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호 박사의 오늘의 키워드] 트럼프 해방의 날·더티 15·공매도 x 상호관세·김승연 증여
SBS Biz 김완진
입력2025.04.01 05:54
수정2025.04.01 07:09
■ 모닝벨 '김대호 박사의 오늘의 키워드' - 김대호 글로벌이코노믹연구소장·경제학 박사·세한대 특임교수
◇ 트럼프 해방의 날
트럼프 대통령이 "해방의 날"이라고 명명한 상호관세 발표 행사를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개최합니다. 트럼프 2기 들어 로즈가든 행사는 처음인데, 그만큼 큰 의미를 갖는다고 봐야겠죠?
- 백악관 "2일 로즈가든서 상호관세 발표…예외 없다" 강조
- 백악관 로즈가든, 해외 정상과 기자회견 등 행사에 이용
- 트럼프 2기 로즈가든 첫 공식 행사…내각 인사들 총출동
- 상호관세 부과 예외 국가 질문에 "이번에는 없을 것"
- 트럼프 대통령 "상호관세는 모든 국가에 시작될 것"
- 비관세장벽·환율도 고려사항…대미 무역흑자국 겨냥 전망
◇ 더티 15
상호관세 발표가 다가오면서 관세율과 범위 등을 두고 '더 넓고 더 높게’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으로 기울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습니다? 베센트 재무장관이 말한 더티 15보다 더 광범위해지는 걸까요?
- WSJ "트럼프, 모든 국가에 20% 부과 검토" 보도
- "트럼프, 무역적자 보는 모든 국가에 관세 부과 원해"
- "각 나라별 '깔끔한 숫자' 원해…최종 결정은 아직"
- 亞 콕 찍어 "불공정"…참모진에 '더 강한' 관세 주문
- 트럼프, 유력 옵션 꼽혔던 '더티 15' 부과설 부인
- '더티 15' 일부 국가 아니라 모든 교역국에 관세부과
- 앞서 베센트 재무, '더티 15' 거론…일부 국가 초점
- USTR, 트럼프·의회에 국가별 무역 평가 보고서 제출
- 전 세계 무역 상대국의 불공정한 '무역 장벽' 총망라
- 나바로, 韓·獨·日 콕 집어 "美를 車 조립국 만들어"
- 나바로 "관세, 향후 10년간 6조 달러…관세는 감세"
- 美 상호관세 시행되면 한미 FTA '반쪽짜리'로 전락?
- 韓, FTA로 대부분 美상품에 '0% 관세'…관세 타깃
◇ 공매도 x 상호관세
공매도가 전면 재개된 어제(31일) 국내증시는 상호관세 경계감까지 겹쳐 날벼락이 떨어졌습니다. 코스피가 3% 급락해 2500선이 무너졌는데 어떻게 봐야 할까요?
- 코스피, 美 상호관세·공매도 재개 겹악재에 3% 급락
- 코스피 2500선 붕괴…코스닥도 3% 급락 670대
- 코스피 시총 상위 줄하락…환율, 금융위기 이후 최고
- 대미수출 의존 높은 日·대만 급락…안전자산 금값 치솟아
- 공매도 재개 첫날 1.7조 거래…외인 비중 90% 육박
- 정규시장 거래대금 1조 7284억…전체 11.41% 비중
- 상호관세 우려에 공매도 불안감까지…단숨에 낙폭 키워
- 대차잔고 비중 높았던 2차 전지·바이오 급락…매도세 집중
- 변동성 불가피…수급 여건 점차 개선 방향으로 전개 기대
◇ 김승연 증여
한화그룹 김승연 회장이 보유 중인 (주)한화 지분 11%가량을 세 아들에게 증여하면서 그룹 경영권 승계가 사실상 완료됐는데요?
- 한화, 경영권 승계 완료…김승연, 세 아들에 지분 증여
- 김승연 회장 한화 지분 11.32%, 세 아들에 증여
- 3형제, 한화 지분 42.67%로 경영권 승계 '완료'
- 김승연 회장 지분 증여 증여 후에도 경영 자문 등 지원
- 한화 "시장의 불필요한 오해 바로잡기 위한 것"
- 한화에어로 유상증자·한화오션 지분 인수 등 논란 차단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 트럼프 해방의 날
트럼프 대통령이 "해방의 날"이라고 명명한 상호관세 발표 행사를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개최합니다. 트럼프 2기 들어 로즈가든 행사는 처음인데, 그만큼 큰 의미를 갖는다고 봐야겠죠?
- 백악관 "2일 로즈가든서 상호관세 발표…예외 없다" 강조
- 백악관 로즈가든, 해외 정상과 기자회견 등 행사에 이용
- 트럼프 2기 로즈가든 첫 공식 행사…내각 인사들 총출동
- 상호관세 부과 예외 국가 질문에 "이번에는 없을 것"
- 트럼프 대통령 "상호관세는 모든 국가에 시작될 것"
- 비관세장벽·환율도 고려사항…대미 무역흑자국 겨냥 전망
◇ 더티 15
상호관세 발표가 다가오면서 관세율과 범위 등을 두고 '더 넓고 더 높게’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으로 기울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습니다? 베센트 재무장관이 말한 더티 15보다 더 광범위해지는 걸까요?
- WSJ "트럼프, 모든 국가에 20% 부과 검토" 보도
- "트럼프, 무역적자 보는 모든 국가에 관세 부과 원해"
- "각 나라별 '깔끔한 숫자' 원해…최종 결정은 아직"
- 亞 콕 찍어 "불공정"…참모진에 '더 강한' 관세 주문
- 트럼프, 유력 옵션 꼽혔던 '더티 15' 부과설 부인
- '더티 15' 일부 국가 아니라 모든 교역국에 관세부과
- 앞서 베센트 재무, '더티 15' 거론…일부 국가 초점
- USTR, 트럼프·의회에 국가별 무역 평가 보고서 제출
- 전 세계 무역 상대국의 불공정한 '무역 장벽' 총망라
- 나바로, 韓·獨·日 콕 집어 "美를 車 조립국 만들어"
- 나바로 "관세, 향후 10년간 6조 달러…관세는 감세"
- 美 상호관세 시행되면 한미 FTA '반쪽짜리'로 전락?
- 韓, FTA로 대부분 美상품에 '0% 관세'…관세 타깃
◇ 공매도 x 상호관세
공매도가 전면 재개된 어제(31일) 국내증시는 상호관세 경계감까지 겹쳐 날벼락이 떨어졌습니다. 코스피가 3% 급락해 2500선이 무너졌는데 어떻게 봐야 할까요?
- 코스피, 美 상호관세·공매도 재개 겹악재에 3% 급락
- 코스피 2500선 붕괴…코스닥도 3% 급락 670대
- 코스피 시총 상위 줄하락…환율, 금융위기 이후 최고
- 대미수출 의존 높은 日·대만 급락…안전자산 금값 치솟아
- 공매도 재개 첫날 1.7조 거래…외인 비중 90% 육박
- 정규시장 거래대금 1조 7284억…전체 11.41% 비중
- 상호관세 우려에 공매도 불안감까지…단숨에 낙폭 키워
- 대차잔고 비중 높았던 2차 전지·바이오 급락…매도세 집중
- 변동성 불가피…수급 여건 점차 개선 방향으로 전개 기대
◇ 김승연 증여
한화그룹 김승연 회장이 보유 중인 (주)한화 지분 11%가량을 세 아들에게 증여하면서 그룹 경영권 승계가 사실상 완료됐는데요?
- 한화, 경영권 승계 완료…김승연, 세 아들에 지분 증여
- 김승연 회장 한화 지분 11.32%, 세 아들에 증여
- 3형제, 한화 지분 42.67%로 경영권 승계 '완료'
- 김승연 회장 지분 증여 증여 후에도 경영 자문 등 지원
- 한화 "시장의 불필요한 오해 바로잡기 위한 것"
- 한화에어로 유상증자·한화오션 지분 인수 등 논란 차단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난 65만원, 친구는 299만원'…국민연금 왜 이래?
- 2.기름 넣을까?…이왕이면 주말에 가득 채우세요
- 3.한남동 관저 떠나는 尹…최대 10년 경호 예우
- 4.금·유가 줄줄이 급락…상품시장도 직격탄
- 5.빚에 갇힌 40代, 억대 빚 언제 갚나 '한숨'
- 6.소주가 2000원?…식당 술값 역주행 '눈물의 할인'
- 7.'부부 통장에 월 500만원 꽂힌다'…국민연금 비결 뭐길래
- 8.[김대호 박사의 오늘의 키워드] 마진콜 '금값 폭락'·트럼프 퇴진·파월의 반란·베트남 항복
- 9.'애플 주가 급락 이유가 있네'...美서 아이폰 333만원?
- 10.금·비트코인도 못 피했다…JP모건의 잔인한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