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달러 환율, 2009년 금융위기 수준까지 치솟았다
SBS Biz 신성우
입력2025.03.31 17:46
수정2025.03.31 18:33
[앵커]
외환시장도 요동쳤습니다.
지난주 1470원선에서 등락을 반복하던 원·달러 환율은 금융위기 이후 최고 수준으로 치솟았습니다.
대내외 불확실성에 당분간 고공행진을 이어갈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는데요.
신성우 기자, 원·달러 환율, 얼마나 치솟았죠?
[기자]
주간거래 종가 기준 전 거래일보다 6원 40전 오른 1472원 90전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종가 기준으로 지난 2009년 금융위기 이후 최고 수준, 그러니까 약 16년 만에 가장 높았습니다.
1470원선에서 출발한 원·달러 환율은 등락을 반복하며, 서서히 오르더니 장중 최고가에서 마감했는데요.
장중 고가 기준으로는 약 두 달 반 만에 가장 높았습니다.
원·달러 환율은 오후 5시 40분 기준으로는 1473원 20전까지 올랐습니다.
지난달까지만 해도 1400원 초중반대까지 환율이 떨어지는 모습이었는데, 다시 천정부지로 치솟는 모습입니다.
[앵커]
안팎으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는데, 환율, 얼마까지 오를까요?
[기자]
당분간 환율 상승 압력이 계속될 전망인데요.
우선 다음 달 2일 발표 예정인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와 미국발 경기 침체 우려 등 불확실성으로 위험 회피 심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위험자산으로 간주되는 원화 약세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설명인데요.
여기에 탄핵 정국 장기화에 따른 국내 정치 불안 등도 원화 약세에 영향을 끼쳤습니다.
[문정희 / KB국민은행 수석연구원 : 올해 수출이 안 좋을 것이라는 불안 요인이 있고, 국내적으로는 정치 불안도 장기화되고 있고 거기에다가 경제도 상당히 약해지고 있고…(원화 약세로 인해) 환율이 1500원을 못 간다고 얘기하기는 어렵습니다.]
다만 일각에선 탄핵 선고 이후에는 1400원 초반까지 환율이 다시 내려올 수 있을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됩니다.
SBS Biz 신성우입니다.
외환시장도 요동쳤습니다.
지난주 1470원선에서 등락을 반복하던 원·달러 환율은 금융위기 이후 최고 수준으로 치솟았습니다.
대내외 불확실성에 당분간 고공행진을 이어갈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는데요.
신성우 기자, 원·달러 환율, 얼마나 치솟았죠?
[기자]
주간거래 종가 기준 전 거래일보다 6원 40전 오른 1472원 90전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종가 기준으로 지난 2009년 금융위기 이후 최고 수준, 그러니까 약 16년 만에 가장 높았습니다.
1470원선에서 출발한 원·달러 환율은 등락을 반복하며, 서서히 오르더니 장중 최고가에서 마감했는데요.
장중 고가 기준으로는 약 두 달 반 만에 가장 높았습니다.
원·달러 환율은 오후 5시 40분 기준으로는 1473원 20전까지 올랐습니다.
지난달까지만 해도 1400원 초중반대까지 환율이 떨어지는 모습이었는데, 다시 천정부지로 치솟는 모습입니다.
[앵커]
안팎으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는데, 환율, 얼마까지 오를까요?
[기자]
당분간 환율 상승 압력이 계속될 전망인데요.
우선 다음 달 2일 발표 예정인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와 미국발 경기 침체 우려 등 불확실성으로 위험 회피 심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위험자산으로 간주되는 원화 약세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설명인데요.
여기에 탄핵 정국 장기화에 따른 국내 정치 불안 등도 원화 약세에 영향을 끼쳤습니다.
[문정희 / KB국민은행 수석연구원 : 올해 수출이 안 좋을 것이라는 불안 요인이 있고, 국내적으로는 정치 불안도 장기화되고 있고 거기에다가 경제도 상당히 약해지고 있고…(원화 약세로 인해) 환율이 1500원을 못 간다고 얘기하기는 어렵습니다.]
다만 일각에선 탄핵 선고 이후에는 1400원 초반까지 환율이 다시 내려올 수 있을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됩니다.
SBS Biz 신성우입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난 65만원, 친구는 299만원'…국민연금 왜 이래?
- 2.기름 넣을까?…이왕이면 주말에 가득 채우세요
- 3.한남동 관저 떠나는 尹…최대 10년 경호 예우
- 4.빚에 갇힌 40代, 억대 빚 언제 갚나 '한숨'
- 5.소주가 2000원?…식당 술값 역주행 '눈물의 할인'
- 6.'부부 통장에 월 500만원 꽂힌다'…국민연금 비결 뭐길래
- 7.금·유가 줄줄이 급락…상품시장도 직격탄
- 8.[김대호 박사의 오늘의 키워드] 마진콜 '금값 폭락'·트럼프 퇴진·파월의 반란·베트남 항복
- 9.'애플 주가 급락 이유가 있네'...美서 아이폰 333만원?
- 10.금·비트코인도 못 피했다…JP모건의 잔인한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