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Biz

[마켓 프리뷰] '블랙먼데이' 공포에 휩싸인 국내 증시…불확실성 고조

SBS Biz 김완진
입력2025.04.01 06:47
수정2025.04.01 07:32

■ 모닝벨 '마켓 프리뷰' - 이지환 아이에셋 대표

공매도가 재개된 어제(31일) 국내 증시는 '블랙 먼데이'였죠. 코스피와 코스닥 모두 3%나 급락하면서 마감했는데요. 그 어느 때보다 전략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어렵지만 짜보겠습니다. 이지환 아이에셋 대표 연결됐습니다.

Q. 공매도 재개 첫날, 투자 심리가 급격히 얼어붙는 모습인데요. 환율 역시 불안합니다. 어제 장, 어떻게 보셨나요?

- 공매도, 17개월 만에 재개 첫날…코스피·코스닥 급락
- 코스피, 전거래일대비 3.00% 하락…2481.12 마감
- 하락 폭 키우는 코스피, 지난 사흘간 하락률 6.28%
- 외국인, 1조 5794억 규모 '팔자'…개인·기관 순매수
- 시총 상위 주가 대부분 하락…삼성SDI 5.47% 하락
- '지수 상승 주도' 방산·조선주도 공매도에 열세 전환
- 코스닥, 전 래일대비 3.01% 하락…672.85 마감
- 원·달러 환율, 전거래일 6.4원 상승…1472.9원
- 두 달 반 만에 원·달러 환율 1470원대 거래 시작
- 환율, 2009년 3월 금융위기 이후 주간 종가 최고치
- 야간 전환 후 1473원대 터치…올해 1월 이후 처음

Q. 특히 자동차, 반도체주들의 낙폭이 큽니다. 결국 트럼프 관세 영향이 컸다는 분석인데,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요?

- 코스피, 공매도 전면 재개 첫 날 2490대로 밀려
- 코스피 급락 배경에 '공매도 VS 트럼프' 의견분분
- 시총 상위 대다수 종목 약세…SK하이닉스 3.26%↓
- JP모건체이스 "공매도 재개, 완전 부정적 소식 아냐"
- 뉴욕증시 큰 폭 하락 마감에 아시아 증시 동시 '풀썩'
- 닛케이 "트럼프 관세에 경기침체·물가 상승 우려 확대"
- 트럼프 "모든 나라 상호관세"…일본·대만 큰 폭 하락
- 전문가 "기관투자자들, 당장 공매도 확대 신중할 것"
- 글로벌 증시, 이달 2일 상호관세 방향성 앞두고 긴장
- 아시아 증시, 반도체·자동차 관련주들 특히 약세
- 트럼프 '관세 폭탄'에 산업계 긴장…돌파구 '고심'
- 산업계, 품목별 추가 관세 우려…수익성 악화 전망
- 현지 공장 등 대규모 투자 단행…정부도 대책 '속도'

Q. 상호관세 발표가 하루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발표가 되고, 내용이 나오면 충격은 있겠지만, 불확실성은 해소될 것이라고 보는 시선도 있는데, 우리 입장에선 불안감이 최고조에 달하고 있습니다. 최악의 시나리오에 대비해야 할까요?

- 한발 물러서는 듯하더니…"모든 국가에 관세 시작"
- 전세계 주요국 상호관세 예외·면제 기대감 '무색'
- 트럼프 "본질적으로 우리 언급하는 모든 국가들"
- WSJ "모든 무역 상대국에 20% 보편관세 논의"
- 美정부 당국자 "트럼프, '크고 단순'한 관세 원해"
- 베센트 "대미 무역 흑자국 '더티 15'" 언급도 무색?
- 전문가 "예상보다 더욱 광범위·고율 관세 가능성"
- WSJ "감세로 세수 축소…재정적자 확대 막기 위한것"
- 아시아 국가 향해 불만도…"美 공정하지 않게 대해"
- 트럼프 "그들이 우릴 대한 것보다 관대하게 대할 것"
- 자동차 25% 관세 재고 여지에 대해 "아니다" 선그어
- 트럼프 "미국 내 자동차 생산하면 많은 돈 벌게 돼"
- 컴퓨터·반도체·제약 등 언급…"미국서 제품 생산해야"

Q. 우리 경제의 본질적인 이슈도 투자심리에는 부담인 것 같습니다. 어제 나온 산업활동 동향 보면, 반등했지만 불안감은 여전하고요. 성장률 전망도 계속 낮아지고 있습니다. 상승 모멘텀을 찾기가 어려운데, 어디에 

- 2월 산업활동동향 발표…생산·소비·투자 트리플 증가
- 설 명절 조업 일수 증가…전산업 생산지수 0.6% 상승
- 1차 금속 -4.6% 등 감소…광공업 생산 전반 1.0%↑
- 서비스업 생산, 정보통신 등 감소…전월대비 0.5%↑
- 건설업 생산, 7개월만 오름세…공사 실적 증가 영향
-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 0.1p↑…선행지수 0.1p↑
- 전문가들 "단기적 회복 가능성" 우려…월별 변동성↑
- 미국 관세 부과 등 경기 하방 리스크에 변수 여전
- 상호관세·자동차 관세 부과…韓경제 직격타 우려
- 초읽기 들어간 글로벌 무역전쟁…트럼프의 선택은?
- 한국, 지난해 미국 무역 적자국 8위…주요 타깃 우려
- 한국 상품 수출 중 미국 차지 비중 20% 근접 수준
- 국회예정처, 올해 성장률 2.2→1.5%…0.7%p 하향
- OECD 이어 1.5% 전망…"美통상 악화시 더 하락"
- 국회예정처 "추경, 규모보다 내용이 훨씬 중요" 강조

Q. 정치적 불확실성이 겹치면서 밸류업은 있으나 마나 한 프로그램이 됐어요. 특히 트럼프발 불확실성이 임기 내내 증시를 억누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드는데, 투자 전략, 어떻게 갖고 가야 할까요?

- 공매도 재개에 트럼프 관세까지…증시 방향성 '촉각'
- 동학개미들, 국내 증시 관심 증가…변수·리스크 산재
- 공매도에 고평가주도 '멈춤'…"단기 변동성 확대 주목"
- 밸류업 정책, 기업가치 재평가 속도…전년보다 PBR↓
- 공매도 재개 첫날 '덜컹'…"단기 변동성 무시 못 해"
- 트럼프 '관세 공격' 자동차주 넘어 반도체도 직격타
- 트럼프 관세 '윤곽' 이후 불확실성 더욱 고조 가능성
- 연준 금리인하 관련 발언도 관심…국내증시 향방은?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김완진다른기사
삼성 '갤럭시 효과'로 1분기 깜짝 영업익 6.6조
[애프터마켓 리뷰] 패닉셀로 코스피 2400선 무너져…대체거래소도 하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