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투자받아 집 산다…'지분형 주택금융' 도입
SBS Biz 정대한
입력2025.03.27 11:20
수정2025.03.27 11:43

[앵커]
주택 공급 부족에 분양가도 상승하면서 '내 집 하나' 마련하기 참 어려운데요.
이에 정부가 '지분형 주택금융'이라는 카드를 꺼내 들었습니다.
정대한 기자, 지분형 주택금융 제도가 구체적으로 무엇인가요?
[기자]
개인이 집을 살 때 한국주택금융공사가 지분투자를 받아 소유권을 나눠 갖고, 추후에 집을 팔 때 차익이 발생하면 지분대로 나누는 방식입니다.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어제(26일) 기자간담회에서 이 같은 '지분투자' 방식의 주택금융 제도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보통 집을 살 땐 은행 주택담보대출이나 신용대출로 소위 '영끌'을 해서 대출상환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는데요.
지분을 나눠서 집값을 낮춰주면 '내 집 마련'이 쉬워지고, 대출 부담도 자연스럽게 줄어든다는 판단입니다.
금융위는 조만간 구체적인 계획을 내놓고, 시범 사업도 진행한다는 방침입니다.
[앵커]
그런데 이 제도가 이번에 처음 나온 개념은 아니라고요?
[기자]
이번 제도는 지난 2013년 박근혜 정부 때 실시된 '공유형 모기지'와 유사한 개념인데요.
집값의 70% 이내로 낮은 금리에 구입자금을 대출해 주는 대신 집을 팔 때 마찬가지로 차익의 일부를 정부가 나눠갖는 방식이었는데, 이에 대한 거부감이 커 당시 시장의 외면을 받았습니다.
이후에도 국토교통부와 서울시 등이 수익공유형 모기지, 지분적립형 주택 등 비슷한 형태의 제도를 검토했지만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했는데요.
김 위원장은 "과거 이런 콘셉트로 시도들이 있었는데 시장의 수요가 있었던 것 같지는 않다"며 "어떻게 하면 수요를 만들 수 있을지 고민하고 있는 단계"라고 설명했습니다.
SBS Biz 정대한입니다.
주택 공급 부족에 분양가도 상승하면서 '내 집 하나' 마련하기 참 어려운데요.
이에 정부가 '지분형 주택금융'이라는 카드를 꺼내 들었습니다.
정대한 기자, 지분형 주택금융 제도가 구체적으로 무엇인가요?
[기자]
개인이 집을 살 때 한국주택금융공사가 지분투자를 받아 소유권을 나눠 갖고, 추후에 집을 팔 때 차익이 발생하면 지분대로 나누는 방식입니다.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어제(26일) 기자간담회에서 이 같은 '지분투자' 방식의 주택금융 제도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보통 집을 살 땐 은행 주택담보대출이나 신용대출로 소위 '영끌'을 해서 대출상환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는데요.
지분을 나눠서 집값을 낮춰주면 '내 집 마련'이 쉬워지고, 대출 부담도 자연스럽게 줄어든다는 판단입니다.
금융위는 조만간 구체적인 계획을 내놓고, 시범 사업도 진행한다는 방침입니다.
[앵커]
그런데 이 제도가 이번에 처음 나온 개념은 아니라고요?
[기자]
이번 제도는 지난 2013년 박근혜 정부 때 실시된 '공유형 모기지'와 유사한 개념인데요.
집값의 70% 이내로 낮은 금리에 구입자금을 대출해 주는 대신 집을 팔 때 마찬가지로 차익의 일부를 정부가 나눠갖는 방식이었는데, 이에 대한 거부감이 커 당시 시장의 외면을 받았습니다.
이후에도 국토교통부와 서울시 등이 수익공유형 모기지, 지분적립형 주택 등 비슷한 형태의 제도를 검토했지만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했는데요.
김 위원장은 "과거 이런 콘셉트로 시도들이 있었는데 시장의 수요가 있었던 것 같지는 않다"며 "어떻게 하면 수요를 만들 수 있을지 고민하고 있는 단계"라고 설명했습니다.
SBS Biz 정대한입니다.
ⓒ SBS Medianet & SBS I&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많이 본 'TOP10'
- 1.[단독] 롯데리아 새우버거 패티서 항생제 검출…"전량 폐기"
- 2.국민연금 657만원 내고, 1억 수령?…진짜였다
- 3.'이 회사도 억대 연봉?'…이래서 대기업 가라는구나
- 4.맥주·라면·우유 미리 사두세요…내일부터 가격 오릅니다
- 5.연금 657만원 내고, 1억 수령 '진짜'…2030 부글부글
- 6."돌반지 안 팔길 잘했네"…치솟는 금값 더 오른다
- 7.플렉스 끝났다…의류·여가 소비 '뚝'
- 8."평생 빚만 갚으며 살 것 같다"…1인당 빚 1억 육박
- 9.'비닐만 벗긴 갤럭시, 최대 64만원 싸게 사세요'
- 10.'지브리 프사 만들어줘'…챗 GPT에 '우르르', 저작권 침해?