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전략] 美 '해방의 날' 상호관세 발표 임박…후폭풍 얼마나?
SBS Biz 김완진
입력2025.04.02 06:23
수정2025.04.02 06:35
■ 모닝벨 '전문가 전화 연결' - 강진혁 신한투자증권 선임연구원
Q. 상호관세 부과 발표를 하루 앞두고 뉴욕증시는 등락을 오가며 불안한 흐름을 보였습니다. 장 막판 상승세로 다우만 소폭 하락해 혼조세로 마감했는데요. 오늘(2일) 장 움직임부터 짚어 주시죠?
- 뉴욕증시, 트럼프 상호관세 폭풍전야…기술주 약진에 혼조
- 다우만 약보합…S&500 0.38%·나스닥 0.87%↑
- 장중 기술주 중심 급반등, 3대 지수 한때 일제히 상승
- 예상밖 美증시 랠리…2분기 첫날 '윈도 드레싱' 효과
- CBS "트럼프, 2일 틱톡 최종 제안 검토할 예정"
- 테슬라 3.59%·루시드 4.55% 상승…전기차주 랠리
- 美 국채금리 하락…10년만기 금리 4.16%대 거래
- 美 백악관 "상호관세, 2일 트럼프 발표 즉시 발효"
- 레빗 백악관 대변인 확인…한국시간으로 3일 오전 5시
- 백악관 로즈가든 "미국을 다시 부유하게" 행사서 발표
- 20% 단일 세율안 검토설에 "24시간 이내 알게 돼"
- "내일(3일) 역사적 조치, 미국이 갈취당하는 것은 끝난다"
- 캐나다 총리실 "멕시코와 무역관계 구축 중요성 논의"
- 관세 여파에 美 제조업 위축…불확실성에 고용도 '주춤'
- 美 3월 ISM 제조업 PMI 49.0…3개월만에 위축
- PMI는 50 기준으로 업황 '확장- 위축' 국면 판단
- 지난해 12월까지 26개월 연속 50 밑돌며 위축 국면
- 신규주문·생산지수 위축 국면…고용지수 위축 강도 심화
- "제조업 경기 회복세, 아직 뚜렷하게 자리 잡지 못해"
- 대선 사이클과 밀접한 美 제조업, 회복→쉬어가기→재상승
- 11월 전후 반등한 제조업지수, 2분기경 정체 가능성
- 관세 불확실성 정점 및 견조한 경기 확인하며 반등 모색
- 美 2월 구인건수 757만건…전망 하회·고용 둔화 신호
- 리치먼드 연은 총재 "관세, 물가·고용 모두에 영향"
Q. 우리시간으로 내일 오전 5시죠.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상호관세를 발표한다고 합니다. 하루도 남지 않았지만.. 문제는 예측이 불가능하다는 건데요. 후폭풍이 얼마나 될지.. 어떤 시나리오가 있을까요?
- 한국시간 3일 오전 5시 상호관세 발표…"즉시 발효"
- 트럼프 대통령 "불공정 무역 관행 바로잡겠다" 강조
- 레빗 대변인 "예외없다"…전면 적용 후 선별 조정 예상
- 연준·IMF, 트럼프 상호관세 우려 표명…성장전망 하향-
- 무역적자국·USTR 불공정 무역 지목 국가 대상 가능성
- 중국·EU·멕시코·베트남·독일 등 대미 무역흑자 상위권
- 철강·알루미늄에 25% 관세 부과 중…3일부터 車 추가
- 상호관세에 반도체·의약품 등 품목별 관세도 예고
- "25% 보편관세 진행, 전세계 경제 2천조원 타격"
- 모건스탠리가 본 트럼프 상호관세 4가지 시나리오는?
- 중국산 제품에 더 높은 관세 부과 가능성…EU는 제품별
- 멕시코·캐나다 관세 완화 가능성, 亞국가는 제품별 적용
Q. 공매도 재개와 상호관세 경계감으로 급락했던 국내증시는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일 확정에 1.6% 넘게 급등했습니다. 상호관세 발표 임박에 헌재 판결까지 빅이벤트를 앞두고 있는데 국내증시 향방 어떻게 보십니까?
- 코스피, 尹 선고일 확정에 급등…정치 불확실성 해소되나
- 정치 불안 완화·저가매수세 유입…코스피 2520선 회복
- 코스피 개인·기관 동반 순매수…외인 3900억원 순매도
- 시총상위주 대부분 상승…삼성전자·SK하이닉스 급등세
- 삼성바이오로직스·HD현대중공업 주가 4% 이상 강세-
- 김승연 회장 지분 증여, 승계 구도 뚜렷…한화그룹주↑
- 코스닥 지수 2.76% 급등…시총 상위 종목 중심 상승
- 정치 테마주 시장 상승 주도…이재명 관련주 줄줄이 上
- 윤석열 정부와 '마찰' 카카오 7%대 급등…계열사 강세
- 尹 대통령, 지난해 11월 카카오택시 독점 구조 비판
- 행정부 수장 공백 해소 시 환율 안정·외인 수급 우호적
- 과거 탄핵 정국 등 정치적 리스크는 단기 하방 요인
- 정치 이벤트보다 펀더멘털…헌재 판결 이후 양상 차별화
- 2004년 당시 고유가·中 긴축 등 영향으로 지수 약세
- 2016년엔 'IT 슈퍼사이클'…반도체 중심 랠리 연출
- 정치 리스크 이후 소비·경기 관련 업종들 강세 보여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Q. 상호관세 부과 발표를 하루 앞두고 뉴욕증시는 등락을 오가며 불안한 흐름을 보였습니다. 장 막판 상승세로 다우만 소폭 하락해 혼조세로 마감했는데요. 오늘(2일) 장 움직임부터 짚어 주시죠?
- 뉴욕증시, 트럼프 상호관세 폭풍전야…기술주 약진에 혼조
- 다우만 약보합…S&500 0.38%·나스닥 0.87%↑
- 장중 기술주 중심 급반등, 3대 지수 한때 일제히 상승
- 예상밖 美증시 랠리…2분기 첫날 '윈도 드레싱' 효과
- CBS "트럼프, 2일 틱톡 최종 제안 검토할 예정"
- 테슬라 3.59%·루시드 4.55% 상승…전기차주 랠리
- 美 국채금리 하락…10년만기 금리 4.16%대 거래
- 美 백악관 "상호관세, 2일 트럼프 발표 즉시 발효"
- 레빗 백악관 대변인 확인…한국시간으로 3일 오전 5시
- 백악관 로즈가든 "미국을 다시 부유하게" 행사서 발표
- 20% 단일 세율안 검토설에 "24시간 이내 알게 돼"
- "내일(3일) 역사적 조치, 미국이 갈취당하는 것은 끝난다"
- 캐나다 총리실 "멕시코와 무역관계 구축 중요성 논의"
- 관세 여파에 美 제조업 위축…불확실성에 고용도 '주춤'
- 美 3월 ISM 제조업 PMI 49.0…3개월만에 위축
- PMI는 50 기준으로 업황 '확장- 위축' 국면 판단
- 지난해 12월까지 26개월 연속 50 밑돌며 위축 국면
- 신규주문·생산지수 위축 국면…고용지수 위축 강도 심화
- "제조업 경기 회복세, 아직 뚜렷하게 자리 잡지 못해"
- 대선 사이클과 밀접한 美 제조업, 회복→쉬어가기→재상승
- 11월 전후 반등한 제조업지수, 2분기경 정체 가능성
- 관세 불확실성 정점 및 견조한 경기 확인하며 반등 모색
- 美 2월 구인건수 757만건…전망 하회·고용 둔화 신호
- 리치먼드 연은 총재 "관세, 물가·고용 모두에 영향"
Q. 우리시간으로 내일 오전 5시죠.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상호관세를 발표한다고 합니다. 하루도 남지 않았지만.. 문제는 예측이 불가능하다는 건데요. 후폭풍이 얼마나 될지.. 어떤 시나리오가 있을까요?
- 한국시간 3일 오전 5시 상호관세 발표…"즉시 발효"
- 트럼프 대통령 "불공정 무역 관행 바로잡겠다" 강조
- 레빗 대변인 "예외없다"…전면 적용 후 선별 조정 예상
- 연준·IMF, 트럼프 상호관세 우려 표명…성장전망 하향-
- 무역적자국·USTR 불공정 무역 지목 국가 대상 가능성
- 중국·EU·멕시코·베트남·독일 등 대미 무역흑자 상위권
- 철강·알루미늄에 25% 관세 부과 중…3일부터 車 추가
- 상호관세에 반도체·의약품 등 품목별 관세도 예고
- "25% 보편관세 진행, 전세계 경제 2천조원 타격"
- 모건스탠리가 본 트럼프 상호관세 4가지 시나리오는?
- 중국산 제품에 더 높은 관세 부과 가능성…EU는 제품별
- 멕시코·캐나다 관세 완화 가능성, 亞국가는 제품별 적용
Q. 공매도 재개와 상호관세 경계감으로 급락했던 국내증시는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일 확정에 1.6% 넘게 급등했습니다. 상호관세 발표 임박에 헌재 판결까지 빅이벤트를 앞두고 있는데 국내증시 향방 어떻게 보십니까?
- 코스피, 尹 선고일 확정에 급등…정치 불확실성 해소되나
- 정치 불안 완화·저가매수세 유입…코스피 2520선 회복
- 코스피 개인·기관 동반 순매수…외인 3900억원 순매도
- 시총상위주 대부분 상승…삼성전자·SK하이닉스 급등세
- 삼성바이오로직스·HD현대중공업 주가 4% 이상 강세-
- 김승연 회장 지분 증여, 승계 구도 뚜렷…한화그룹주↑
- 코스닥 지수 2.76% 급등…시총 상위 종목 중심 상승
- 정치 테마주 시장 상승 주도…이재명 관련주 줄줄이 上
- 윤석열 정부와 '마찰' 카카오 7%대 급등…계열사 강세
- 尹 대통령, 지난해 11월 카카오택시 독점 구조 비판
- 행정부 수장 공백 해소 시 환율 안정·외인 수급 우호적
- 과거 탄핵 정국 등 정치적 리스크는 단기 하방 요인
- 정치 이벤트보다 펀더멘털…헌재 판결 이후 양상 차별화
- 2004년 당시 고유가·中 긴축 등 영향으로 지수 약세
- 2016년엔 'IT 슈퍼사이클'…반도체 중심 랠리 연출
- 정치 리스크 이후 소비·경기 관련 업종들 강세 보여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난 65만원, 친구는 299만원'…국민연금 왜 이래?
- 2.기름 넣을까?…이왕이면 주말에 가득 채우세요
- 3.백종원, 노랑통닭 '퇴짜'…"안 산다"
- 4.한남동 관저 떠나는 尹…최대 10년 경호 예우
- 5.빚에 갇힌 40代, 억대 빚 언제 갚나 '한숨'
- 6.소주가 2000원?…식당 술값 역주행 '눈물의 할인'
- 7.'부부 통장에 월 500만원 꽂힌다'…국민연금 비결 뭐길래
- 8.'애플 주가 급락 이유가 있네'...美서 아이폰 333만원?
- 9.금·비트코인도 못 피했다…JP모건의 잔인한 전망
- 10.[김대호 박사의 오늘의 키워드] 마진콜 '금값 폭락'·트럼프 퇴진·파월의 반란·베트남 항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