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Biz

철강·알루미늄 수출 중기 절반 이상 "美관세 정보 목마르다"

SBS Biz 서주연
입력2025.03.31 10:56
수정2025.03.31 12:03

[중소기업 미국 관세부과로 인한 수출·매출 영향 (중소기업중앙회 제공=연합뉴스)]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철강·알루미늄 수출 중소기업들이 가장 필요한 정부지원은 미국의 관세 관련 정보 제공이라고 답변했습니다. 중소기업중앙회와 중소벤처기업부가 지난달 중소기업 600개 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美 철강·알루미늄 관세 부과 관련 중소기업 설문조사' 결과 이같이 나타났습니다.

응답 중소기업의 42.8%가 미국의 철강·알루미늄 및 파생상품 관세부과로 수출이나 매출에 영향을 받았다고 답했으며, 미국의 관세부과로 인해 중소기업이 겪고있는 애로사항은(복수응답) ‘미국 관세정책에 대한 정확한 파악 어려움’으로 응답한 기업이 41.8%로 가장 많았고, 관세 리스크로 인한 물류비 상승(38.2%), 수출국 다변화 비용 발생(36.5%) 등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중소기업 미국 관세 부과대응 준비 (중소기업중앙회 제공=연합뉴스)]

또 응답기업 중 32.5%가 관세 대응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준비중인 내용으로는(복수응답) 생산비용 등 자체 비용 절감 노력(52.8%), 미국 거래처와 관세 부담 논의(51.8%), 유관기관 설명회 참여 등 정보탐색(30.8%) 등의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관세 부과 대응을 위해 필요한 정부 지원책(복수응답) 으로는 ‘관세 관련 정보제공’이 51.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물류비 지원 강화(46.7%), 정책자금 지원(40.5%), 법무·회계법인 등 관세 컨설팅(24.8%) 등의 순으로 조사됐습니다.

또 파생상품을 수출 중이라고 응답한 기업 중 43.4%가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답변했으며, 파생상품 수출 중소기업에 필요한 정부 지원책(복수응답) 으로는 미국 HS코드 확인을 위한 전문 컨설팅(42.4%), 철강·알루미늄 함량 계산 컨설팅(41.4%), 통관 절차 등에서의 서류 대행(33.5%) 등의 순으로 응답했습니다. 

추문갑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전쟁으로 글로벌 보호무역주의가 확산되면서 중소기업들의 경영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며, “전문인력과 정보가 부족한 중소기업을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 대응이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서주연다른기사
청년 장기 실업자 5년만에 다시 늘었다
김문수 "국가적 위기, 책임감에 출마 결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