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폐배터리 건식제련 실증 승인…폐수 감소 기대
SBS Biz 류정현
입력2025.03.31 15:23
수정2025.03.31 15:23
정부가 전기차 폐배터리에서 리튬, 니켈 등 희귀금속을 회수하는 건식 제련 기술을 실증하도록 규제를 개선했습니다. 건식 제련은 화학 용액을 사용하지 않아 폐수 발생이 적은 친환경 공정으로 꼽힙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31일 '2025년 제1차 산업융합 규제특례심의위원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자원순환·국민생활·에너지 분야의 57개 과제를 심의·승인했다고 밝혔습니다.
먼저 자원순환 분야에서는 '알디솔루션'이 전기차 폐배터리에서 리튬, 니켈 등 희귀금속을 회수하는 '건식 제련 기술'을 실증합니다.
현재도 재활용 기준을 지키면 전기차 폐배터리를 재활용할 수 있지만, 현행 기준이 습식 제련을 전제로 규정돼 건식 제련은 할 수 없었습니다.
습식 제련은 전처리된 폐배터리를 화학 용액을 사용해 금속을 용해한 후 회수하는 방식입니다.
건식 제련 방식은 화학 용액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폐수 발생이 적은 만큼, 이번 실증으로 건식 제련에 맞는 재활용 기준을 수립하기 위한 실증 데이터가 확보될 수 있습니다.
이와 함께 '스몰액션'은 바다에서 수거한 폐그물을 해수 또는 빗물로 바지선 위에서 세척 후 재활용하는 시스템을 구축한다. 기존 육상 세척 방식보다 염분 제거율이 높아 재활용 가치를 높일 수 있습니다.
국민생활 분야에서는 '동그라미'가 동물건조장을 활용한 친환경 도심형 장례서비스를 실증합니다.
동물 장묘 시설의 경우 인가 밀집 지역에 설치할 수 없지만, 이번 실증에 사용되는 마이크로웨이브 건조는 기존 열풍 건조 대비 에너지 효율이 높고 대기오염 물질을 거의 배출하지 않아서 도심 내 실증이 승인됐습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난 65만원, 친구는 299만원'…국민연금 왜 이래?
- 2.기름 넣을까?…이왕이면 주말에 가득 채우세요
- 3.백종원, 노랑통닭 '퇴짜'…"안 산다"
- 4.한남동 관저 떠나는 尹…최대 10년 경호 예우
- 5.빚에 갇힌 40代, 억대 빚 언제 갚나 '한숨'
- 6.소주가 2000원?…식당 술값 역주행 '눈물의 할인'
- 7.'부부 통장에 월 500만원 꽂힌다'…국민연금 비결 뭐길래
- 8.'애플 주가 급락 이유가 있네'...美서 아이폰 333만원?
- 9.금·비트코인도 못 피했다…JP모건의 잔인한 전망
- 10.로또 100억 ‘대박’ 터졌나…초대박 난 '로또 명당' 어딘지 보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