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증시 브리핑] 뉴욕증시, 또다시 급락…나스닥 2.7% 하락 마감
SBS Biz 신재원
입력2025.03.31 06:38
수정2025.03.31 07:21
■ 모닝벨 '미 증시 브리핑' - 신재원
지난주 금요일 뉴욕증시는 또 한 번 악몽을 겪었는데요.
마감 상황 보면, 다우지수 1.69%, S&P500 지수는 1.97%, 나스닥지수는 3% 가까이 급락했습니다.
특히 S&P500지수는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두 번째로 큰 낙폭을 보여줬는데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불확실성이 심화되는 가운데, 인플레이션과 경기침체 우려가 또 커지면서 투자심리가 급속히 냉각됐습니다.
업종별로도 보면, 유틸리티를 제외하고 모두 하락했는데요.
커뮤니케이션과 임의소비재는 3% 넘게 빠졌고, 기술주 섹터도 2.43% 하락으로 마감했습니다.
이렇게 기술주가 크게 빠졌던 건, 그동안 고평가 논란이 일었던 대형기술주들의 낙폭이 컸기 때문인데요.
시총상위종목 보면, 애플은 3% 가까이 하락했고요. 엔비디아도 1.58% 빠졌습니다.
한편 전날 미국 IPO 시장 최대어로 꼽히는 코어위브의 주식을 대거 매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는데요.
이날 코어위브는 공모가보다 낮은 39달러에 거래를 시작해, 간신히 공모가인 40달러에 마감했습니다.
또 아마존은 4.29%, 알파벳도 5% 가까이 큰 폭으로 떨어졌습니다.
이어서 시총 6위부터 보면, 메타도 4% 넘게 크게 빠졌고, 테슬라는 3.51% 하락했지만, 이번 주 들어선 6% 이상 올랐는데요.
이로써 지난 10주 동안, 주간 기준으로 처음으로 상승으로 한 주를 마무리했습니다.
한편 머스크 CEO는 2022년 인수한 SNS 플랫폼인 X를, 330억 달러에 xAI에 매각했는데요.
이를 통해 AI 시장 확장에 나설 것으로 보입니다.
브로드컴도 1.67% 빠졌습니다.
이처럼 주요 반도체주가 일제히 하락하면서,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도 2.95% 급락했고요.
일라이 릴리만 소폭 상승으로 마감했습니다.
그럼 지난 금요일(28일) 장에서 가장 뜨거웠던 종목들 살펴보시죠.
룰루레몬은 부진한 2025년 가이던스를 발표하고 14.19% 급락했는데요.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로 지출이 줄어들고 있으며, 이로 인해 룰루레몬을 포함한 동종업계의 미국 내 트래픽이 감소하고 있단 분석입니다.
앱러빈은 4% 넘게 올랐습니다.
전날 공매도업체 머디 워터스가 앱러빈의 광고 전략이 앱스토어 서비스 약관을 위반했다고 주장하면서 주가가 20% 넘게 급락했는데요.
이에 대한 저가매수세가 나타난 것으로 풀이됩니다.
마지막으로 로켓랩도 미 우주군이 회사를 발사업체 중 한 곳으로 지정하면서, 1.09% 상승으로 마감했습니다.
이어서 서학개미 브리핑입니다.
뉴욕증시가 급락하자, 서학개미는 이번에도 저가매수세를 펼쳤는데요.
테슬라에 대한 매수규모가 늘었고, 특히 SOXL의 경우,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가 3% 가까이 급락하자, 하루 만에 1억 달러 어치를 사들였습니다.
지난주 금요일 뉴욕증시는 또 한 번 악몽을 겪었는데요.
마감 상황 보면, 다우지수 1.69%, S&P500 지수는 1.97%, 나스닥지수는 3% 가까이 급락했습니다.
특히 S&P500지수는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두 번째로 큰 낙폭을 보여줬는데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불확실성이 심화되는 가운데, 인플레이션과 경기침체 우려가 또 커지면서 투자심리가 급속히 냉각됐습니다.
업종별로도 보면, 유틸리티를 제외하고 모두 하락했는데요.
커뮤니케이션과 임의소비재는 3% 넘게 빠졌고, 기술주 섹터도 2.43% 하락으로 마감했습니다.
이렇게 기술주가 크게 빠졌던 건, 그동안 고평가 논란이 일었던 대형기술주들의 낙폭이 컸기 때문인데요.
시총상위종목 보면, 애플은 3% 가까이 하락했고요. 엔비디아도 1.58% 빠졌습니다.
한편 전날 미국 IPO 시장 최대어로 꼽히는 코어위브의 주식을 대거 매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는데요.
이날 코어위브는 공모가보다 낮은 39달러에 거래를 시작해, 간신히 공모가인 40달러에 마감했습니다.
또 아마존은 4.29%, 알파벳도 5% 가까이 큰 폭으로 떨어졌습니다.
이어서 시총 6위부터 보면, 메타도 4% 넘게 크게 빠졌고, 테슬라는 3.51% 하락했지만, 이번 주 들어선 6% 이상 올랐는데요.
이로써 지난 10주 동안, 주간 기준으로 처음으로 상승으로 한 주를 마무리했습니다.
한편 머스크 CEO는 2022년 인수한 SNS 플랫폼인 X를, 330억 달러에 xAI에 매각했는데요.
이를 통해 AI 시장 확장에 나설 것으로 보입니다.
브로드컴도 1.67% 빠졌습니다.
이처럼 주요 반도체주가 일제히 하락하면서,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도 2.95% 급락했고요.
일라이 릴리만 소폭 상승으로 마감했습니다.
그럼 지난 금요일(28일) 장에서 가장 뜨거웠던 종목들 살펴보시죠.
룰루레몬은 부진한 2025년 가이던스를 발표하고 14.19% 급락했는데요.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로 지출이 줄어들고 있으며, 이로 인해 룰루레몬을 포함한 동종업계의 미국 내 트래픽이 감소하고 있단 분석입니다.
앱러빈은 4% 넘게 올랐습니다.
전날 공매도업체 머디 워터스가 앱러빈의 광고 전략이 앱스토어 서비스 약관을 위반했다고 주장하면서 주가가 20% 넘게 급락했는데요.
이에 대한 저가매수세가 나타난 것으로 풀이됩니다.
마지막으로 로켓랩도 미 우주군이 회사를 발사업체 중 한 곳으로 지정하면서, 1.09% 상승으로 마감했습니다.
이어서 서학개미 브리핑입니다.
뉴욕증시가 급락하자, 서학개미는 이번에도 저가매수세를 펼쳤는데요.
테슬라에 대한 매수규모가 늘었고, 특히 SOXL의 경우,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가 3% 가까이 급락하자, 하루 만에 1억 달러 어치를 사들였습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난 65만원, 친구는 299만원'…국민연금 왜 이래?
- 2.백종원, 노랑통닭 '퇴짜'…"안 산다"
- 3.기름 넣을까?…이왕이면 주말에 가득 채우세요
- 4.한남동 관저 떠나는 尹…최대 10년 경호 예우
- 5.'부부 통장에 월 500만원 꽂힌다'…국민연금 비결 뭐길래
- 6.빚에 갇힌 40代, 억대 빚 언제 갚나 '한숨'
- 7."평생 빚만 갚으며 살 것 같다"…1인당 빚 1억 육박
- 8.연금 657만원 내고, 1억 수령 '진짜'…2030 부글부글
- 9.'애플 주가 급락 이유가 있네'...美서 아이폰 333만원?
- 10.'정말 못 받는 거 아냐'…국민연금 가입자 6년만 2200만명선 무너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