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SBS Biz

개인정보위, 우리카드에 135억 과징금 '철퇴'

SBS Biz 김한나
입력2025.03.27 14:50
수정2025.03.27 15:29

[앵커] 

우리카드가 가맹점 대표 20만 명의 개인정보를 빼돌리다 적발돼 제재를 받았습니다. 



심지어 개인의 일탈 수준이 아니고 우리카드 전체의 내부통제가 작동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김한나 기자, 과징금 규모가 어느 정도인가요? 

[기자] 

우리 카드에 134억 5천여만 원의 과징금이 부과됐는데요. 



개인정보위원회에 따르면 우리카드 인천영업센터는 지난 2022년 7월부터 지난해 4월까지 카드가맹점의 사업자등록번호를 가맹점관리 프로그램에 입력해 가맹점 대표 13만 2천여 명의 개인정보를 조회했습니다. 

조회된 주민등록번호를 카드발급심사 프로그램에 입력해 우리신용카드 발급 여부를 확인하곤 이를 고스란히 카드 모집인이 있는 카카오톡 단체채팅방에 공유했습니다. 

지난 2023년 9월부터는 데이터베이스에 정보조회 명령어를 입력해 개인정보와 우리신용카드 보유 여부를 정기적으로 빼내 파일을 따로 만들기도 했는데요. 

지난해 1월부터 4개월 간 100여 회에 걸쳐 7만 5천여 명의 개인정보가 카드모집인에 이메일로 전달됐습니다. 

[김해숙 /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조사 1 과장 : 최소 20만 명의 가맹점주 정보가 조회된 사실을 확인했고 가맹점주들 중에서 약 7만 4천 명은 마케팅에 동의한 사실이 없다는 점을 확인을 했습니다. 개인정보를 수집할 때 동의를 받더라도 그 동의받은 범위를 벗어나서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것은 일단 위법입니다.] 

[앵커] 

회사의 구조적인 문제는 뭐였습니까? 

[기자] 

우리카드는 영업센터 직원 업무와 무관하게 데이터베이스 접근 권한을 부여했고 가맹점 대표 정보를 조회할 수 있게 했는데요. 

영업센터에서 월 3천만 건 이상의 개인정보 조회와 다운로드가 있었지만 우리카드는 이를 점검하거나 조치하지 않았습니다. 

이에 개인정보위는 우리카드가 접속기록 점검 등과 관련해 내부 통제를 소홀히 했다고 봤습니다. 

개인정보위는 "본사에서의 점검이라든지 확인이 없었다"며 "이는 우리카드 전체의 문제로 판단된다"라고 설명했습니다. 

SBS Biz 김한나입니다.

ⓒ SBS Medianet & SBSi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김한나다른기사
새 경쟁자 등장 예고…삼성 파운드리, 2위도 위태?
산불 피해 가구, 위약금 없이 인터넷 해지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