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Biz

[송재경의 인사이트] 올해 1분기 주요 자산별 성과를 정리해본다면?

SBS Biz
입력2025.04.02 07:45
수정2025.04.02 14:40

■ 재테크 노하우 머니쇼 '송재경의 인사이트' - 송재경 디멘젼투자자문 투자부문 대표


[이번 주 증시 이벤트]  




▲31일 (월)
- 주식시장 공매도 전면 재개
- RBA 통화정책회의 (~4/1)

[산업] D램 계약가격 발표, 낸드 플래시 계약가격 발표, 2025 독일 하노버 산업 전시회(~4/4)



- 미국 3월 MNI 시카고 PMI
          댈러스 연준 제조업 활동
- 중국 3월 종합, 제조업, 서비스업 PMI


▲1일 (화)
- OPEC+ 점진적 증산 전환

[산업] AD/DP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학회(~5), 3월 반도체 수출 데이터 발표, 마카오 카지노 GGR 발표

- 한국 3월 수출입
           S&P글로벌 제조업 PMI
- 미국 2월 건설지출
          구인이직보고서 구인건수
      3월 S&P글로벌 제조업 PMI
          ISM 고용, 신규주문, 제조업, 구매물가
          댈러스 연준 서비스업 활동
- 중국 3월 차이신 제조업 PMI
- 유럽 2월 실업률
      3월 HCOB 제조업 PMI
          CPI, 근원 CPI
- 일본 2월 실업률, 유효구인배율
      3월 지분 은행 제조업 PMI


▲2일 (수)
- 트럼프 행정부 상호관세 발표
- 2025 상반기 재보궐 선거

[산업] 방사청 한국형 차기 구축함(KDDX) 사업자 논의, 2025 미국 라스베이거스 국제 보안 전시회(~4)

- 한국 3월 CPI, 근원 CPI
- 미국 2월 제조업 수주, 내구재 주문
      3월 ADP취업자 변동
          S&P글로벌 서비스업, 종합 PMI
          ISM 서비스, 가격, 고용, 신규주문


▲3일 (목)
[산업] 현대차·기아 3월 도매판매 데이터, 2025 서울 모빌리티쇼(~13), 엔씨소프트- 텐센트 '블레이드&소울 2' 중국 출시

- 미국 3월 Challenger Job Cuts
- 중국 3월 차이신 종합, 서비스업 PMI
- 유럽 2월 PPI
      3월 HCOB 종합, 서비스업 PMI
- 일본 3월 지분은행 종합, 서비스 PMI


▲4일 (금)
[휴장] 중국, 홍콩(청명절)

[산업] 현대차·기아 3월 지역별 판매 데이터 및 미국 판매 데이터, FAO 세계 식량가격지수

- 미국 2월 비농업부문 고용자수 변동
          민간부문 고용자수 변동
          제조업 임금 변동, 실업률
          시간당 평균 임금, 경제활동 참가율 

[전일장 증시 리뷰와 분석]


◇ 먼저 뉴욕증시 마감 상황부터 짚어보고 본격적인 이야기 시작해 볼까요? 


- "상호관세 D- 1"…뉴욕증시 마감 상황은?
- 뉴욕증시 혼조 마감…나스닥·S&P500↑ 다우↓
-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4,282.46…0.28%↑
- 트럼프 행정부 상호관세 발표 초읽기…변동성↑
- 한국 시간 3일 오전 5시 美 상호관세 발표
- 백악관 "상호관세 발표 후 효력 즉시 발효"
- WP "수입 상품 대부분 20% 관세 부과 초안 마련"
- ISM 3월 제조업 PMI 49…예상치·전월치 하회
- 美 2월 구인 약 757만 건…예상치·전월치 하회
- 엔비디아·테슬라·알파벳 등 M7 모두 강세

◇ 올해 1분기가 지나고 2분기가 시작됐죠. 올해는 초반부터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 등 시장에 영향을 줄 이벤트가 많았는데요. 1분기 주요 자산 별 성과를 정리해 주신다면요?

- 올해 1분기 주요 자산별 성과를 정리해 본다면? 
- 1분기, 금·원자재 성과 양호…주식·원유는 부진
- 주요 지역별 주식시장의 성과도 '양극화 심화'
- 주요국 증시 성과, 중국·유로존 양호…미국 부진
- 1분기 증시 성과, 트럼프의 '관세'가 성과 결정
- 달러 기준 지수 상승률 최상위 폴란드·러시아
- 달러 기준 지수 상승률, 유로존·홍콩 상위권
- 달러 기준 지수 상승률, 미국·대만·일본 등 부진

◇ 그간 관세 위협으로 전 세계가 긴장하면 달러도 강세를 나타냈는데 이번에는 그런 모습이 안 보이는 것 같아요. 환율 시장도 이전과 달라졌다고 봐야 될까요

- '관세 위협' 시 보이던 달러 스마일, 사라진 이유는?
- '관세 위협' 시 글로벌 위기 우려에 달러 스마일
- 최근에는 '달러 스마일' 없이 달러화 약세 보여
- 최근 달러화 약세…루블화·유로화·엔화 강세 현상
- 원화, V자 형태 보이며 연초 수준으로 다시 올라
- 1930년 대공황 당시 조치한 '스무트·홀리 관세법'
- 과거와 달리 현재 美 GDP 내 수입 비중 3배 증가
- 과거와 상황 달라 악영향 우려…사라진 '달러 스마일' 
- 관세 장벽 시 글로벌 경기 침체로 연결될 우려

◇ 여러 지표를 확인하고 나면 요즘 꼭 등장하는 게 ‘S의 공포’, ‘S의 우려’ 인데요. 일명 스태그 플레이션에 대한 우려인데 어떻게 보세요?

- 美 스태그 플레이션 우려 제기…현실화될까?
- 美 소비자, '심리적 스태그 플레이션' 가진 상황
- 최근 발표된 미시간대 소비자 심리지수…급락세
- 소비 심리↓ 기대 인플레이션은 급등하는 상황
- 美 고소득층 포함 전 소득 구간 소비 심리 하락
- 소비 심리 약화…주식시장 하락에도 영향 끼쳐
- 1분기 美 GDP 역성장 불가피…GDP나우 "- 2.8%"
- GDP 역성장·금 수입↑…'하드데이터'도 성장 둔화

◇ 뉴욕증시가 부진한 흐름 보이면서 강세장을 연출하지는 못하는 것 같아요. 미국 소비자들의 ‘심리적 스태그 플레이션’이 반영됐다고 봐야 할까요?

- 부진한 美증시…심리적 스태그 플레이션 반영?
- 美증시 주가 흐름…스태그 플레이션 우려 반영
- 현재까지 미국 제외 세계지수 1분기 7.5% 상승
- S&P500 - 5%…골드만 롱숏 포트폴리오 +20%
- 골드만 롱 포지션, 원자재·건강관리 등 경기방어주
- 골드만 숏 포지션, 빅테크 포함 기술주 매도 전략

◇ 최근 금 가격이 온스당 3100달러를 넘어서며 최고 수준을 경신하고 있죠. 이런 흐름이 계속될까요? 

- 국제 금값 3100달러 돌파…최고치 경신 계속될까?
- 최근 국제 금값, 온스당 3100달러 넘어서는 상황
- 연일 최고치 경신하는 국제 금값…"안전 선호↑"
- 1975년 이래 세 차례 과매수 신호 보낸 '샤프 비율'
- '과매수 신호' 샤프 비율, 역대 상위 1%까지 상승
- 조정 없이 급등세…과거 20~30% 가격 조정 경험
- 상대성과 장기 흐름, 금의 과매수·원자재 과매도
- 최근 한 달간 유가·에너지 업종 상승에도 영향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