럼 먹거리부터 주택관리비까지 요즘 안 오르는 게 없죠.
특히 저소득층일수록 물가 상승에 따른 타격을 더 크게 받을 수밖에 없습니다.
신채연 기자, 소득별 체감물가 지표가 나왔다고요?
[기자]
한국경제인협회가 지난해까지 10년 동안 소득분위 별로 체감물가 수준을 분석한 결과인데요.
소득이 가장 적은 1분위의 체감물가 상승률은 23.2%로, 고소득층인 5분위보다 2.6% 포인트 높았습니다.
2분위는 22.4%, 4분위는 20.9% 등으로 소득이 낮을수록 체감물가 상승폭이 더 컸습니다.
[앵커]
특히 먹거리 물가 상승이 저소득층의 부담을 키웠다고요?
[기자]
그렇습니다.
지난 10년간 식료품 물가는 42% 올랐는데요. 저소득층의 경우 여윳돈이 적은 만큼 필수적인 식품 소비 비중이 클 수밖에 없습니다.
소득 1분위에서 지출 비중이 가장 큰 품목은 식료품과 비주류음료로, 20.9%를 차지했습니다.
주택과 수도 관련 비용도 20%, 병원 진료비 등 보건도 12.6%였습니다.
한경협은 "먹거리 물가 상승이 취약계층의 체감물가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면서 "농산물 수급 안정과 유통규제 완화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고소득층에서 지출이 가장 큰 부분은 교통과 교육, 오락·문화였습니다.
SBS Biz 신채연입니다.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이사 갔다가 자칫 100만원 과태료?…전월세 신고제 뭐길래
- 2.5천만원 전기차 최대 1800만원 할인…이참에 살까
- 3.SK하이닉스, 삼성전자 제쳤다… 1분기 D램 점유율 1위
- 4.'역시 공무원이…' 10년 이상 재직하면 휴가 최대 7일 더
- 5.서울~부산 20분…시속 1200km 꿈의 열차 개발 본격화
- 6.대한항공 조종사들, 호주 호텔서 주먹질…이유가 황당?
- 7.'유학 보냈더니…' 트럼프, 비자 취소·추방 '칼바람'
- 8."냄비 고정용도 아녔어?"…자칫 가스 중독된다
- 9.트럼프 "조만간 의약품 관세 발표할 것"
- 10.인체에 무해?…'2위 털썩' 에이스침대, 거짓 광고 덜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